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0개소 추가해 6월부터 운영…여성 1인 가구 분포도 등 빅데이터 활용 장소 선정
이용자 편의를 위해 현대몰과 NS몰 홈페이지에 여성안심택배함 주소 등재
택배함 위치 확인은 시 여성가족분야 홈페이지(http://woman.seoul.go.kr)
서울시 ‘여성안심택배’서비스가 도입 3년차 만에 총 누적 이용자 53만 명을 돌파한 가운데, 오는 6월부터 기존 120개소에서 160개소로 확대 운영된다.
또, 현대H몰(www.hyundaihmall.com)과 NS몰(www.nsmall.com)의 주문서 작성 페이지에 여성안심택배함 주소록을 등록해 온라인쇼핑몰 이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시는 이를 위해 지난 3월, 현대홈쇼핑과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용 방법은 주문서 작성 페이지에서 ‘안심택배’를 선택한 후 주소록 중에서 집에서 가장 가까운 안심택배함을 선택해 주문을 완료하면 된다.
기존 여성안심택배함 중 이용자가 많아 자주 포화상태가 발생했던 대치4동 주민센터와 행운동 주민센터는 보관함의 개수를 각각 19칸에서 37칸으로 약 2배가량 증설했다.
여성안심택배’는 낯선 사람을 대면하지 않고 집 주변에 설치된 무인택배보관함을 통해 원하는 시간에 택배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택배기사를 가장한 강도사건 등 여성을 타깃으로 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서울시가 2013년 7월 전국 최초로 도입했다.
2013년 50개소로 처음 서비스를 시작한 ‘여성안심택배’는 이용자 증가에 따라 2014년 100개소, 2015년 120개소로 점차 증가했으며, 올해는 40곳을 추가해 총 160곳에서 운영한다.
이번에 새롭게 추가된 40개소는 ①혼자 사는 여성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가(▴한남동의 공영주차장 ▴마장동의 생명안전체험관 ▴성산2동 주민센터 등) ②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지하철역 주변(▴길음역 주변의 성북희망나눔봉사센터 ▴남성역 주변의 사당문화회관 ▴명동역 주변의 명동주민센터 등) ③시민들이 쉽게 찾을 수 있는 주민센터, 문화센터 등의 거점지역에 중점적으로 설치했다.
특히 혼자 사는 여성들이 거주하는 지역은 서울시 공간정보 빅데이터인 ‘서울정책지도’(http://gis.seoul.go.kr)의 여성1인가구 분포도를 활용해 밀집지역에 우선 설치했다.
또, 택배함을 설치해 달라는 민원을 반영, 대학생 1인가구가 많이 거주하고 있는 효창동의 주민센터와 1인가구가 많이 거주하고 있는 대학동의 관악청소년회관에도 설치했다.
□ 서울시 ‘여성안심택배’는 총 3곳을 제외한 157개소가 24시간 365일 운영된다. 이용 요금은 무료이지만 물품보관시간이 48시간을 초과하게 되면 하루에 1,000원씩 과금된다.
【 24시간 미운영 택배함 】
장소
이용시간
기타 참고사항
거여1동 주민센터
평일 09~21시, 토요일 10~17시
공휴일 휴무
상도3동 주민센터
평일 06~22시, 토요일 06~18시
공휴일 휴무
(첫째주 일요일 제외:10~18시)
영등포 구민체육센터
평일 06~22시, 토요일 08~18시
공휴일 휴무
(첫째‧셋째주 일요일 제외
:10~18시)
보다 자세한 택배함 위치는 서울시 여성가족분야 홈페이지(http://woman.seoul.go.kr)에서 확인 가능하다.
한편, 서울시 ‘여성안심택배’는 대구시청, 제주도청, 부산시청, 광주 광산구청, 경기도 성남시청 등의 시·도가 벤치마킹해 운영,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박종수 서울시 여성정책담당관은 “여성안심택배 이용사항 등을 꾸준히 모니터링한 후 매년 확대 운영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여성 안전을 우선으로 체감할 수 있는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