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청년들을 위한 은행이 문을 열어요”

- 광주시 12일, ‘청년드림은행’ 개소
- 청년부채 해소를 위한 금융복지 도입 전국 최초


- 보해양조(주) 지역청년들 이용 편의 위해 번화가 공간 제공 
- ‘광주청년 금융복지 네트워크’ 구성해 다양한 지원을 연계·종합 
   
○ 부채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지역 청년들을 위한 전용 은행이 문을 열었다.  

○ 광주광역시는 12일 동구 구시청 사거리에 위치한 ‘청년드림은행’의 개소식을 개최했다.

○ 청년드림은행은 학자금 부담과 취업난으로 가중된 청년부채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청년의 자립과 생활안정을 위해 시가 추진하는 ‘광주청년 금융복지 지원정책’의 하나로 추진됐다. 

○ 은행 등 금융관련 기관이 청년들에게는 문턱이 높다는 의견이 많아서 청년 눈높이에 맞는 지원공간을 마련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했다. 

○ 청년드림은행에서는 부채로 어려움을 겪는 청년에 대한 상담과 지원정책 연계, 긴급생활비와 청년비상금 통장 지원, 경제교육 등이 이뤄진다. 

○ 특히, 단편적으로 산재된 금융지원 정책들을 효율적으로 모아서 청년들에게 손쉽게 제공하기 위해 ‘광주청년 금융복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네트워크의 협력사업을 드림은행으로 집중시킬 계획이다. 드림은행을 찾아오는 청년들은 원스톱으로 다른 기관과 연계된다. 

○ 광주청년 금융복지 지원정책은 지역청년, 전문가, 유관기관 등이 참여한 TF협의체의 의견을 모은후 토론회 개최, 실태조사 연구 등을 통해 방향과 세부내용을 수립했다. 

○ 청년드림은행은 향토기업인 보해양조(주)에서 공간을 제공해 의미가 크다. 

○ 보해양조(주)는 광주시의 청년정책 방향에 크게 공감하여 청년들의 접근성과 이용편의를 높이기 위해 동구 번화가 공간을 내주었다. 

○ 또, 공동운영 방식으로 시에서 추진하는 청년금융복지 지원 업무와 함께 보해양조(주)는 청년의 쉼과 힐링 위한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은 “청년들이 빚 부담 때문에 진로와 미래를 결정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에 가슴이 아프다”면서 “청년의 자립과 생활안정을 위해 청년 금융복지의 체계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 임지선 보해양조(주) 대표는 “2015년 하계 U대회 당시 개최된 ‘세계청년축제’를 계기로 광주지역 청년들과 계속 소통해 왔다”면서 “청년드림은행을 통해 지역청년들과 함께 밝은 미래를 만들어가고 싶다”고 말했다. <끝>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시민이 제안하고 시(市)가 반영한다…고양시 주민참여예산은 진화중
올해 시행 12년을 맞는 고양시(시장 이동환)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지역 민주주의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하며 예산의 효용성과 체감도를 높여 시민과 함께 만드는 시정 운영을 실현하고 있다. 전문성이 강화된 주민참여예산위원회로 바꾸고 기존 분과별 심의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성, 투명성이 반영되도록 제안된 사업을 모든 분과가 나눠 검토하는 구조로 개편했다. 또한, 청소년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SNS 서포터즈를 운영해 젊은 세대의 시선으로 예산제도를 홍보하고 디지털 채널을 활용한 참여 유도에도 힘쓰고 있다. 올해부터는 청소년·청년 예산학교를 1회에서 3회로 확대 운영해 청소년과 청년의 시정 참여 기반도 넓힐 예정이다. 이 같은 노력으로 최근 3년간 주민 제안을 반영한 총 121개 사업에 약 59억 원을 투입했다. 주로 △시민편의 △보행환경 개선 △안전 △교통 등 생활밀착형 분야들로 행정이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일상 속 겪는 실질적인 불편을 해소하고,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체감형 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문성 더한 제7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활동…예산학교 운영 통해 내실 강화시는 주민이 예산 편성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는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