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강원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제조기업 공장신설 준공식 개최

▶ 한국폴리아세탈(주) 원주 문막 단지형 외국인투자지역에 100억 원 투자
▶ 생산라인 자동화 시스템 등 첨단기술 도입
▶ RE100 획득 준비 등 친환경적 경영으로 탄소중립 효과 기대


□ 강원도 원주 문막 단지형 외국인투자지역에 신규 입주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전문 제조업체인 한국폴리아세탈(주)는 5월 30일 오전 11시 원주 신설공장에서 준공식을 개최한다.
□ 이날 준공식에는 정광열 강원도 경제부지사, 김태훈 원주시 부시장, 박길선 교육위원회 위원장, 주주사의 오바야시 나오토 GPAC 대표이사, 관계사 등 약 110여 명이 참석한다.
  ○ 한국폴리아세탈㈜는 원주시 문막읍 반계리 16,235㎡(4,911평) 부지에 2027년까지 76억 원을 투자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의료용 소재 제조 공장을 신설하고, 15명을 신규고용 할 계획으로 지난 2022년 10월에 입주계약을 체결하였다.
  ○ 특히 작년 11월에 공장건설 인허가 획득과 동시에 100억 상당의 외자를 투자하였으며, 준공식과 더불어 투자계획을 모두 완료하여 강원도 지역경제에 새로운 숨결을 불어 넣고 있다.
  ○ 현재 생산라인 안정화를 위해 엔지니어를 15명 고용하였고, 27년까지 70명으로 고용을 확대할 계획과 동시에 지역거점대학과 연계하여 인턴쉽프로그램 추진 등을 준비하고 있어 지역인재 육성 및 일자리 창출에도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 생산제품은 의료용 플라스틱 소재인 폴리아세탈(POM)과 폴리아미드(PA)를 주력으로 생산할 계획이며, 향후 생산제품 범위를 자동차용 소재로 확대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 또한 세계적인 탄소중립의 흐름에 맞춰 RE100 인증을 추진 중이며, 원주공장의 경우 ISCC(International Sustainability and Carbon Certification) PLUS 인증을 추진하고 있어 녹색경영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 후지이 히로야 한국폴리아세탈㈜ 대표이사는
  ○ 강원도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제조시설을 신설함으로써 강원도의 플라스틱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잡을 수 있게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며, 고용창출 효과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고 밝혔다.
□ 정광열 강원도 경제부지사는 
  ○ 첨단기술, 미래산업으로 분류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제조하는 유망 기업이 강원도에 뜻깊은 신규 생산라인 투자를 결심해 준 것에 대해 기업관계자에게 깊은 감사와 환영을 표하며, 
  ○ 한국폴리아세탈㈜가 새로운 희망과 도약을 기리는 중요한 자리에서 지역사회와 상생발전하고 도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해 나아갈 수 있도록 강원도가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 밝혔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