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1 | | 2022 부산청년정책네트워크 ‘정책제안회’ 개최 |
| < 부산청년정책네트워크 운영 > | |
| | |
❖ 목 적 : 청년정책 발굴·제안 등 청년의 시정 참여기회 확대 및 청년주체의 자율적 운영과 행정과의 유기적 협업을 추구 ❖ 구 성 : 만 18~34세 부산 거주 및 활동 청년 189명(8개 분과*, 15개 소분과) *8개 분과 : 노동/일자리, 주거, 문화예술, 사회안전망, 기후/환경, 교육, 참여, 평등/인권) ❖ 추진상황 : 모집 및 발대식(’22.1.~2.) → 정책아카데미 및 의제발굴 워크숍(’22.6.) → 전문가 자문, 실국간담회(’22.6.) |
시간(분) | 세 부 내 용 | 비 고 |
19:00~19:03(3‘) | ◦ 개회, 참석자 소개 | 사회 : 조민상 (부산MBC 리포터) |
19:03~19:08(5‘) | ◦ 인사말씀 | 경제부시장, 청정넷 |
19:08~19:13(5‘) | ◦ 청년정책네트워크 활동영상 상영 | |
19:13~19:53(40‘) | ◦ 정책제안과제* 발표 ◦ 제안과제별 토의 | 청정넷, 경제부시장, 관련 부서 과장 |
19:53~19:55(2‘) | ◦ 마무리 말씀 | 경제부시장 |
19:55~20:00(5‘) | ◦ 기념촬영, 폐회 | 다함께 |
<홍보 포스터>

참고 2 | | 2022 부산청년정책네트워크 정책제안 목록 |
연 번 | 정책 제안명 | 내 용 | 소관부서 |
1 | 정책제안 다양화 (청년정책네트워크 역할 확대) | (기존) 차년도 신규사업 정책제안 위주의 활동, (변경) 주요 청년정책에 대한 모니터링, 평가 역할 수행 | 청년희망정책과 |
2 | 부산시 1인가구 온라인 플랫폼 구축 | 부산시·자치구가 1인가구를 해 펼치고 있는 정책·정보를 한눈에 볼수 있는 부산1인 가구포털 ‘단디살자’ 구축 | 여성가족과 |
3 | 여성, 청년 노동자 노동권익 보호 및 사각지대 해소 | 여성, 청년 노동자를 위한 노동인권 교육, 상담·컨설팅, 홍보 등 추진 | 민생노동정책과 여성가족과, 청년희망정책과 |
4 | 청년공간으로 ‘찾아가는 자원순환 정책설명회’ 개최 | 청년공간(청년센터, 띵두) 등에 청년을 대상으로한 ‘찾아가는 자원순환 정책설명회’ 개최 | 자원순환과 |
5 | 청테크E (청년+재테크+Education) | 기쁨두배통장 지원대상 확대 및 부산청년희망신용상담센터 운영 강화 | 청년희망정책과, 부산신용보증재단 |
6 | 드림옷장(정장대여서비스) 지원대상 확대 | 기존 면접자 대상으로 운영하는 드림옷장 사업을 재직 3개월 이내 청년까지 지원대상 확대 | 청년희망정책과 |
7 | 청년 인턴 기자 운영 | 부산지역 청년에게 인턴기자가 될 기회를 제공해 앞으로 진출할 사회에 쉽게 적응하도록 지원 | 부산 지역언론 (부산일보, 국제신문) |
8 | 갑질 및 직장 내 괴롭힘 신고센터 통합 운영 | 전문적인 신고·상담 기능을 갖춘 기관 설립, 세부 실행·지침·매뉴얼 배포, 통합 운영 | 감사위원회 |
9 | 청년기본조례에 명시된 청년 범위 개정 요청 | 청년기본조례 나이 범위 개정을 통한 세대융합 및 사회문제 해소 | 청년희망정책과 |
10 | 청년 전·월세 안심 계약을 위한 주거안심매니저 지원 | 이중계약, 깡통전세 등 전·월세 계약과정에서 부당한 일을 겪지 않도록 상담해주고, 집을 보러 갈 때도 동행해 혼자 집 볼 때 놓칠 수 있는 점을 점검 | 주택정책과, 청년희망정책과 |
11 | 장애인의 날 크루즈 체험 프로그램 확대 | 장애인의 날에 자갈치크루즈 등 장애인 스포츠 프로그램 무료 제공을 통한 장애인 인식개선 및 장애인-비장애인 교류 확대 | 장애인복지과 |
12 | 환경의 날 부산 Zero-키트 제공 | 쓰레기(1회용품) 줄이기를 위한 제로웨이스트 제품 제공(샴푸바,린스바, 천연 수세미 등)을 통한 환경의 날 홍보 | 환경정책과 |
13 | LED 전자게시대 설치 확대 | 1회용 현수막 사용을 줄이고 도시미관의 효과적인 정비를 위한 전자 게시대 설치 확대 | 도시디자인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