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하메드 빈 자예드 국제 로봇경진대회(Mohamed Bin Zayed International Robotics Challenge, MBZIRC) 주최자인 칼리파대학(Khalifa University)이 대회를 2017년3월16~18일 아부다비의 야스 마리나 서킷(Yas Marina Circuit)에서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대회는 세 가지 챌린지(challenge)와 철인3종 형식의 ‘그랜드 챌린지’(Grand Challenge)로 구성되어 있어서 서킷의 넓은 지역에 걸쳐 열리게 된다. ‘챌린지1’은 참가 팀들이 무인항공기(UAV)를 사용하여 이동 중인 지상 차량을 찾아 추적한 후 그 위에 착륙시키는 경기이다. 이는 UAV가 움직이는 지상 차량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경로와 속도에 따라 비행하여 이동 중인 목표물 위에 착륙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챌린지2’는 무인 지상차량(UGV)을 통해 패널(panel)을 찾아 접근하여 거기에 있는 밸브를 물리적으로 작동시키는 경기이다. UGV가 그렇게 하려면 그 패널의 경로를 추적하여 위치를 파악하고 밸브를 확인한 다음 그것을 잠그는 데 적절한 도구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챌린지3’은 UAV팀이 서로 협력
건국대학교 스포츠급 경항공기개발 연구단이 순수 국내 기술의 가벼운 복합소재와 국내 IT기술을 활용한 국산화 경항공기(KLA-100)를 개발, 비행시제 1호기를 출고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경항공기(KLA-100)는 민간항공기 분야에서 KC-100(4인승, 한국항공우주산업(주))에 이어 순수 국내 기술로 제작되는 두번째 경항공기로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경항공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며 국내 항공산업의 발전과 민간항공기 수출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건국대 스포츠급 경항공기개발 연구단은 국토교통부의 항공선진화 사업인 ‘레저용 경항공기 국산화 개발사업’을 수주하면서 2011년 구성됐으며 가볍고 튼튼한 복합소재를 사용해 기체를 경량화하고 항공전자 장비도 국내 IT기술을 활용해 국산화개발을 해왔다. 이번 사업은 총 연구개발비 279억원(정부 213억/민간 66억원)의 대형연구개발사업으로 건국대를 비롯해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주)베셀, 퍼스텍(주) 등 10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경항공기의 설계 제작 시험평가에 이르는 항공기개발과 항공전자장비의 자체기술을 확보해 경항공기사업을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육성하고 특히 성능과 가격면에서 경
▶ KT, NGMN 5G 표준화 프로그램 1단계 의장으로서 기술회의 주최▶ NGMN의 5G 무선 기술 및 망구조 기술 가이드 문서 작성 및 3GPP 제출 주도 예정▶ 국내 사업자 최초로 5G 주파수 표준화 방안 3GPP 승인 얻어 KT(회장 황창규, www.kt.com)가 11월 30일과 12월 1일 양일 간 서울시 서초구 KT연구개발센터에서 차세대 이동통신 국제표준화단체인 NGMN의 5G 시험 및 시범서비스 선도 프로그램’ 기술회의를 주최했다. NGMN은 전 세계에 산재돼 있는 5G 후보 기술들을 상용 서비스 제공 기준으로 재 평가한 후, 이 기술들을 글로벌 표준 단체에 표준화 가이드 라인으로 제공하기 위해 ‘5G 시험 및 시범서비스 선도 프로그램(5G Trial Testing Initiative)’을 결성했다. KT는 이 프로그램의 기획 단계부터 참여해 프로그램 진행 및 운영 방안을 수립했으며, 프로그램의 1단계인 "기술 구성요소 시험(Tests of Technology Building Blocks)"의 의장으로서 이번 회의를 주최했다. KT가 NGMN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글로벌 5G 표준화에 핵심적인 기여를 해온 점을 인정받은 것이라 평했다. 5G 시
융기원, 25일 융기원 컨퍼런스룸서 국제융합기술심포지엄 열어융합을 위한 교육 그리고 협력’주제로 토론 및 발표 진행동경대, 포항공대 등 국내외 융합과학기술 기관·전문가 한자리에4차 산업혁명시대 선도할 핵심방안으로서 융합교육기술 역할 모색 융합과학기술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국내외 협력방안을 구축하기 위한 ‘2016 국제융합기술심포지엄’이 광교에서 열린다.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은(원장 박태현, 이하 융기원) 25일 오전 9시30분 융기원 1층 컨퍼런스룸에서 ‘융합을 위한 교육 그리고 협력 (Education and Cooperaton for Convergence)’이라는 주제로 이번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융기원과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이하 융대원)이 공동주관하는 이번 행사에는 정병선 미래창조과학부 국장, 료헤이 칸자키(Ryohei Kanzaki) 일본 동경대 선단과학기술연구센터(RCAST) 원장, 김도연 포항공대 총장 등 국내외 융합기술관련 전문가와 교수, 연구자 2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국제융합기술심포지엄은 융기원이 매해 개최하는 국제 행사로 올해는 특히 국내 융합기술의 지난 연구와 교육을 되짚어보고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기 위한 발전방향을
페이스북의 고객 행동 측정 및 분석 도구인 ‘앱 분석(Analytics for Apps)’이 페이스북 메신저 봇(bots for Messenger)에도 적용된다. 챗봇에 대해서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게 된 업계 첫 사례다. 전 세계 10억 명의 사용자를 보유한 페이스북 메신저의 메신저 플랫폼(Messenger Platform)은 비즈니스와 개발자들이 쉽게 메신저 봇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메신저 봇을 활용한 서비스의 예로는, 날씨 안내, 예약, 온라인 쇼핑, 결제, 자동 상담 등이 있다. 메신저 봇은 올 4월 페이스북의 연례 개발자 행사 ‘F8’에서 첫 선을 보인 이후 현재까지 34,000개가 생성되는 등, 비즈니스가 보다 연관성 있는 방식으로 고객과 직접 소통하는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같은 메신저 봇의 성장에 힘입어 페이스북은 80만 개 이상의 모바일 앱과 웹사이트에 대한 분석과 인사이트를 제공해 온 ‘앱 분석’을 메신저 봇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적용했다. 이로써 개발자와 비즈니스들은 메신저 봇·앱·웹사이트 전반에 걸친 통합 분석과 비즈니스 성과를 쉽게 측정할 수 있게 됐다. 또한 비즈니스가 고객과 주
