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을 신학기 개학대비 학교급식 식중독 예방 사전 합동점검
8월 16일부터 8월 29일까지 학교급식시설, 식재료 공급업체 등 대상
경기도, 지방식약청, 시·군, 교육청,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 합동

최근 3년간 식중독 발생 현황
경기도는 가을 신학기 개학을 앞두고 안전한 학교급식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학교급식소, 식재료 공급업체 등을 대상으로 시·군 합동점검을 실시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합동점검은 오는 16일부터 29일까지 10일간 진행되며, 경인·서울지방식약청, 시·군, 경기도교육청, 소비자식품위생감시원이 참여한다. 개학초기 식중독 발생 가능성이 높은 점 등을 감안해 어느 때 보다 강도 높은 점검을 실시 할 계획이다.
중점 점검대상은 2017년 상반기 미점검 학교 1,014개소를 비롯해 최근 3년간 식중독 발생이력 학교 및 식품위생법 2회 이상 위반 이력 식재료 공급업체, 학교급식소로부터 반품 이력이 있는 식재료공급업체, 채소류 등 비가열식품 등을 제공하는 식재료공급업체 등이다.
주요 점검내용은 유통기한 경과제품 사용·보관 행위, 식재료의 위생적 취급 및 보관 관리, 식품용수의 수질 관리, 급식시설·기구 등의 세척·소독 관리, 분쇄가공육 제품 등 조리 관리, 조리종사자 개인위생 관리, 보존식 적정 보관 여부, 학교 매점에서 고열량‧저영양 식품과 고카페인 함유식품 판매여부 등이다.
경기도는 학교급식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급식시설이 있는 도내 모든 학교(2,367개교)에 대한 전수 점검을 실시한다. 하반기 중 식중독 발생이력이 있거나 노후한 급식시설 학교 100개소를 대상으로 식품안전 전문진단 컨설팅을 실시할 예정이다.
신낭현 보건복지국장은 “경기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학교가 소재하고 있어, 식중독 사고로 인한 학생들의 건강과 학업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므로 사전예방이 중요하다”며, “도내 153만 학생들이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 환경에서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사전점검 및 급식안전 관리에 철저를 기하겠다”고 말했다.
신학기 학교 급식 식중독 예방 대책및 요령
위생적 급식환경
조리 시설‧기구 등은 반드시 철저하게 세척‧소독 후 사용합니다.
* 칼, 행주 등은 끓는 물에서 30초 이상 열탕 소독
* 세제로 1차 세척 후, 차아염소산나트륨액(염소농도 200ppm)으로 소독
바닥 균열‧파손 시 즉시 보수하여 오물이 끼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출입문‧창문 등에는 방충시설을 설치합니다.
식재료의 위생적 보관‧관리
유통기한 및 신선도를 확인합니다.
식품별 보관방법(냉장‧냉동)을 준수합니다.
해동된 식재료는 바로 사용하고 재 냉동하여서는 안 됩니다.
위생적인 조리
칼‧도마‧고무장갑은 용도별(육류‧어류‧채소 등)로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식재료는 철저히 세척‧소독하고, 청결한 조리도구 사용으로 교차오염을 방지합니다.
가열음식은 중심부 온도가 75℃(패류는 85℃), 1분 이상 가열되는지 확인하고 제공합니다.
조리된 음식은 가급적 즉시 섭취하고, 필요한 경우 5℃ 이하 또는 60℃ 이상에서 보관합니다.
무더운 기간 채소류 등은 가능한 가열 조리하여 제공하고, 제공시에는 세척· 소독을 철저히 합니다.
개인 위생관리
설사증세가 있는 조리종사자는 절대로 조리에 참여하거나 음식물을 취급해서는 안 됩니다.
조리‧배식 전, 화장실 다녀온 후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