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웹OS 스마트 TV의 사이버 보안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LG전자는 글로벌 안전규격 개발 및 인증 기관인 ‘UL(Underwriters Laboratories)’로부터 스마트 TV 플랫폼인 ‘웹OS 3.5’에 대한 사이버 보안 인증규격 ‘CAP(Cybersecurity Assurance Program, UL2900-1 CWE/SANS Top 25 조건)’를 획득했다. 스마트 TV 가운데 UL CAP 인증을 받은 것은 LG전자가 처음이다. UL의 사이버 보안평가 프로그램 ‘CAP’는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보안 취약도와 해킹 위협에 대한 보안 수준 등 잠재적인 사이버 보안 문제를 평가한다. UL은 LG전자 스마트 TV의 ▲해킹방어 능력 ▲데이터 암호화 ▲보안설계 및 알고리즘 안전성 등을 평가해 이번 인증을 수여했다. LG전자는 이번 인증을 바탕으로 제품 사이버 보안성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다가오는 홈 IoT 시대를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 LG전자 웹OS 3.5 스마트 TV는 악성 앱의 설치를 차단할 뿐 아니라 해킹 등으로부터 스마트 TV를 보호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보안 솔루션을 탑재했다. TV와 서버간 보안 전송 기술을 적용해 고객 데이터를 안전
수술을 앞둔 환자의 스트레스는 마취 직전 최고조에 달하고 우울감이 심한 경우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심장 기능의 이상까지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서울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김명희 교수 연구팀은 2013년 당시 간암 수술을 받을 예정이었던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진행하여 환자의 우울감이 심박변이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혀냈다. 심박변이도는 신체활동이나 외부자극에 등에 대처하기 위한 우리 몸의 반응 중 하나로 심장박동이 빨라지거나 느려지는 변화 정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심박변이도는 변화폭이 크고 불규칙한 게 정상이다 연구팀은 심박변이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최소화한 뒤 비슷한 조건을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간암 진단 전까지 다른 질병을 앓거나 정신과적 병력이 없었고 성별과 연령별 차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40세 이상 70세 이하 남성 환자만을 택해 심박변이도를 측정했다. 또 측정시간과 자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아침 첫 수술을 받는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고 반듯이 누워 있는 상태에서 심박변이도를 재도록 했다. 측정은 수술하기 전날(T1)과 수술실에서 마취하기 직전(T2), 마취 후 10 ~ 1
특허청이 18~19일 베트남 나트랑(Nhatrang)에서 개최된 APEC 지식재산전문가그룹(IPEG) 회의에 참석하여 ‘중소기업 혁신을 위한 IP 비즈니스 매뉴얼(Guidebook for SMEs’ IP-Business Cycle)’을 발표했다. 이 매뉴얼은 APEC 회원국 내 중소기업들이 지식재산(IP)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기술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IP 정책 종합안내서이다. ‘IP 비즈니스 매뉴얼’은 선행기술 조사, 특허경영전문가 파견 등 IP 창출 관련 6개 사업, 우수발명 시작품 제작, 특허기술 평가 지원 등 IP 활용 관련 12개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매뉴얼에는 각각 다른 여건에 있는 APEC 회원국들이 자국에 적합한 정책을 취사선택 할 수 있도록 쉬운 정책부터 난이도가 높은 정책까지 단계별로 정리되어 있다. 또한 회원국 정책담당자가 매뉴얼을 보고 해당 사업을 즉시 실행할 수 있도록 중소기업, 정부 및 관련기관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IP 비즈니스 매뉴얼’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인 우리나라의 IP 정책을 중심으로 미국, 일본 등 IP 선진국의 우수 지식재산 정책을 조사, 분석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특허
