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기획이슈

국립자연휴양림 2016년 유아숲체험 프로그램 운영

오는 2월 11일부터 모집을 시작으로 프로그램 운영 준비


산림청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소장 정영덕) 북부지역팀은 2016년 3월부터 11월까지 유아숲체험(원) 프로그램을 운영키로 하고, 숲 체험에 참여할 보육기관(어린이집․유치원 등) 모집한다고 밝혔다.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북부지역팀은 경기도와 충청도의 국립자연휴양림을 주관하는 부서이며, 유아숲체험(원)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은 총 3개소이다.
 
충남 서산시에 위치한 용현자연휴양림은 유아숲체험원을 운영하며, 오는 2월 11일부터 참여기관을 모집할 계획이다.

북부지역팀 용현자연휴양림의 유아숲체험원은 2013년 유아숲대피소, 밧줄놀이, 황금박쥐동굴체험, 솔방울교실 등 체험시설을 설치하고 2014년 운영을 시작한 곳이다.

2015년 기준 서산시․당진시․홍성군․예산군 등 46개 기관 총 12,729명의 유아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고 관계자는 밝혔다.
 
해마다 유아숲체험원 참여를 희망하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이 늘어나 희망 수요를 다 충족하지 못함에 따라 지난해 보다 유아숲지도사를 1명 더 늘어나 3명이 운영할 계획이며, 추첨을 통해 참여기관을 선정 할 예정으로 모두 65개 기관을 모집한다.

접수기간은 2.11.(목)∼2.17.(수)까지로 등기우편 및 방문접수 할 수 있으며, 참여신청과 유아숲체험원 운영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산림청 홈페이지 및 국립자연휴양림 홈페이지 공고란의 「2016년 국립용현자연휴양림 유아숲체험원 참여기관 모집 공고」를 참조하면 된다.

이를 바탕으로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에서는 2016년 유아들에게 보다 많은 참여기회 제공하기 위하여 북부지역팀 내 속해 있는 경기도 가평의 유명산자연휴양림과,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상당산성자연휴양림에 유아숲지도사를 배치하고 유아숲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키로 하였다.

각 자연휴양림별로 유아숲지도사를 2명씩 배치하여 운영할 계획이며, 오는 2월 중으로 참여기관을 모집 할 계획이다.

김기태 북부지역팀장은 “우리의 미래이며 자라나는 꿈나무들에게 자연환경이 우수한 숲속의 교실에서 다양한 숲 체험으로 오감발달과 정서를 함양할 수 있는 배움터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것”이며 

“우리의 아이들이 자연에서 마음껏 뛰어놀며 건강함도 함께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운영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하였다. 

유아숲체험(원) 프로그램문의는 해당 휴양림으로 문의하면 자세히 할 수 있다.

유명산(031-585-3514), 용  현(041-664-1978), 상당산성(043-216-0052)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