붙임 1 | | 흰꼬리유리딱새 분포지역 |

붙임 2 | | 흰꼬리유리딱새 관련사진 |
흰꼬리유리딱새 (2021. 4. 25. 신안 흑산도) |
흰꼬리유리딱새 (2021. 4. 25. 신안 흑산도) |
흰꼬리유리딱새 (2021. 4. 25. 신안 흑산도) |
흰꼬리유리딱새 (2021. 4. 25. 신안 흑산도) |
붙임 3 | | 조류연구센터 미기록종 발견 현황 |
□ 조류연구센터 국내 미기록종 총 25종 확인
번호 | 종명 | 발견일 | 발견 장소 | 비고 |
1 | 긴다리사막딱새 | 2003.05.01. | 신안군 흑산도 | |
2 | 흰머리바위딱새 | 2003.11.03. | 신안군 홍도 | |
3 | 가면올빼미 | 2003.12.25. | 신안군 흑산도 | 사체 수집 |
4 | 북방쇠개개비 | 2004.04.08. | 신안군 홍도 | |
5 | 귤빛지빠귀 | 2004.05.08. | 신안군 홍도 | |
6 | 붉은등때까치 | 2005.09.08. | 신안군 홍도 | |
7 | 꼬까울새 | 2006.03.27. | 신안군 홍도 | |
8 | 집참새 | 2006.05.18. | 신안군 흑산도 | |
9 | 목점박이비둘기 | 2006.05.23. | 신안군 홍도 | |
10 | 연노랑솔새 | 2006.09.20. | 신안군 홍도 | |
11 | 흰점어깨수리 | 2006.10.29. | 신안군 흑산도 | |
12 | 풀밭종다리 | 2006.12.21. | 신안군 흑산도 | |
13 | 흰배줄무늬수리 | 2007.03.21. | 신안군 우이도 | 사체 수집 |
14 | 흰턱해변종다리 | 2009.04.02. | 신안군 홍도 | 해변종다리 아종 |
15 | 흰이마알락할미새 | 2009.04.07. | 신안군 홍도 | 알락할미새 아종 |
16 | 쇠덤불개개비 | 2011.09.06. | 신안군 흑산도 | |
17 | 노랑배솔새 | 2015.04.19. | 신안군 흑산도 | |
18 | 푸른머리되새 | 2016.11.10. | 신안군 흑산도 | |
19 | 풀쇠개개비 | 2017.09.23. | 신안군 흑산도 | |
20 | 알래스카긴발톱멧새(가칭) | 2017.11.13. | 신안군 흑산도 | 긴발톱멧새 아종 |
21 | 검은턱알락할미새(가칭) | 2018.03.29. | 신안군 흑산도 | 알락할미새 아종 |
22 | 덤불개개비(가칭) | 2018.08.30. | 신안군 칠발도 | |
23 | 바위양진이(가칭) | 2019.10.09. | 신안군 흑산도 | |
24 | 갈색솔딱새(가칭) | 2020.05.12. | 신안군 흑산도 | |
25 | 흰꼬리유리딱새(가칭) | 2021.04.20. | 신안군 흑산도 | |
붙임 4 | | 질의응답 |
1. 1 미기록종 확인은 어떤 의미가 있나요? |
○ 그동안 국내에 관찰되지 않았던 종을 미기록종이라고 합니다. 이번 흰꼬리유리딱새처럼 기상악화 혹은 알 수 없는 이유로 원래의 분포지에서 벗어나 미조로 도래한 경우가 있는가 하면, 기후변화로 인해 점차 분포지가 확장되어 새롭게 관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대표적인 종으로 2000년대 초반에 국내 처음으로 확인된 “붉은부리찌르레기”, “검은이마직박구리”, “노랑배진박새” 등이 있습니다. 위 종들은 점차 개체수와 관찰지역이 꾸준히 증가하고 일부는 국내에서 번식도 하고 있습니다.
○ 현재 흰꼬리유리딱새는 미조로 도래한 것으로 추측되지만 향후 국내 관찰 빈도와 개체수 변화 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2. 2 조류는 미조(길잃은새) 이외에도 어떤 유형이 있나요? |
○ 조류는 국내 번식유무, 관찰시기, 이동시기 등 이동성에 따라 크게 5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미조(길잃은새): 태풍 같은 기상변화 혹은 기타 알 수 없는 이유로 정해진 경로를 벗어나 그 종이 찾아오지 않는 곳에 돌연히 나타나는 종입니다.
○ 텃새: 계절의 변동에 따라 이동하지 않고 1년 내내 한반도에서 관찰되는 종입니다.
○ 여름철새: 봄에 동남아시아 등 여러 나라에서 긴 여행을 떠나 한반도에 도착한 후 여름에 둥지를 틀고 번식하는 종입니다. 번식 후 가을이 되면 다시 남쪽으로 이동합니다.
○ 겨울철새: 한반도보다 북쪽에서 번식한 후 남쪽으로 이동하여 겨울에 한반도에 머무는 종입니다.
○ 나그네새: 한반도보다 북쪽지역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 호주 등지에서 월동하는 종입니다. 번식을 위해 한반도를 잠시 경유하기 때문에 여름에는 볼 수 없고 봄, 가을 이동시기에만 관찰됩니다.
3. 3 조류모니터링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
○ 조류모니터링은 철새의 이동 생태를 연구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방법이며, 환경적·기후적 변화에 대한 철새의 적응력을 판단할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기도 합니다.
○ 조사방법은 정해진 경로를 따라 도보로 이동하며 쌍안경과 망원경을 이용하여 육안 관찰 및 소리로 확인되는 모든 조류를 기록합니다. 국립공원공단 조류연구센터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 내 진리마을, 배낭기미습지, 예리마을, 예리항 등 4개 지역을 기상악화 등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매일 조류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조류연구센터는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 일대에서 2005년부터 현재까지 조류모니터링을 통하여 총 368종 2,278,000여 개체를 관찰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