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지속가능발전연구센터․한국환경산업기술원 설립…환경산업 육성 기반 구축
- 장록습지 보호지역․도천제 수변 식생 복원 추진…생물다양성 보전
- 하남산단 일대 사물인터넷(IOT) 활용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국립야생동물원보건연구원․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준공
○ 광주광역시가 지난해 환경사고 예방과 신속 대응으로 시민의 건강과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주력한데 이어 올해는 환경정책 신규 사업을 역점 추진한다고 17일 밝혔다.
○ 광주시는 올해 지속가능발전 100년 도시 광주비전 달성과 환경산업 육성 기반구축을 위한 국가 연구기관 유치 및 생물다양성 보전, 오염물질 배출업소 사업장 관리 강화 등 환경선도도시 도약을 위한 기반 강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 먼저 지속가능발전 선도도시로서 입지구축을 위해 지속가능발전법 개정법률(안)에 신설된 ‘국립지속가능발전연구센터’ 광주 유치를 위해 정부와 국회에 공감대 형성을 위한 TF팀을 구성․운영하고 본격 추진에 들어간다.
○ 이와 함께 환경시장 대응과 지역 환경기업 육성 기반 마련을 위한 ‘한국 환경산업기술원 호남지역본부’ 광주 설립을 추진한다. 올해부터 5년에 걸쳐 국비 300억원을 투입 환경산업 기술개발, 컨설팅․금융, 해외진출 등 지역 환경산업체를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는 구상이다.
○ 또,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한 생태계 보전․복원 사업도 다양하게 펼쳐진다.
우선 도심 하천습지로서 자연경관이 우수하고 생물 다양성이 풍부한 ‘황룡강 장록 습지 국가습지보호지역’ 지정을 위해 환경부에서 습지 정밀조사가 완료되면, 내년에는 보호지역 지정 후 보전계획을 수립․시행해 습지오염 방지와 교육․홍보, 생태계 관찰을 위한 습지보전 이용시설 설치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 도심 속 유휴부지 ‘동광주IC 생태휴식 공간 조성사업’도 추진한다. 올해 한국도로공사에 유휴부지 무상사용 지속 설득과 도시관리계획 재정비에 반영되면, 탄소저감 숲, 잔디생태광장, 초화류 식재, 빗물저금통을 이용한 정화습지 조성 등을 추진한다.
○ ‘도천2제 저수지수변 식생복원사업’을 통해 훼손되거나 유휴․방치된 공간을 생태 복원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환경부에서 생태계 보전 협력금 반환사업으로 국비 7억을 들여 자연관찰, 체험․탐방시설 등을 설치하여 시민 휴식 및 힐링공간으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 야생동물 보호 및 관리기반 구축을 위해 ‘깃대종 선정’사업을 추진한다. 깃대종은 생태․지리적 특성과 우수성을 반영한 상징적인 생물 2종(동물 1, 식물 1)을 선정하여 친환경 생태도시를 꾀한다.
○ 여기에 영산강과 풍영정천 수질오염사고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하남 산단 일대에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 활용한 실시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과 함께 ‘환경사고예방감시센터’ 운영 및 ‘환경감시 자동측정기기’ 운영 등을 통한 오염물질 배출사업장 감시체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 이 밖에도 ‘녹색구매지원센터’를 설치하여 민간위탁운영을 통해 녹색제품 구매 및 소비활성화 정보제공 ․ 홍보 ․ 교육, 녹색제품 보급 촉진에 관한 사업 등을 활발히 펼 계획이다.
○ 특히 올해는 지난 2014년 착공한 야생동물 질병연구 기관인 ‘국립야생동물보건연구원’이 오는 9월 준공, 연구인력 150여 명의 신규 청년 일자리가 창출되고 지역경제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야생동물보건연구원은 광산구 삼거동 일원에 건축연면적 6300㎡에 국가직접시행사업으로 198억원이 투입됐다.
○ 또 지난 2016년 서구 유촌동 일대에 착공한 부상한 야생동물 구조치료를 위한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가 오는 8월 문을 열고 보건환경연구원 신청사와 연계해 운영에 들어간다.
○ 류영춘 시 환경정책과장은 “광주시는 지난해 하남산단 내 발암물질 배출과 풍영정천 수질오염 발생에 따른 환경사고 예방과 신속한 대응으로 시민건강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핵심 환경정책을 추진했다”며 “올 한해 광주시 환경정책 키워드는 시민건강과 안전에 바탕을 두면서 지속가능발전 선도도시와 생태복원으로 숨 쉬는 도시환경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