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농축산식품

도 농식품 수출 성장세 올해도 이어간다. 연간 목표 16억 달러

○ 지난해 도 농식품 수출액 14억 달러 달성
- 코로나19 장기화 등에도 2019년보다 2.1% 증가, 전국 9개 도 단위 지자체 중 최고 실적
○ 올해 16억 달러 달성 위해 해외시장 개척사업, 비대면 판로 확대 활동 지속 추진

             

경기도가 올해 농식품 수출 목표액을 16억 달러(한화 1조7천억 원)로 잡았다. 지난해 달성 실적 14억 달러보다 14% 늘어난 금액이다.

11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코로나19라는 악재 속에서도 신선농산물, 농산물 가공품 수출 호조 등으로 지난해 14억 달러의 수출실적을 달성했다. 2019년 13억4,900만 달러 대비 2.1% 증가했으며 전국 9개 도 단위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많은 수출 금액이다.
품목별로 보면 유자(99.9%), 김치(64%), 인스턴트면(49.8%), 라면(13.3%) 등이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최대 수출품목인 김은 가격 경쟁력 저하로 16.1%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2019년 대비 15.9% 증가한 2억8,000만 달러로 수출 주요국 중 가장 증가세가 컸다. 중국의 경우 수출 실적은 2억8,300만 달러로 가장 많았으나 2019년 수출 실적보다 9.1% 감소했으며, 일본 1억5,400만 달러, 베트남 1억500만 달러 등이 뒤를 이었다.
도는 올해도 수출 성장세를 이어가기 위해 지난 달 농수산식품 유통공사 경기지역본부와 ‘해외시장 개척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도 차원에서는 농식품 수출업체를 위해 해외 판촉행사, 맞춤형 해외마케팅, 국제박람회 참가, 초청 상담회 등 해외시장 개척사업에 도비 7억 원, 수출농업기반 조성을 위한 ‘신선농산물 수출단지’ 등 기반시설 구축에 도비 6억5,000만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비대면 판로 확대 활동도 병행한다. 생산자-수출업제-구매자 연결을 위한 ‘온라인 수출상담회’가 연중 예정돼 있다. 아마존, 큐텐 등 글로벌 온라인 마켓 입점을 위한 전용상품 개발, 입점 지원, 수출·통관지원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해원 경기도 농식품유통과장은 “올해 수출목표액 달성을 통해 농가 소득증대와 국제경쟁력을 갖춘 농식품 산업육성, 일자리 창출까지 연계 효과가 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지난해 국제박람회 참가, 해외판촉·홍보, 온라인 수출상담회 개최, 배·포도·딸기·선인장 등 수출단지 20곳 시설 현대화 지원 등에 도비 총 13억5,000만 원을 지원했다.

참고

 

경기도 품목별 수출현황(’20.12.31. 기준)

                                                                                                                                   (단위 : 천불, %)

구 분

전년대비

비율

2019

2020

증감률

합 계

1,349,667

1,378,213

2.1

100.0

소 계

757,686

859,261

13.4

62.3

농산물

신선농산물

179,215

215,239

20.1

 

채소종자

35,836

37,915

5.8

 

인삼류

25,971

24,334

6.3

 

10,525

8,551

18.8

 

유자

6,015

12,023

99.9

 

토마토

4,465

4,967

11.2

 

화 훼 류

2,694

2,495

7

 

김치

3,556

5,831

64

 

기타

90,153

119,123

75.6

 

가공품

578,471

644,022

11.3

 

라면

53,774

60,944

13.3

 

비스킷

25,217

21,838

13.4

 

곡류조제품

30,636

34,009

11

 

음료

39,064

36,902

5.5

 

아이스크림

29,633

31,471

6.2

 

인스탄트면

22,907

34,313

49.8

 

리큐르

10,583

2,203

79.2

 

기타

366,657

422,342

15.2

 

소 계

368,897

280,251

24

20.3

수산물

104,663

87,767

16.1

 

참치

25,289

13,781

45.5

 

대구

29,052

21,396

26.4

 

넙치

8,391

2,127

74.7

 

기타

201,502

155,180

23

 

소 계

100,718

110,927

10.1

8.0

축산물

닭고기

14,655

18,253

24.6

 

연유

5,526

8,603

55.7

 

발효유

1,500

1,464

2.4

 

돼지고기

1,038

4,074

292.5

 

기타

77,999

78,533

0.7

 

소 계

122,366

127,774

4.4

9.2

임산물

판지

15,907

15,580

2.1

 

벽지

10,852

8,047

25.8

 

섬유판

3,161

2,718

14

 

합판

636

651

2.4

 

기타

91,810

100,778

90.8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잠정치 자료 활용(2021.2월 확정 예정임)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김포시 민선8기 3년 ①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철도길 열고 도시개발 회생! 책과 교육의 도시로
김포시 민선8기 시정구호 ‘통하는 70도시 우리김포’ 에서 70은 ‘70만 대도시로 향함’을 뜻한다. 민선8기 김포시는 출범 3년만에 도시의 교통 및 도시개발, 교육 지형을 바꾼데 이어, 시민 일상 속 문화·복지 체감도를 향상시키며 김포의 도시경쟁력을 전국을 넘어 세계에 알리고 있다. 김병수 시장이 이끄는 김포시 민선8기는 전반 2년 동안 지역의 숙원인 5호선 김포연장 및 신도시 확장, 산업기반 마련 등 중앙정부와 함께 해소해야 할 문제에 집중했고, 후반기에는 시민 소통을 확대해나가며 지역의 자원을 발굴해 도시경쟁력으로 전환해나가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기획 배포 순서>① (전반 2년) 70만 대도시 기반을 다지다. ② (후반 2년) 김포가 가진 것을 기회로 만들다. 김포시가 70만 대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기본 조건은 사통팔달 교통과 공공복리증진 및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도시개발, 우수한 교육환경이다. 이와 같은 조건은 시민들이 김포시에 지속적으로 살고자 하는 정주의식을 키운다. 김포시는 이 세 가지 조건을 22년 출범 이래 2년여 만에 서울5호선 김포연장사업을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본사업으로 반영시켜 확정지었고, 현재 신속예타 결과 발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경남 남해안 해수욕장 본격 개장…‘더위야 안녕’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도내 해수욕장 26곳이 오는 5일부터 차례로 개장해 8월 24일까지 운영된다고 밝혔다. 7월 5일 창원 광암해수욕장과 거제 학동몽돌해수욕장 등 17곳을 시작으로 11일 사천 남일대와 남해 상주은모래비치 해수욕장 등 6곳이, 12일엔 통영의 해수욕장 3곳이 모두 개장한다. 경남의 특색있는 테마해수욕장도 지난해에 이어 계속 운영한다. 지자체 최초로 조성되어 반려동물 해수욕장으로 많은 인기를 얻은 명사해수욕장은 올해도 반려동물 전용 샤워장, 간식 교환소, 반려동물 놀이터 등을 설치하고,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패들보트 체험도 운영하는 등 방문객의 수요에 맞춘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거제 와현 장애인 해수욕장, 남해 상주와 송정의 레저힐링테마 복합형 해수욕장, 남해 사촌 향토체험형 해수욕장 등을 운영해 경남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추억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남도는 지난해에 이어 인명사고 없는 해수욕장을 위해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개장 전 안전시설 관리 상태, 각종 안전시설 비치여부 등을 점검하였으며, 해수욕장 관리청은 도내 해수욕장 26개소에 안전관리요원 189명을 배치하여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해수욕장 개장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