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역버스 준공영제는 도민 안전을 위해 꼭 필요한 정책이란 것을 모든 이가 다 안다.
왜 유독 이재명 성남시장이 준공영제를 반대하고 나서는지,
도민 안전보다 무엇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언론보도를 통해 드러났다.
충격이다.
이 시장의 불통, 독선, 오만이 도를 넘어섰다.
나만 옳고, 법 위에 내가 있고, 내 생각을 타인에게 강요하고 있다.
이 시대가 거부하는 '제왕적 권력'의 모습 그대로다.
이 시장은 더 이상 민주주의를 입에 올릴 자격이 없다.
1,300만 경기도민이 이 시장의 가식을 똑똑히 지켜보고 있다.
2017. 10. 22
경기도 대변인
□ 버스준공영제 추진경위
○ 버스 운영체계개편 연구용역 : ’15. 3 ~ ’16. 8.(사전 공개 중간보고 2회, 최종보고 1회)
○ 도↔ 시·군 상생협력토론회 개최(1차) : ’16. 12. 7.
○ 시·군, 버스조합, 참여업체 등 관계기관 협의(9회) : ’17. 1 ~ ’17. 7.
- (1.19~25) 4개 권역 그룹별 합동회의(4차례). (2.22) 시군합동회의
- (3월) 준공영제 참여 시군의견 수렴, (6월) 참여시군 대상 회의(2회)
- (8월) 시군 최종의견 수렴
○ 표준운송원가 검토 및 비용정산시스템 구축방안 연구용역 착수 : ’17. 3. 7.
○ 비용정산시스템 구축 용역비 예산확보(도비 10억원/제1회 추경) : ’17. 5. 26.
○ 도↔ 시·군 상생협력토론회 개최(2차) : ’17. 7. 19.
○ 시·군, 버스조합, 참여업체 회의 : ’17. 9.13, ’17. 9. 25.
○ 시군, 노조, 도의회, 업체, 전문가, 시민단체 참여 합동회의 (17.10.20.) - 성남불참
* 2016년 12월부터 11번 실무회의(시군) 개최
* 작년 7월부터 시군과 90차례 이상 공문 주고받음
* 연정실행위원회 보고 예정(’17.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