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사단, 무등산 주상절리대․화순적벽 등에 호평”
기후변화체험관․지오빌리지에도 큰 관심 나타내”
윤장현 시장 인증위한 노력․지역민 열망에 감동”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인증을 위해 11일부터 14일까지 무등산권 일대를 직접 둘러본 현장실사단이 긍정적인 평가를 한 것으로 알려져 인증 성사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번 현장실사에 동참, 실사단을 안내하는 역할을 맡은 허민 대한지질학회 회장(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은 16일 “최종 결과가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라 조심스럽지만, 실사단이 현장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상당히 흡족해했다”고 밝혔다.
허 회장은 “실사단은 무등산 주상절리대와 화순적벽 등에 대해서는 호평을 쏟아냈으며 담양 기후변화체험관 등에서 운영하고 있는 교육 프로그램에도 큰 관심을 보였다”고 전했다.
그는 또 “무돌주막 운영, 지역 가공 농산물 판매 등 문화유산을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자체적으로 생계를 해결하고 마을 경쟁력을 구축하고 있는 지오빌리지에 대해서는 ‘유네스코 정신’과 부합한다는 칭찬도 아끼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허 회장은 “실사단이 지오빌리지를 방문했을 때 거주민들이 음식을 만들어 제공하고 공연도 선보였다”면서 “이러한 모습에 실사위원들은 거듭 감탄사를 터뜨리며 놀라워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평촌마을에서는 거주민이 직접 영어로 마을에서 태어나고 자라며 겪은 경험, 고향에 대한 애틋함을 고스란히 전하며 유네스코 지질공원 인증에 대한 간절한 마음을 호소해 박수갈채를 받기도 했다.
윤장현 시장의 지대한 관심과 노력도 실사단의 마음을 얻는데 큰 역할을 했다. 윤 시장은 지난 해 2월 무등산권의 세계지질공원 인증에 시동을 건 이후 1년5개월여 간 많은 관심을 기울여왔다.
대상지역에 포함된 화순군, 담양군 등과 적극 협력하는 한편 무등산권의 지질학적 가치와 인증 성공에 따른 경제적 효과 등에 대한 홍보에도 적극 나섰다.
본 심사에 앞서 네 차례에 걸쳐 진행된 예비 실사와 국제 워크숍에서도 세계 전문가들을 만나 무등산권의 가치를 알렸다.
허 회장은 “이번 인증 대상에는 광주 뿐 아니라 담양, 화순 등도 포함됐지만 광주시는 주체로서의 역할을 다하고자 최선을 다해왔다”면서 “개인 시간까지도 쪼개 실사단에게 무등산권의 가치를 설명하는 윤 시장의 모습과 인증을 기대하는 지역민의 열망에 실사위원들이 감동을 느꼈다”고 말했다.
이어 “무등산권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된다면 5‧18과는 또 다른 문화유산으로서 전 세계의 조명을 받게 될 것이다”면서 “최종 인증 성사로 무등산권이 세계 속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광주 발전까지도 이끌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무등산권의 세계지질공원 인증 여부는 내년 4월 결정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