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

SR·코레일·한국공항공사, 간부에 ‘공짜’ 숙소 제공

-코레일, 서울·대전 등 전국서 150채…전세 임차료만 200억원
-“공공기관 방만 경영의 전형적 사례이자 도덕적 해이”

 
SR과 한국철도공사(코레일), 한국공항공사 등 공공기관들이 회사비용으로 임차한 숙소를 직원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의 여파로 대규모 적자를 냈음에도 방만 경영을 하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15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두관 의원(더불어민주당/경남 양산을)이 SR로부터 제출받은 ‘원거리 출·퇴근자용 숙소 임차 현황’ 자료에 의하면, SR은 총 52명의 직원들에게 무상으로 숙소를 제공하고 있다. 이 중 55%가 넘는 29명이 3급 이상의 간부다. 특히, SR이 제공 중인 38개 숙소 중 22개는 강남·송파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철도공사의 경우, 총 150명의 직원들이 무료 숙소 혜택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혜자는 모두 2급 이상의 간부들이다. 원거리 출·퇴근자를 위한 복지라는 것이 한국철도공사 측의 입장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았다. 한국철도공사가 김두관 의원실에 제출한 ‘원거리 출·퇴근자 임차 숙소’ 자료에 의하면, 경기도 수원에 거주하는 센터장(1급)이 서울시 중구의 아파트(전세가 5억7000만 원)를, 고양시 일산에 거주하는 단장(1급)이 서울시 용산구의 오피스텔(전세가 3억2860만 원)을 제공받기도 했다.

지난달 25일 기준 회사가 부담하는 전체 전세 임차 가격은 201억 원이었으며, 거주자는 전원 3급 이상 간부이다. 이들은 관리비, 공과금만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공항공사 역시 직원 678명이 무료로 숙소를 제공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숙소 제공으로 투입된 공항공사의 예산은 총 828억 원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의 여파로 대규모의 적자를 낸 상황에서 지나친 방만 경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SR과 한국철도공사의 적자규모는 지난해 각각 246억원, 8,881억원에 달했다. 한국공항공사에서도 2,740억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김 의원은 "서울 강남과 송파 등 상대적으로 비싼 전세금이 필요한 상급지에 직원용 사택을 제공하는 것은 공공기관 방만 경영의 전형적 사례이자 도덕적 해이"라며 "상위직급 직원들에게 사택을 제공하는 부분도 공공기관 혁신 측면에서 자세히 들여다봐야 한다"고 말했다. <끝>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