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성과발표회, 광주형 협업 시범과제 11개 중 9개 팀 경합
최우수상에 ‘Green Light 광주천 프로젝트’팀 선정
광주광역시가 올해 추진한 협업행정 중 ‘Green Light 광주천 프로젝트'팀이 가장 뛰어난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됐다.
광주시는 25일 시청 2층 무등홀에서 협업행정의 성과를 공유․확산하기 위해 ‘2016 광주형 협업행정 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번 발표회는 올 한해 시가 추진한 협업성과를 결산하는 자리로, ‘음식물 쓰레기 30% 줄이기’를 비롯해 ‘마을정책 플랫폼’, ‘문화전당 주변 활성화 사업’ 등 지난 2월 공모를 통해 선발된 광주형 협업 시범과제 11개 중 9개 팀이 참가해 경합을 벌였다.
심사는 전문가로 구성된 8명의 전문심사단과 시민, 공무원 83명이 참여한 청중심사단이 맡았으며, 사전심사와 이날 현장심사 결과를 합산해 고득점 순으로 순위를 결정했다.
Green Light 광주천 프로젝트’팀은 광주천을 시민들이 즐겨찾는 친수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부서 간 업무를 공유해 수질개선 관련 사업 추진 효율을 극대화하고, 하천수 수리특성 분석 등 ‘수리수질모델’ 일부 구간을 구축하는 등 수질개선을 위한 각종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우수상은 ‘마을정책 플랫폼 회의’팀이, 장려상은 ‘음식물 쓰레기 30% 줄이기’팀이 수상했다.
수상한 3개 팀에는 포상금을 비롯해 인사 가점 부여, 올해의 공무원 상 추천 등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한편, 광주시는 민선6기 들어 부서 간 칸막이를 없애고 소통과 협력의 조직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전 직원을 대상으로 협업과제를 발굴하는 등 조직의 체질을 개선해왔다. 자치구와 시 산하 공사․공단에 대해서도 교육과 컨설팅을 실시하는 등 지역 전반으로 협업문화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김재철 시 참여혁신단장은 “탄력적이고 수평적인 조직문화가 세계 추세다”며 “부서·기관 간 칸막이를 없애고 일하는 방식을 시민중심으로 바꿔 변화와 혁신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도록 소통과 협업의 조직문화를 정착시켜가겠다”고 말했다. <끝>
※ 붙임 : 광주형 협업 시범과제 수상팀 (발표회 사진 별첨)
과제명주요성과
Green Light 광주천 프로젝트
(추진배경)
시민들이 즐겨찾는 친수공간 광주천을 만들기 위해 수질개선 추진
※ 수질개선 목표(BOD 기준) : 3급수(5.0mg/L) → 2급수(3.0mg/L)이하
(추진과정 및 내용)
하천수 유수특성 분석을 위한 “수리․수질모델” 구축 관련 기초자료 조사 (광주대교 등 7개지점 2회)
․광주천 유량(㎥/s) 현황 및 소멸지역 조사․분석
․광주천 유속(m/s) 현황 및 수질분석
․하천 유입 비점오염원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검토를 위한 저니층 분석
수질개선 관련 신규사업 발굴 및 시행부서 지정
광추천 수질변화 관측 등을 위한 수질검사 실시
(주요성과)
하천수 수리특성 분석 등 “수리․수질모델”일부 구간 구축 완료 및 시범 운영
구축 완료 구간 : 광암교~덕흥2보(시청뒷편) L=2.2km
수질개선 관련 신규 사업 다수 발굴 및 ‘17년 소요사업비 확보
신규 사업 발굴 : 하천시설물 정비 등 7개 사업 총 515억원
부서별로 추진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는 각종 수질개선 사업 상호 공유로 협업 활동 적극 참여 및 업무추진 효율 극대화(사업 시행부서 지정․조정 등)
하천시설물 정비 및 친수활동 공간 조성 위치 검토 : 건설행정과
하천 유입 오염원(월류하수 등)조사 및 저감대책 추진 : 생태수질과
하천수 수질조사 및 분석 : 보건환경연구원, 광주환경연구원
과제명주요성과
마을정책 플랫폼 회의
(추진배경)
마을공동체 사업의 중복을 피하고 마을자원부서의 협력·연계 및 정보공유를 통해 마을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함
(추진과정 및 내용)
광주시 마을공모사업 추진체계 정립
부서별 마을사업 공모내용 조정, 시·자치구 역할분담 등
통합공모 및 통합심사, 통합설명회, 교육 통합 운영 등
16, ’17년 마을정책, 사업 통합계획 수립
일관성있는 마을정책 추진위해 마을정책 통합계획 수립
예산총괄 조정 및 사업비 확보 공동대응 등
(주요성과)
(주민) 마을정책의 일관성으로 마을사업하기 쉽고 정보획득 용이
(업무담당자) 같이 고민하고 함께 해결, 노하우 전수 및 소통창구
마을정책을 공동기획·공동추진함으로써 정책역량이 결집되어 마을정책의 시너지 효과 배가
예산과 자원의 효율적 활용과 공동 프로젝트 실행으로 규모있는 사업추진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