시청자가 바라보는 곳이 화면이 되는 생방송 시대가 열린다. SK텔레콤은 27일부터 나흘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MWC) 2017’에서 초고화질 360 VR 생방송 서비스 ‘360 Live VR’을 선보인다고 20일 밝혔다. 360 Live VR’은 360도 전 방위 화면을 제공하는 생방송 플랫폼이다. 360도 화면을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서는 총 6개 카메라 화면이 송출되어야 하기 때문에 필요한 전송 용량이 크다. ‘360 Live VR’은 초고용량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지는 5G시대를 맞아 본격 활성화될 서비스로 기대되고 있다. ‘360 Live VR’ 시청자들은 마치 현장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UHD 화면이 머리에 쓰는 디스플레이 기기(HMD, Head Mounted Display)의 움직임 감지 센서(모션 트래커)에 따라 개인 맞춤형으로 제공되기 때문이다. 방송 화면의 선택권이 방송사에서 시청자로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를 생방송으로 시청할 때 1위 선수를 중심으로 경기를 볼 수도 있지만 순위와 관계 없이 우리나라 대표 선수를 따라가며 시청
봄을 맞이하는 박진영 첼로 독주회가 3월 6일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에서 개최된다. 첼리스트 박진영은 지적인 해석으로 풀어내는 능숙한 연주자, 지(知)와 미(美)를 담은 음악을 연주하는 첼리스트로 평가되며 현재 국내외의 클래식 음악계가 주목하는 젊은 연주자로 손꼽히고 있다. 박진영은 “같은 옷이어도 다른 사람에게 입히면 느낌이 달라지듯이 어떤 위대한 작품에도 연주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낀다. 악보에 충실하고 싶다”며 “작곡가와 친구가 된 기분으로 작품 안에 있는 의도를 분명히 전달하고 싶다”고 공연 준비 소감을 밝혔다. 한국과 미국, 유럽을 오가며 펼쳐질 올해 그녀의 활동 중 특히 주목되는 이번 무대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다수의 독주회 및 하우스 콘서트 등을 통해 폭넓고 참신한 레퍼토리를 선보여온 만큼 많은 기대와 관심이 집중된다. 프로그램 구성은 슈베르트의 ‘아르페지오네 소나타’, 베토벤의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4번’, 차이코프스키의 ‘페초 카프리치오소’, 브리튼의 ‘모음곡 1번’, 슈만의 ‘환상 소곡집’으로 관객들과 끊임없는 교감의 끈을 느낄 예정이다. 그녀는 2012년 윤이상 국제콩쿨에서 최고의 연주로 심사위원들로부터 ‘진정한 뮤지션’이라는
삼성전자가 16일에서 18일까지 3일간 싱가포르 마리나 베이 샌즈에서 ‘삼성 동남아 포럼’을 개최하고 ‘QLED TV’와 ‘패밀리허브 2.0’ 등 2017년 전략 제품을 대거 선보였다. 올해로 8회째를 맞는 ‘삼성포럼’은 삼성전자가 각 지역 특성에 맞는 신제품 라인업을 현지 거래선과 미디어 관계자들에게 선보이는 대륙별 신제품 소개 행사다. 이번 ‘동남아 포럼’에는 싱가폴·인도네시아·필리핀· 태국 등 동남아 주요 지역 거래선과 미디어 등 650여명이 참석했다. 이 행사에 참석한 삼성전자 동남아 총괄 전용성 전무는 "삼성전자는 작년 아시아 시장에서 5년 연속 ‘가장 신뢰받는 브랜드’로 선정됐다”며 “앞으로도 동남아 시장의 다양한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이 고려된 제품과 IoT 기술이 접목된 혁신 제품으로 시장을 리드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컬러볼륨 100% 구현한 ‘QLED TV’로 동남아 프리미엄 시장 공략 삼성전자는 이번 행사를 통해 동남아 시장에 ‘QLED TV’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삼성 QLED TV는 메탈 소재를 적용한 새로운 퀀텀닷 기술을 통해 색 표현력, 넓은 시야각, 최상의 명암비 등을 통해 차원이 다른 화질을 제공함은 물론, 사용성과 디자
아메리칸 항공이 인천국제공항(ICN)과 댈러스/포트워스국제공항(DFW)을 잇는 노선에 프리미엄 이코노미석을 겸비한 보잉787-9 드림라이너 기종을 도입했다. 미국 댈러스/포트워스 국제공항(DFW)을 떠나 17일 오후 4시 30분 인천 국제공항에 도착한 보잉 787-9 드림라이너 도입을 기념해 아메리칸 항공은 인천 국제공항과 함께 17일 오후 5시 30분에 기념식을 가졌다. 아메리칸 항공의 아시아 공항 운영 담당 러스 포트슨 (Russ Fortson) 본부장, 박윤경 한국 지사장과 최민아 인천 국제공항 허브화 전략처장 및 귀빈들이 참석한 가운데 테이프 커팅식을 진행했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아메리칸 항공 파일럿, 승무원이 함께 사진 행사에 참석했다. 행사 종료 후 아메리칸 항공의 인천 발, 미국 댈러스 행 보잉 787-9 드림라이너 항공기는 17일 오후 6시 40분에 인천 국제공항에서 성공적으로 이륙했다.
