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1 (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기획이슈

HACCP 재정 및 기술 지원사업 설명회 개최

‘16년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정책방향 및 HACCP 재정 및 지원사업의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위하여 1.18~22일까지 4일간 전국 8개 지역 순회 설명회 개최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2016년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제도의 활성화를 위하여 HACCP 재정 및 기술 지원 사업 설명회를 1월 18일부터 22일까지 4일간 전국 8개 지역에서 순회 개최한다고 밝혔다.
    
※ 8개 지역: 5개 지방청(서울, 부산, 경인, 광주, 대구),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대전), 강릉보건소(강원), 제주시청(제주)

주요 내용은 ▲HACCP 관련 법령 제‧개정 등 정책방향 설명 ▲ HACCP 기술지원 사업 안내 ▲소규모(5억 미만, 종업원 21명 미만)업체 HACCP 적용을 위한 재정지원 사업 안내 등이다.
 
‘17년까지 순대는 HACCP 의무적용, 떡류(떡볶이떡 포함)는 HACCP 의무적용 조기 확대를 추진 중에 있으며, 올해 순대 및 떡류 제조업체 161개소에 대하여 시설개선자금 및 컨설팅 비용을 신설‧지원할 계획이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을 통하여 HACCP 의무적용 및 자율적용 희망 업체를 대상으로 ‘맞춤형 현장 기술지도’를 실시한다. 
  
이미 HACCP을 인증 받아 운영 중인 업체 중 희망업체 대해서도 기술지도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HACCP의 안정적인 정착을 도모할 예정이다.
    
’15년도 HACCP 인증 전‧후 기술지원 및 상담 실시: 2,806회
 
그동안 소규모 HACCP 의무적용 업체의 원활한 HACCP 적용을 위해 총 1,282개소 128억 원의 재정지원과 함께 기술지원을 해 왔으며, 올해도 소규모 HACCP 의무적용 146개소에 대하여 위생안전 시설개선자금을 지원한다. 
 
자금지원(개소/억원): ’10년 70(7) → ’11년 150(15) → ’12년 350(35)→ ’13년 250(25) → ’14년 231(23.1) → ’15년 231(23.1) 

식약처는 식품제조업체들이 HACCP을 적용하는데 필요한 재정과 기술 지원을 받아 식품안전관리기반 구축에 기여할 거라며 앞으로도 HACCP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전진선 양평군수... “양평 서부의 미래를 열다”
민선8기 전진선 양평군수가 지난 3년간 양평의 관문인 서부권 도약을 위해 다져온 여정이 가시화되고 있다. 2026년 경기도 정원문화 박람회 대상지로 세미원, 두물머리가 선정되는 쾌거를 통해 국가정원으로 가는 교두보를 마련했고, 양평 최대규모의 국수역세권 도시개발 사업이 경기도의 승인을 얻어 양평 서부권 대전환의 획기적인 계기가 됐다는 평을 받는다. 군은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지역의 여건과 자원을 활용한 맞춤형 전략을 실행해 양평 서부권 지역의 가치를 굳건히 하고 그 입지를 확고히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양평군수 세미원, 국가정원 향해 뛴다… 양평군 글로벌 정원도시 비전 가동 경기도 최초 지방정원인 세미원이 국가정원으로 도약할 채비를 갖추고 관련 절차 마무리에 하나씩 들어가고 있다. 양평군은 세미원과 두물머리를 거점으로 글로벌 정원관광 도시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양평군은 오는 9월까지 1만4천㎡ 규모의 세미원 전면부 시설개선사업을 실시한다. 세미원 주차장과 진입부 노후화에 따른 주민 불편사항을 해소하고 개방형 진입광장과 휴게시설을 조성해 다목적 녹지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2027년 내로 두물머리 생태학습장 조성지 및 가정천 일원을 편입하여 정원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