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로봇산업 육성 기반 조성으로 도시형 미래산업 선점한다

고대영 부산시의원이 발의한 「부산광역시 로봇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 상임위원회 심사 결과 원안가결, 7월 중 공포‧시행 예정
로봇산업 육성 관련 시장의 책무 및 지원 근거 마련, 활용사업 확대 등 규정을 통한 로봇산업 육성 기반
마련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부산광역시의회 도시안전위원회 고대영 의원(영도구1)이 발의한 「부산광역시 로봇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이 18일, 소관상임위인 경제문화위원회에서 원안가결 되었다.
 로봇은 IoT, AI, 5G 등과 같이 4차 산업의 핵심기술이며, 로봇산업은 4차 산업 신기술과 융합하면서 연관 비즈니스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래유망 산업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언택트(Untact) 사회 전환 차세대 기술로 무인 로봇기술이 전세계적으로 주목 받는 가운데, 로봇산업에 대한 투자와 R&D 확대 등 로봇 붐이 형성되고 있다. 2017년 36조원인 시장 규모가 연평균 17% 성장을 거듭하여 2021년에는 66조원으로 성장이 예상된다.
 우리 정부에서도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14대 혁신성장동력 분야로 지능형로봇을 선정하고, 제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을 통해 적극적인 로봇산업 육성 사업을 추진이다. 부산시도 2011년 현재까지 총 2,386억원을 투입하여 19개 사업을 완료했거나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정부의 대구‧경북 중심의 산업 육성 추진에 따라 2018년 기준으로 전국 로봇산업에서 부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4% 내외로 미비하여 보다 적극적인 육성 시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고 의원은 부산시가 로봇산업을 신규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자 이번 조례안을 발의했다.
 조례안은 로봇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및 발전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장의 책무를 규정하고, 로봇산업 육성 기본 계획 수립‧시행 및 실태조사, 연구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 관련 사업자 지원 등 로봇 관련 육성사업 추진 근거 마련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특히, 향후 세계시장의 동향이 서비스로봇 등으로 확대될 것이 예상됨에 따라, 기존 제조로봇에 치중된 관련 산업 육성 방향을 서비스 및 해양, 물류, 교육 등으로 확대하여 세계시장 흐름에 대해 선제적이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근거도 마련하였다.
 고 의원은, “로봇산업은 4차산업 핵심 도시형 미래산업으로, 부산이 이를 선도하여 새로운 먹거리산업으로 육성할 경우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조례 제정 후에도 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시책 방향 적정성 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등 부산이 로봇산업의 선도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례안은 오는 29일 제287회 정례회 2차 본회의 심의 후 7월 중 공포‧시행될 예정이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김두겸 울산시장 ‘제59차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임시총회’참석
울산시는 김두겸 울산시장이 4월 19일 오후 4시 부산 파라다이스 호텔에서 개최된 ‘제59차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임시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는 김두겸 울산시장을 비롯해 17개 시‧도지사가 참석한 가운데 협의회 현안사항 보고, (가칭)지역 맞춤형 외국인 정책 도입과 중앙지방협력회의 우선 상정 지방안건 논의, 시‧도 협조 및 홍보사항 등으로 진행됐다. 주요 현안사항으로는 ▲자치입법권 강화 및 지방자율성 제고를 위한 법령 정비 ▲지방 자주재원 확충 방안 ▲중앙투자심사제도 및 타당성조사제도 개선(안) ▲중앙지방협력회의 안건 및 상정절차 신설 ▲기준인건비 제도의 합리적 개선 방안 ▲교육재정 합리화 방안 ▲특별지방행정기관 기능정비 ▲2024 시도지사 정책 학술회의(컨퍼런스) 개최 등이 보고됐다. ‘(가칭)지역 맞춤형 외국인 정책 도입’은 신규 논의안건으로 지역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생산인구 감소와 외국인 인력 확보를 위한 개선방안 등을 내용으로 심도 있게 의견들을 교환했다. 이어 중앙지방협력회의 우선 상정 지방안건 대상으로는 ▲중앙투자심사제도 및 타당성조사제도 개선(안) ▲중앙지방협력회의 안건 및 상정절차 신설 ▲지역 맞춤형 외국인 정책 도입에 대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