SK텔레콤이 전문 부동산 기획/개발 기업인 아시아디벨로퍼(회장 정바울)와 17일 오후 을지로 사옥에서 아파트에 음성인식 기기와 인공지능, 스마트홈 기능을 결합하는 신개념 ‘음성인식 스마트홈 아파트’를 최초로 선보이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2021년 판교 백현동 내 한국식품연구원 단지에 조성될 1,226세대 규모 ‘음성인식 스마트홈 아파트’는 세대별로 거실 및 각 방에 총 5,500대의 음성인식 AI기기 ‘누구(NUGU)’를 배치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누구’는 음악을 들려주거나 일정을 확인해주는 기본 기능 외에 SK텔레콤의 스마트홈과 연동돼 댁내 조명이나 난방, 가스차단기, 엘리베이터 호출 등 각종 편의 기능들을 음성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SK텔레콤은 ‘인공지능 스마트홈 아파트’가 완성되면 거주자가 모든 것을 직접 움직여서 손으로 조종하는 현재의 홈기기 이용 방식을 넘어서는 음성인식 기반의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선보이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양측은 준공 시점 기준 최신 버전의 ‘누구’를 설치하고 조명이나 난방, 도어폰, 가스차단기, 엘리베이터 호출 등 월패드로 사용하던 기능들을 스마트홈 서비스와 연결키로 했으며 준
SK텔레콤이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27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 이하 MWC) 2017’에 참가해 New ICT 영역의 다양한 서비스를 대거 선보인다. 국내 통신사 중 유일하게 8년 연속 단독 전시관을 운영하고 있는 SK텔레콤은 MWC 메인홀 내 604㎡ 규모의 전시관에서 ‘모든 것을 연결하다(Connect Everything)’를 주제로 New ICT가 촉발할 미래 생활상을 전 세계 관람객들에게 공개할 계획이다. 올해 MWC가 열리는 ‘피라 그란 비아(Fira Gran Via)’는 총 9개의 전시홀로 구성돼 있으며 SK텔레콤 전시관이 위치한 제3전시홀은 삼성전자, LG전자, 퀄컴(Qualcomm), 노키아(Nokia) 등 글로벌 ICT 기업들이 전시 공간을 마련한 핵심 전시장이다. SK텔레콤은 앞선 5G 네트워크 기반의 ▲ 인공지능 서비스 및 인공지능과 결합한 스마트홈 ▲AR·VR 기술 기반 실감 미디어 ▲미래형 스마트 자동차 ‘커넥티드카’ 등으로 전시관 내부를 구성했다. 특히 AI 서비스 ‘누구’를 통해 가전제품 등을 제어하는 스마트홈, 스포츠경기 등 현장의 생동감을 실감나게 전달하는 3
경남도는 소독약 살포 효과가 높은 고성능 광역방제기를 동원하여, 도내 바이러스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구제역·AI 선제적 집중방역에 나선다.최근 구제역·AI 추가 발생이 없고, 기온 상승으로 인하여 바이러스 활동이 저하되는 시점이지만, 경남도는 마지막까지 철저한 차단방역 추진을 통해 도내 구제역·AI 재발 및 유입을 사전 차단하기 위해 이를 마련하였다. 또한, 경남도는 지난 16일, 농협 경남지역본부와 구제역·AI 방역협의회 개최 결과, 축산관련 시설과 축산밀집지역은 축산차량의 잦은 출입 등 가축전염병의 전파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이같이 고강도 방역 추진을 결정하였다.주요 방역대상은 가축시장, 도축장, 사료공장, 축산밀집사육지역으로 외부 차량의 출입이 빈번하고 바이러스 전파 위험성이 상존하는 방역 취약지역으로 분류되는 지대이다. 경남도와 농협경남지역본부는 오는 20일부터 3월말까지 6주간을 집중방역기간으로 정하여, 매주 월요일에 축산시설, 축산밀집사육지 50개 지역에 대해 집중 소독을 실시하기로 하였다. 도내 지역 농협 보유 광역방제기 총 11대를 동원하여 12개 시·군(진주, 사천, 김해, 밀양, 거제, 함안, 창녕, 고성, 남해, 산청, 함양
4대 전략 32개 과제 제시로 나노전문기업* 20개, 중핵기업** 3개 육성경남 나노융합산업 중장기 육성계획 설명회 개최나노융합국가산단, 나노금형 상용화지원센터 구축은 순항 중 경남도가 밀양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를 체계적으로 성장‧발전시키기 위해 ▲성장기반 조성 ▲유망기술 육성 ▲기업경쟁력 강화 ▲비즈니스 창출 등 4대 전략과 분야별 32개 과제를 마련하여 오는 2024년까지 추진하는 로드맵을 수립하고 있다.경남도는 이 같은 내용으로 ‘나노융합산업 중장기 육성계획(안)을 마련하고 나노전문가, 관련기업체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1일 밀양에서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19일 밝혔다. 중장기 육성계획이 시행되면 올해 상반기 승인예정인 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와 오는 3월에 착공 예정인 나노금형 상용화 지원센터 구축과 연계하여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나노융합산업 육성이 시작되어 밀양이 국가 나노융합 상용화의 메카로 성장하게 될 전망이다. 성장기반 조성 분야 = 경남의 나노융합산업 규모 확대와 성장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6개 과제가 제시 되었다. 경남의 주력산업 고도화와 차세대 제조업 분야 나노융합기술 확산에 필요한 나노공정‧분석 전문 인프라와 나노 유연 전자부품 관련 인프라
