
- 발명 아이디어 대회 '인벤시아드' 개최를 통해 연구원들의 기술 개발 활동 장려
- 연구원들의 창의적인 신기술 아이디어 제안 9년간 누적 1만 5000여건
… 현대·기아차 R&D 기술력의 근간…출품작 2,200여건 특허출원으로 이어져
- 현대·기아차, 체계적인 발명 실적 보상을 통해 미래 신기술 확보에 노력
현대·기아차가 미래자동차 기술을 선도할 ‘발명가’ 발굴에 나섰다.
현대·기아차는 18일(금) 남양연구소(경기도 화성시 소재)에서 발명의 날 행사의 일환으로 사내 발명 아이디어 경진대회 ‘인벤시아드(Invensiad)’를 개최했다.
‘인벤시아드(Invensiad)’는 발명을 뜻하는 ‘인벤션(Invention)’과 올림픽을 뜻하는 ‘올림피아드(Olympiad)’의 합성어로, 연구원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선도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현대·기아차가 매년 실시하고 있는 행사다.
올해 인벤시아드는 총 675건(국내연구소 322건, 해외연구소 353건)의 신기술 관련 아이디어가 출품돼 경쟁을 벌였으며, 미래 신기술 발굴 및 포상제도를 강화하기 위해 ‘미래 모빌리티’ 분야와 ‘일반제안’ 분야를 구분해 각각 시상하는 것이 특징이다.
현대·기아차는 ▲기술 트렌드 ▲관련 기술 개발선행도 ▲성능 및 상품성 향상 기대효과 ▲기술 활용도 등을 기준으로 평가하여 국내 20건, 해외 5건의 아이디어를 입상작으로 선정하고, 이 중 상위 6건(미래 모빌리티 3건 , 일반제안 3건)의 아이디어를 최종 결선에 진출시켰다.

18일 진행된 ‘발명의 날’ 행사에서는 최종결선에 오른 미래 모빌리티 분야 3건 ▲주행상태 표시 램프(임정욱 책임연구원) ▲틸트 연동형 스티어링 구조의 3륜 퍼스널 모빌리티 디바이스(임성대, 최정남 책임연구원) ▲학습기반 자율주행 차량의 멀미 제거 방안(김인수 책임연구원)과, 일반 분야 3건 ▲드론의 차량 히치하이킹 이동 기술(천창우 연구원) ▲롤링 구조를 적용한 멀티펑셔널 백빔구조(송원기 책임연구원) ▲고효율 루프(Roof)형 스마트 시스템 에어컨(정성빈 연구원) 등 상위 6건에 대한 프레젠테이션 발표가 진행됐다.
최종평가는 문자투표(50%)와 2차 심사점수(50%)를 합산해 진행됐으며 미래 모빌리티 부문에서는 ▲대상 임정욱 책임연구원 ▲최우수상 김인수 책임연구원 ▲우수상 임성대/최정남 책임연구원이, 일반제안 부문에서는 ▲대상 천창우 연구원 ▲최우수상 정성빈 연구원 ▲우수상 송원기 책임연구원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대상 수상자에게는 각 150만원의 상금이 주어지며 최우수상 수상자에게는 각 100만원, 우수상 수상자에게는 각 70만원이 수여됐다.
한편 해외연구소 부문에서는 ▲변속케이블을 대체하는 유압식 변속 매커니즘(인도기술연구소 찬드라칸트(Chandrakanth) 연구원) ▲회전 가능한 시트의 암레스트 구조(미국기술연구소 안젤로 디리시오(Angelo Dilisio) 연구원) ▲차량용 익사 방지 구조(중국기술연구소 왕 샤오린(Wang Xiaolin) 연구원) ▲인체통신 활용 운전자 스티어링 조작 검출(일본기술연구소 히로시 나카무라(Hiroshi Nakamura) 연구원)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 전화통화 시 엔진소음 컨트롤 기술(유럽기술연구소 버크홀츠(Burkholz) 연구원) 등 5건이 입상했다.
현대·기아차는 올해 출품된 아이디어 중 우수한 아이디어는 특허출원 할 계획이며 적용 가능성 등을 검토해 향후 양산차에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2010년부터 시작해 올해 9회째를 맞은 ‘인벤시아드’ 행사에는 지금까지 총 15,000여건의 아이디어가 제출되었고, 이 중 2,200여건의 특허가 출원 및 등록돼 현대·기아차의 차량 상품성 확보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발명의 날 행사를 통해 연구원들이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는 분위기를 지속적으로 조성하고, 미래자동차 기술을 발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기아차는 발명 아이디어 경진대회 ‘인벤시아드’ 외에도 연구원들의 기술 개발을 장려하기 위해 특허 출원 및 등록, 특허 활용도에 따른 수익성 등을 평가해 제안자에게 최대 10억원까지 보상하는 ‘직무 발명 보상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연료전지 스택 성능 향상을 위한 성형 다공체 기술’을 개발한 진상문 파트장 외 5명(포상금 1,925만원) ▲‘단열신소재를 적용한 배기계 열차폐 부품’을 개발한 심재기 책임연구원 외 4명(포상금 1,700만원) ▲‘엔진진동 기반 가속감에 어울리는 엔진음색 제어기술’을 개발한 정인수 연구위원, 이동철 책임연구원(포상금 850만원) 등 연구원들의 발명 활동을 격려하고 미래 신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끝]
<사진설명> 현대·기아차, 제 9회 ‘인벤시아드’ 발명 아이디어 대회 개최
현대·기아차는 18일(금) 남양연구소(경기도 화성시 소재)에서 발명의 날 행사의 일환으로 사내 발명 아이디어 경진대회 ‘인벤시아드(Invensiad)’를 개최했다.
