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가 주최한 ‘2020년 해양쓰레기 업사이클링*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폐마스크를 활용한 모서리 안전 가드(최문정作)’가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 업사이클링(Upcycling): 버려지는 제품에 친환경적 디자인을 가미하여 예술성, 기능성, 심미성을 가진 새로운 용도의 제품으로 재탄생시키는 것
해양수산부는 해양쓰레기 재활용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2018년부터 매년 ‘업사이클링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해 왔다. 올해는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재택근무 등 실내생활 시간이 늘어난 점을 감안하여 인테리어 소품 및 장식품에 대한 재활용 아이디어를 주제로 11월 16일(목)부터 12월 7일(목)까지 공모를 진행한 결과, 총 109건의 아이디어 응모작이 접수되었다.
해양수산부는 응모작에 대해 상품성, 적합성, 디자인, 창의성 등의 평가요소에 대해 관련 전문가 등의 심사를 거쳐 대상 1점, 우수상 3점, 장려상 5점을 선정하였다.
대상에 선정된 ‘폐마스크를 활용한 모서리 안전 가드(최문정作)’는 쓰고 버려진 마스크를 활용해 모서리 안전 가드 보호캡을 제작하는 아이디어로 상품성과 적합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우수상은 버려진 요트의 돛을 재활용해 만든 파티용품 세트인 ‘Sail Up 방구석 파티 세트(이효은作)’, 해양 플라스틱을 재활용한 무드등 ‘JUDA : 밝혀주다, 지켜주다(배한솜作)’, 플라스틱을 활용한 내벽용 인테리어 타일인 ‘데크 타일형 Design Wall 프롬오션(내벽타일, 김흥식作) 등이 최종 선정되었다.
대상 수상자에게는 해양수산부 장관상과 100만원의 상금을 수여하고, 우수상과 장려상 수상자에게는 해양환경공단 이사장상과 함께 상금 50만원과 10만원을 개별 수여할 계획이다.
최성용 해양보전과장은 “수상작들은 향후 해양환경 행사 및 캠페인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라며, “해양쓰레기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소중한 업사이클링 아이디어가 활발히 활용되고 상용화로까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구분 | 제목 | 아이디어 내용 | 이미지 |
대상 (1) | 폐마스크를 활용한 모서리 안전 가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해양생태계와 일상을 가드하는 폐마스크를 활용한 모서리 안전 가드 보호캡 | 
|
우수상 (3) | Sail Up 방구석 파티 세트 | 요트 돛을 업사이클링하여 만든 와인백, 글래스 코스터, 테이블 매트로 구성된 파티 아이템 세트 | 
|
JUDA : 밝혀주다, 지켜주다. | 해양쓰레기 플라스틱을 활용해 격렬비열도 등대와 같은 현존하는 등대를 모티브로 제작한 무드등 | 
|
데크 타일형 Design Wall ‘프롬오션’ | 플라스틱과 플라스틱으로 만들어낸 섬유를 활용하여 기능과 디자인을 모두 충족시키는 내벽용 인테리어 타일 | 
|
장려상 (5) | 고래상어를 신다, 고래상어 슬Re퍼 | 해양플라스틱 수급량과 종류에 따라 PVC, EVA의 재질을 섞어 만든 고래상어 모양의 욕실용 슬리퍼 | 
|
바다걸이 | 폐플라스틱을 활용해 만든 고래 꼬리 형상의 옷걸이 | 
|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해양 캐릭터 옷걸이 | 폐플라스틱을 활용해 만든 해양 생물 형태의 하단 집게 복합형 옷걸이 | 
|
미래를 심는 화분 | 식물을 심으면, 식물이 자라면서 화분에 식물의 모습이 더해져 색다른 모습을 볼 수 있는 해양생물을 형상화한 인테리어 화분 | 
|
우리집 수호천사 부표 조명 우편함 | 코로나19시대, 비대면 우편물 증가를 고려해 폐부표를 활용해 제작한 은은한 조명이 비추는 우편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