국민의당 황주홍 의원(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이 지난 17일 2017 한국을 빛낸 사람들 대상 조직위원회가 주최하고 대한민국신문기자협회가 주관한 ‘2017 한국을 빛낸 사람들 대상’ 시상식에서 ‘2017 농어촌발전혁신공로대상’을 수상했다. 주최 측은 황주홍 의원이 농어촌지킴이로서 19대에 이어 20대에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농어업인을 대변하고 농어촌 소득증대를 위해 활동한 점을 높이 평가해 ‘의정부문 2017 농어촌발전혁신공로대상’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황 의원은 “농어업인들의 권익 보호를 위한 입법활동과 농어업인의 소득증대를 위한 실질적 대안 제시에 주력한 것을 높게 평가해주신 것 같다”면서 “앞으로도 우선지급금 환수, 쌀값, 부정청탁금지법 여파 등의 농정현안을 농어업인의 입장에서 합리적으로 풀어가도록 노력하겠다”고 소회를 밝혔다.한편, 황 의원은 지난 14일 농해수위 전체회의에서 “헌법 개정을 위한 특위가 구성되는 등 헌법 개정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지만, 개헌특위 자문위원 53명에는 농업분야가 한명도 없다”고 지적하고, “국회와 정부가 우리 농업·농촌의 공익적 가치를 담은 헌법 개정을 반드시 이뤄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전 대 열大記者. 전북대 초빙교수우리나라가 미국이나 중국에 비하면 작은 나라라고 하지만 우리보다 작은 나라는 훨씬 더 많다. 더구나 반만년의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나라다. 백의민족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으로 자처한다. 실제로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를 침범하거나 약탈한 사례는 눈을 씻고 봐도 찾을 수 없다. 반면에 다른 나라의 침범을 받은 일은 수도 없이 많다. 그 중에서도 아예 나라가 무너져 인조가 삼전도에서 청태종 앞에 고두구배(叩頭九拜)를 하며 항복했던 일은 씻기 어려운 민족의 치욕이다. 지금도 잠실에 있는 삼전도비(三田渡碑)는 그 당시의 치욕을 되새겨보며 극도의 분노를 느끼게 만드는 상징물이다. 그나마 왕권을 유지하여 종묘사직을 지켰다는 것은 속국으로 자원했기에 가능했다. 근세에 접어들며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 속에 메이지유신으로 서구화한 일본의 힘에 억눌려 강제적으로 병탄의 길에 들어선 것은 참으로 통탄할 민족의 최후였다. 그러나 우리 민족은 주저앉지 않았다. 왕과 관리들은 허약했지만 일반 민중은 강인했다. 의병대를 구성하고 왜놈들의 군대에 저항하여 곳곳에서 승리했지만 일본 정규군이 증파되면서 최신무기 앞에 결국 지리멸렬
2017년 02월 19일 조달청(청장 정양호)이 금주(2017.2.20~2.24.)에 국토교통부 부산지방국토관리청 수요 ‘고노-우보 국도건설공사’ 등 총 24건, 1280억원 상당의 공사 입찰을 집행할 예정이다. 금주 집행되는 입찰은 전라북도 익산시 수요 ‘익산종합운동장 개선 공사(건축)’등 집행건수의 약 67%(16건)가 지역 제한 입찰 또는 지역의무 공동도급 대상 공사로서 전체의 약 20%인 250억원 상당을 지역업체가 수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 지역업체만 참여하는 지역 제한 입찰 공사는 13건, 168억 원이고 지역업체와 의무적으로 공동수급체를 구성하여 참여해야 하는 지역의무 공동도급공사는 3건, 170억원(이 중 82억원 상당을 지역업체가 공동수급체에 참여 전망) 상당이다. 지역별 발주량을 보면 충청북도 368억원, 부산광역시 300억원, 전라북도 248억원, 그 밖의 지역이 364억원이다. 규모별 발주량을 보면 이번주 집행 예정 공사 중 금액 기준으로 약 27%(348억 원)가 대형 공사로서 348억원 상당의 국가보훈처 수요 ‘국립괴산호국원 조성사업 본공사(건축,토목,조경,기계)’는 종합심사낙찰제로 대형공사를 제외한 나머지는 적격심사(931억
조경규 환경부장관과 나정균 한강유역환경청장이 2.19(일) 오후 국가안전대진단 관련 시설물인 안양 박달하수처리장에 방문하여 유해화학물질 적정관리 여부 등 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현장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