사진1) (좌측부터) 임성대 책임연구원, 김인수 책임연구원, 임정욱 책임연구원, 이종수 부사장, 천창우 연구원, 정성빈 연구원, 송원기 책임연구원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2) (좌측부터) 최정남 책임연구원, 임성대 책임연구원, 김인수 책임연구원, 임정욱 책임연구원, 이종수 부사장, 천창우 연구원, 정성빈 연구원, 송원기 책임연구원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사진3) 일반제안 부문에서 대상을 받은 천창우 연구원이 기술에 대해 설명을 하고 있는 모습.
[첨부] 발명 아이디어 설명
■ 미래 모빌리티 부문 (3건)
1. 주행상태 표시 램프 - 임정욱 책임연구원 (바디선행개발팀)
자율주행차에서 주변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조명시스템으로, 차량의 하부에 레이저모듈과 스캐닝미러를 구성하여 상황에 맞는 심볼 및 텍스트를 자동으로 노면에 조사해주는 기술
2. 틸트 연동형 스티어링 구조 3륜 퍼스널 모빌리티 디바이스 – 임성대, 최정남 책임연구원 (H스타트업팀)
퍼스널 모빌리티(전동스쿠터)의 핸들을 돌리지 않고, 운전자의 무게중심 이동만으로 차체가 기울어지고 방향이 바뀌어, 선회 시 안정감 있는 조향이 가능한 기술
3. 학습기반 자율주행 차량의 멀미 제거 방안 - 김인수 책임연구원 (샤시제어개발팀)
자율주행차에서 차량 움직임에 따른 탑승자의 생체리듬를 학습하여, 탑승자에게 멀미가 발생하지 않토록 주행경로별 샤시부품(조향, 제동, 현가 등)을 제어하는 기술
■ 일반제안 부문 (3건)
1. 드론의 차량 히치하이킹 이동 기술 - 천창우 연구 (인포테인먼트플랫폼개발2팀)
드론이 목적지까지 이동 중 배터리를 절약하기 위하여 차량의 지붕에 착륙해 차량 주행에 편승하여 이동하는 아이디어. 드론의 목적지 또는 이동경로와 유사경로를 주행하는 차량들 중에서 최적의 차량을 선별해 편승하는 기술
2. 롤링 구조를 적용한 멀티펑셔널 백빔구조 - 송원기 책임 (바디선행개발팀)
충돌 부재/배터리 충전/충돌감지 센싱 기능이 통합된 자동차 백빔 구조로,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와 전고체(리튬이온이 이동하는 전해질을 고체로 만든 배터리) 분리막과 리튬을 적층하는 백빔 제작 기술
3. 고효율 루프(Roof)형 스마트 시스템 에어컨 – 정성빈 연구원 (냉각설계팀)
차량용 에어컨을 파노라마 썬루프 같이 루프에 위치 시켜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객의 상황에 맞게 에어컨 위치 및 통풍 벤트의 각도를 자동 제어하는 차량용 고효율 스마트 시스템 에어컨 기술
■ 해외연구소 입상작 (5건)
1. 변속케이블 대체 유압식 변속 메커니즘 – 인도연구소 찬드라칸트(Chandrakanth) 연구원
변속 케이블을 대신해 유압 튜브가 변속레버와 변속기에 연결됨으로써 유압을 통해 변속 조작을 이뤄지게 하는 구조
2. 회전 가능한 시트의 암레스트 구조 - 미국연구소 안젤로 디리시오(Angelo Dilisio) 연구원
회전 가능한 시트에서 시트백에 설치된 가이드 및 레일을 활용하여 암레스트의 길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
3. 차량용 익사 방지 구조 – 중국연구소 왕 샤오린(Wang Xiaolin) 연구원
차량이 물에 빠졌을 때 이를 센서를 통해 감지하면, 차체에 고정된 시트벨트가 자동적으로 끊어지고 동시에 팽창함으로써 튜브 역할을 하는 구조
4. 인체통신 활용 운전자 스티어링 조작 검출 – 일본연구소 히로시 나카무라(Hiroshi Nakamura) 연구원
자율주행 모드에서 운전자에 의한 수동 운전으로 전환하고자 할 때 운전자의 의도를 사전에 파악해 운전 모드 변경이 용이하게 이뤄지게 하는 구조
5.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 전화통화 시 엔진소음 컨트롤 – 유럽연구소 버크홀츠(Burkholz)
HEV/PHEV 차량 주행 시 킥-다운 외에 전화가 걸려오면 자동적으로 EV모드로 변경되어 엔진 노이즈를 없애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