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금강권역 보령댐 가뭄 관심 단계 진입, 도수로 가동 개시

- 하루 최대 11만 5천톤의 금강 물을 보령댐에 보충 -


□ 환경부(장관 한화진)는 3월 3일 19시를 기준으로 금강권역 보령댐(충남 보령시)이 가뭄 ‘관심’ 단계에 진입했으며, 이날부터 가뭄 대응 조치로 보령댐 도수로를 가동한다고 밝혔다.

 ○ 이번 보령댐의 가뭄단계 진입으로 환경부 소관 댐 34곳 중 가뭄 관리 댐은 총 9곳*(①관심 1곳, ②주의 4곳, ③경계 0곳, ④심각 4곳)으로 늘어났다.
   *【관심】보령,【주의】합천, 안동·임하·영천,【심각】주암·수어, 섬진강, 평림

□ 가뭄 대응 시설인 보령댐 도수로는 하루 최대 11만 5천톤(보령댐 생활·공업용수 공급량의 약 47%)의 금강 물을 보령댐에 보충할 수 있으며, 지난해 8월 16일 가동 중지 이후 약 200여 일 만에 다시 가동됐다.

 ○ 이는 2021년 12월 관계기관 협의를 통해 도수로 가동 기준이 ‘경계’에서 ‘관심’ 단계 진입으로 변경됨에 따른 조치이다.

 ○ 환경부는 이러한 선제적인 조치로 올해 홍수기(6월 21일∼9월 20일) 시작 전까지 보령댐의 가뭄 단계가 ‘경계’까지 격상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손옥주 환경부 수자원정책관은 “댐 가뭄이 영산강・섬진강 권역과 낙동강 권역에 이어 금강 권역까지 확대되는 상황이다”라며, “상대적으로 저수상황이 양호한 한강권역 댐을 포함한 전국 댐의 저수 및 용수 공급 상황을 철저히 관리하고 가뭄 대응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보령댐 도수로 현황.
      2. 다목적댐과 용수댐 강우 및 저수현황.  끝.

담당 부서

환경부

책임자

과 장

박병언

(044-201-7611)

<총괄>

수자원정책과

담당자

사무관

강민지

(044-201-7612)

 

금강강홍수통제소

책임자

과 장

백창현

(041-851-0521)

 

예보통제과

담당자

연구사

오성렬

(041-851-0553)

 

한국수자원공사

책임자

부 장

유제호

(042-629-3501)

 

수자원운영처

담당자

차 장

이동훈

(042-629-3502)

 

한국수자원공사

책임자

부 장

이상익

(063-281-1220)

 

금강유역관리처

담당자

차 장

차영준

(063-281-1226)


붙임 1

 

보령댐 도수로 현황


 ❍ (목 적) 충남 서부지역의 가뭄재난 극복

 ❍ (시 설) 관로(길이 21.9km, 직경 1,100mm), 취수장 1개소, 가압장 2개소

 ❍ (운 영) 금강 백제보 하류에서 금강 하천수를 취수 → 보령댐 상류 반교천에 방류 → 보령댐으로 유입 (최대 115천㎥/일)

   ※ 관개기(4∼9월)에는 대청·용담댐 원수를 금강에 방류하여 보령댐 도수로를 통하여 보령댐에 공급하고, 그 외 기간에는 금강 하천수를 보령댐에 공급

 ❍ (운영시기) 보령댐이 가뭄 관심단계에 진입할 경우 보령댐 도수로를 가동하고, 정상회복 기준저수량에 도달할 경우 가동 종료


< 보령댐 도수로 위치도 >



붙임 2

 

다목적댐과 용수댐의 강우 및 저수현황

               
 다목적댐(20)
                                                                                 (‘23.3.3.17)

구 분

저수량(백만)

강수량()

가뭄

단계

권역

수계

총 저수량

현재 저수량

예년대비

(%)

작년(‘22)

(1.112.31)

예년대비

(%)

금년(‘23)

(1.13.3)

총 계

12,923

5,866

101

1,141

91

40

 

한강

소양강

2,900

1,547

120

1,545

127

40

정상

충주

2,750

1,597

133

1,375

113

31

횡성

87

57

138

1,805

132

41

낙동강

안동

1,248

501

94

967

85

32

주의

임하

595

171

75

689

69

24

주의

성덕

28

11

79

808

65

32

정상

영주

181

61

80

941

79

31

-

군위

49

13

68

627

65

17

정상

김천

부항

54

21

74

887

71

37

보현산

22

3

37

671

67

26

합천

790

226

67

770

59

43

주의

남강

309

109

89

991

65

71

-

밀양

74

44

113

1,217

81

75

정상

금강

용담

815

314

81

988

70

38

대청

1,490

806

100

973

82

32

기타

보령

117

37

80

1,500

110

35

관심

영산강·섬진강

섬진강

섬진강

466

90

49

937

71

30

심각

주암

707

164

52

966

67

83

심각

주암

()

기타

부안

50

34

119

1,080

79

45

정상

장흥

191

60

72

918

63

97

     
 용수댐(14)
                                                                                                                          (‘23.3.3.17)

구 분

저수량(백만)

강수량()

가뭄

단계

권역

수계

총 저수량

현재 저수량

예년대비

(%)

작년(‘22)

(1.112.31)

예년대비

(%)

금년(‘23)

(1.13.3)

총 계

445

183

98

975

75

54

 

한강

광동

13

7

103

1,067

83

34

정상

기타

달방

9

6

111

1,189

88

66

영천

103

37

101

720

63

30

주의

운문

160

69

102

1,028

82

53

정상

안계

18

11

102

868

76

38

감포

3

2

141

1,077

88

68

대곡

36

4

38

977

75

66

-

사연

30

5

58

935

68

70

-

대암

13

6

109

1,113

77

75

정상

선암

2

2

95

856

62

57

연초

5

3

119

1,215

75

122

구천

10

4

63

1,235

63

152

영산강

·

섬진강

영산강

평림

10

3

58

808

59

54

심각

기타

수어

31

25

140

1,300

70

118

심각

 대곡-사연댐은 반구대암각화 침수방지를 위해 댐운영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저수율이 낮은 경우에도 가뭄단계별로 대응하지 않고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대암댐에서 대체공급 시행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