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파리 부착유생 1개체는 최대 5,000 개체의 성체로 증식하기 때문에 부유유생으로 수중으로 퍼져 나가기 직전인 3월말에서 4월경 일제히 소탕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지난해까지 시화호, 마산만, 새만금 등 서해지역의 해파리 폴립을 제거한 결과 폴립 총량이 제거 전 대비 약 96% 감소했다. 주변해역의 해파리 성체 출현밀도도 제거 전 대비 평균 93% 감소하여 해파리 대량발생 억제의 실효성이 입증되었다. 폴립제거 사업은 2012년 시화호를 시작으로 매년 확대 추진 중이다.
올해는 서․남해안으로 범위를 확장해 가막만, 득량만에서 확인된 폴립밀집구역에 대해 제거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대상지별 최적 제거방식 등 상세한 계획을 담은 사업설명회를 지역 어업인을 대상으로 3월 24일 여수 가막만 내 국동항에서 개최했다.
특히, 이번 사업설명회에서는 가막만 지역 어업관계자 대표의 해파리 피해사례 발표와 전문잠수사의 폴립 제거작업 현장 시연 등 해파리 피해와 사업효과성을 생생하고 보고 들을 수 있어 행사 참가자들은 폴립 제거사업의 필요성에 대해 크게 공감했다.
이어 전국의 산업 잠수사를 대상으로 해파리 폴립 탐색기법에 대한 교육이 진행되었다. 교육을 이수한 잠수사들이 향후 전국 연안의 수중작업 현장에서 발견한 폴립 서식해역을 신고하면 전 해역의 해파리 폴립 분포도를 보다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다.
전국 폴립 분포도가 구축되면 지금까지 서․남해안 중심으로 수행된 제거사업이 동해안까지 확대되어 전 연안에 대한 해파리 대량발생 억제에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장 만 해양환경관리공단 이사장은 “앞으로 관리대상지를 전국 연안으로 확대하여 해파리로 인한 국민들의 피해를 줄이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