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産銀, 호주 퀸즈랜드 주정부와 MOU 체결

호주 퀸즈랜드州 진출 한국기업 지원에 양기관간 협력 증진키로


산업은행은 호주 퀸즈랜드(Queensland) 州정부와 5월 19일(목)  호주 퀸즈랜드州에 투자하는 한국기업 지원을 위한 양자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해외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을 통해 한국 기업 금융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는 산업은행과 한국기업 투자를 유치하려는 퀸즈랜드 州정부 간 이해관계가 맞아 추진되었으며,    
업무협약 내용은 퀸즈랜드州 내 인프라자산, 천연자원 및 에너지  산업 분야에 한국기업의 투자를 촉진하기 위한 양기관간 협력과  산업은행 고객에 대한 퀸즈랜드 州정부의 지원을 주요 골자로 한다.

호주 퀸즈랜드州는 석탄, 천연가스 등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으로,  한국가스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POSCO, 대림산업, 한화큐셀 등  20여개의 에너지·자원 관련 한국기업이 진출해 있는 곳이다.
 
산업은행은 이미 호주 퀸즈랜드州에서 Wiggins Island(위긴스 섬) 석탄수출터미날 사업에 금융참여(참여금액: U$3억)한 바 있으며,

현재 州정부 기업인 퀸즈랜드투자공사(QIC; Queensland Investment Corporation)가 운영하는 QIC Global Infra Fund에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그 밖에 호주 New South Wales州 항만민영화 사업, West     Connex 도로사업 등 지금까지 총 6건의 PF 사업에 U$5.7억을  참여하여 호주 내 PF 사업의 금융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한편 산업은행은 작년 12월 거대 호주 PF 시장 공략을 위한 전초기지로, 호주 시드니사무소를 개소하여 운영해 오고 있다.
 
산업은행은 본 MOU를 계기로 인프라 및 에너지.자원산업의 대표적 PF 시장인 호주에 진출하는 한국기업들의 금융수요에 적극 대응하는 한편, 해외 PF금융 업무 활성화를 통한 미래성장 동력 확보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호주 퀸즈랜드 주정부(The State of Queensland)와의 MOU 사진
일시 : '16. 5. 19(목) 18:00~18:30
장소 : 서울 포시즌즈 호텔(Four Seasons Hotel, Seoul)

사진 설명
사진 1
오른쪽 : 산업은행 PF본부장  임맹호
왼  쪽 : 호주 퀸즈랜드 주정부(The State of Queensland Australia) 부수상(Deputy Premier)
재키 트라드(Jackie Trad)

사진 2 (앞줄)
오른쪽 : 산업은행 PF본부장  임맹호
왼  쪽 : 호주 퀸즈랜드 주정부(The State of Queensland Australia) 부수상(Deputy Premier)
재키 트라드(Jackie Trad)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시민이 제안하고 시(市)가 반영한다…고양시 주민참여예산은 진화중
올해 시행 12년을 맞는 고양시(시장 이동환) 주민참여예산제도가 지역 민주주의 대표 사례로 자리매김하며 예산의 효용성과 체감도를 높여 시민과 함께 만드는 시정 운영을 실현하고 있다. 전문성이 강화된 주민참여예산위원회로 바꾸고 기존 분과별 심의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성, 투명성이 반영되도록 제안된 사업을 모든 분과가 나눠 검토하는 구조로 개편했다. 또한, 청소년과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SNS 서포터즈를 운영해 젊은 세대의 시선으로 예산제도를 홍보하고 디지털 채널을 활용한 참여 유도에도 힘쓰고 있다. 올해부터는 청소년·청년 예산학교를 1회에서 3회로 확대 운영해 청소년과 청년의 시정 참여 기반도 넓힐 예정이다. 이 같은 노력으로 최근 3년간 주민 제안을 반영한 총 121개 사업에 약 59억 원을 투입했다. 주로 △시민편의 △보행환경 개선 △안전 △교통 등 생활밀착형 분야들로 행정이 미처 파악하지 못했던 일상 속 겪는 실질적인 불편을 해소하고, 지역 특수성을 반영한 체감형 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문성 더한 제7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활동…예산학교 운영 통해 내실 강화시는 주민이 예산 편성 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올해는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