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3 (목)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용산구, 2021년도 예산 5025억원 확정

- 일반회계 4708억원, 특별회계 317억원
- 2020년도 예산액보다 1.53% 줄어
- 사회복지 139억원, 보건 21억원, 예비비 39억원↑


서울 용산구(구청장 성장현)가 2021년도 예산 5025억원(일반회계 4708억원, 특별회계 317억원)을 확정했다.

 2020년도 예산액(5103억원)보다 1.53%(78억원) 줄어든 금액이다. 

 사업구조에 따라 ▲정책사업 3547억원(일반회계 3462억원) ▲행정운영경비 1277억원(일반회계 1234억원) ▲재무활동 201억원(일반회계 12억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일반회계 기준) 정책사업은 ▲사회복지 2116억원 ▲도시기반시설 관리 및 청소 625억원  ▲일반공공행정 365억원 ▲교육·문화및관광 150억원 ▲보건 115억원 ▲예비비 91억원으로 편성했다. 

 전년 대비 사회복지 분야가 139억원, 보건 분야가 21억원, 예비비가 39억원 늘어난 게 특징이다. 도시기반시설 관리 및 청소, 일반공공행정, 교육·문화및관광 분야는 각각 81억원, 17억원, 1억원이 줄었다. 

 구 관계자는 “기초연금 등 노인복지 증진, 국민기초생활보장, 장애인 및 아동·청소년 지원을 위한 예산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중”이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보건 분야 예산과 재난예비비도 일부 확대시켰다”고 말했다. 

 세부적으로, 사회복지 분야 주요 예산으로는 ▲기초연금,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 청소년수련관 운영 등 노인·청소년 부문 777억원 ▲생계·주거급여 등 기초생활보장 434억원 ▲영유아 보육료 지원, 아동수당, 가정양육수당 등 보육·가족 및 여성 부문 679억원 ▲장애인 활동지원급여, 장애인연금 급여, 종합사회복지관 운영 등 취약계층 지원 179억원 등이 있다.

 도시기반시설 관리 및 환경 분야는 ▲생활폐기물 처리 등 폐기물 부문 283억원 ▲노후 하수관로 정비 등 상하수도·수질부문 86억원 ▲도로시설물 유지관리 등 도로부문 119억원 ▲도시재생, 어린이·소공원 유지관리 등 지역 및 도시부문 76억원 등으로 구분된다.

 일반공공행정 분야는 ▲구·동 청사 유지관리, 통반장 활동지원, 스마트도시 기반구축 등 일반행정부문 338억원 ▲의정활동 지원 등 입법 및 선거관리 부문 16억원으로 세분할 수 있다.

 교육·문화관광 분야는 ▲학교 교육프로그램 및 환경개선 지원, 친환경 급식, 혁신교육지구사업 등 유아 및 초중등 교육 부문 68억원 ▲박물관 건립, 문화예술회관 운영 등 문화예술부문 28억원 ▲문화체육센터 운영 등 체육부문 43억원 등을 집행한다.

 보건 분야에는 ▲급성감염병 관리, 국가예방접종 실시, 치매안심센터 운영 등 보건의료 부문 111억원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 등 식품의약안전부문 4억원 등이 있다. 

 구는 지난 8월 2021년도 예산편성계획을 수립, 세입·세출예산요구서 작성, 예산 심의·조정, 예산안 구의회 심의(제261회 제2차 정례회) 절차를 이어왔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내년도 자체재원 감소 전망에 따라 선택과 집중을 통해 불필요한 경상경비를 축소시켰다”며 “감염병 대응을 강화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착실히 대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성장현 용산구청장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경남 남해안 해수욕장 본격 개장…‘더위야 안녕’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도내 해수욕장 26곳이 오는 5일부터 차례로 개장해 8월 24일까지 운영된다고 밝혔다. 7월 5일 창원 광암해수욕장과 거제 학동몽돌해수욕장 등 17곳을 시작으로 11일 사천 남일대와 남해 상주은모래비치 해수욕장 등 6곳이, 12일엔 통영의 해수욕장 3곳이 모두 개장한다. 경남의 특색있는 테마해수욕장도 지난해에 이어 계속 운영한다. 지자체 최초로 조성되어 반려동물 해수욕장으로 많은 인기를 얻은 명사해수욕장은 올해도 반려동물 전용 샤워장, 간식 교환소, 반려동물 놀이터 등을 설치하고,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패들보트 체험도 운영하는 등 방문객의 수요에 맞춘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거제 와현 장애인 해수욕장, 남해 상주와 송정의 레저힐링테마 복합형 해수욕장, 남해 사촌 향토체험형 해수욕장 등을 운영해 경남을 찾는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추억를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남도는 지난해에 이어 인명사고 없는 해수욕장을 위해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개장 전 안전시설 관리 상태, 각종 안전시설 비치여부 등을 점검하였으며, 해수욕장 관리청은 도내 해수욕장 26개소에 안전관리요원 189명을 배치하여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였다. 해수욕장 개장과 함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