삼성전자가 RCS(Rich Communication Services) 기술 기업인 ‘뉴넷 캐나다(NewNet Canada)’를 인수한다고 1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수를 통해 차세대 문자메시지 기술인 RCS 사업에 본격 진출하고 관련 서비스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향후 RCS 인프라가 없는 이동통신사업자에게 RCS 서버 솔루션을 제공해 이동통신사업자들의 RCS 도입을 가속화하고 RCS 기술이 탑재된 디바이스 보급을 확대해 보다 빠른 RCS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예정이다. RCS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가 만든 통합 메신저 규격으로 별도의 가입 절차 없이 기존 단순 메시지(SMS) 전송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고해상도 사진 전송, 그룹 채팅 등이 가능하다. 또한 RCS 기술을 채용한 이동통신사업자간 연동도 가능해 사용자들은 RCS 지원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할 예정이다. 캐나다 노바스코샤의 핼리팩스(Halifax, Nova Scotia)에 위치한 ‘뉴넷 캐나다’는 2009년 뉴페이스 테크놀로지(NewPace Technologies)로 설립되었으며 이후 2014년 미국의
TI 코리아가 모터 위상 전류를 각 위상 라인에서 직접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전류 감지 증폭기 제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기존 전류 감지 증폭기보다 전반적으로 모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신제품 INA240은 최대 80V로 동작하는 시스템을 위한 제품으로, 향상된 PWM(pulse-width modulation) 제거(rejection)가 가능하여 모터 제어, 솔레노이드 제어, PD(power delivery)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할 수 있다.(보다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 참조) ◇INA240의 주요 기능 및 장점 모터 효율을 높이기 위해 향상된 PWM 제거 고속 PWM 모터 제어 시스템은 높은 AC 및 DC 정확도가 요구된다. INA240의 향상된 PWM 제거는 과도현상 억제를 개선하여 개발자의 블랭킹 시간을 줄이고 모터 제어 알고리즘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모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뛰어난 유연성으로 다양한 모터 애플리케이션 요구 충족 INA240은 100kHz을 넘는 PWM 속도, 최고 10V/ns에 이르는 스위칭 에지 속도, 최대 80V에 이르는 시스템 전압으로 동작할
사단법인 한국소프트웨어세계화연구원이 17일, 서울 역삼동 팁스타운팁스홀에서 ‘MIT 벤처 멘토링 프로그램 데모데이’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MIT 벤처 멘토링 프로그램은 서울시 내 벤처 창업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추진되는 ‘민간창업지원기관 협력연계사업’의 일환으로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하여 미국 보스톤의 MIT 대학 멘토링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국내 우수 벤처 전문가들의 경영 및 기술 자문 등 멘토링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MIT 벤처 멘토링 프로그램 데모데이는 서울시에서 주최하고 사단법인 한국소프트웨어세계화연구원이 주관하는 행사이며 MIT 벤처 멘토링 프로그램을 이수한 창업자 중 ‘인터랙티브 매거진 플랫폼 앱 서비스를 제공하는 드리무스’, ‘마을이야기 공유, 커뮤니티 맵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링크하우스’, ‘부동산 포털 플랫폼을 제공하는 심하우스’, ‘소비자 위주 간편 결제 앱 서비스를 제공하는 쇼비’, ‘증강현실 기반 게임 ’코드몽‘의 언리얼파크’, ‘인공지능 기반 실시간 장소 공유 플랫폼을 제공하는 미니어스’등 6개 기업이 참가하여 IR 피칭을 진행할 예정이다. 신향숙 이사장은 “우리 연구원에서 운영하는 MIT 벤처 멘토링
KT는 세계 최고속도이자 대용량인 APG(Asia Pacific Gateway) 국제해저케이블을 개통하고, APG 전체 구간에 대한 본격적인 운용 및 관제에 들어간다고 9일 밝혔다. ‘APG 국제해저케이블’은 한국과 일본, 중국, 대만, 태국, 홍콩, 베트남, 싱가폴, 말레이지아 등 총 9개국을 연결하는 연장 11,000km 길이의 해저 광케이블이다. ‘APG 국제해저케이블’은 당초 40Gbps(파장당)의 속도로 설계되었으나 구축과정에서 2.5배 향상된 100Gbps(파장당)의 속도로 업그레이드 됐다. 현재 운용중인 국제해저케이블 중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며, 용량 또한 60Tbps로 대용량이라 Super APG라 불린다. ‘APG 국제해저케이블’의 약 60% 구간을 KT 서브마린(KT 자회사)에서 전담 시공해 해저케이블 구축분야에 있어서도 독보적인 기술력을 입증하게 됐다고 KT는 밝혔다. KT는 이번에 개통한 ‘APG 국제해저케이블’을 활용해 아시아 지역 해저케이블 네트워크를 이중화 완료했다. 이는 2018년 평창 5G 시범서비스로 발생되는 대용량 국제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데 활용된다. 향후 KT는 2017년에 한국과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