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의료서비스 질 광주 전국 ‘최하위’에 대해
광주 지역이 종합 점수에서 전국 최하위인 이유는 평가기준 불공정 및 종합점수 산정방식에 모순이 있기 때문으로 분석됨
평가 대상 8개 영역 중 ‘적시성’과 ‘환자중심성’ 등 2개영역에서 ‘0’점을 받았지만 적시성은 1개, 환자중심성은 2개 지표에 불과한데도
종합점수는 산정을 96개 지표로 구성된 ‘의료효과성’ 등 지표가 많은 영역과 동일하게 8개 영역별 지표를 산술평균하고, 다시 8개 영역 평균점수를 산술평균하였기 때문에 산정방식이 공정하지 못하였음
오히려 의료효과성, 환자안전, 효율성 등 3개 핵심 영역은 우리 지역이 우수하게 평가 받아 실제 의료서비스 질은 우수하다고 볼 수 있음
이에 대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는 '15년도에 처음 정식 실시한 평가인 만큼 향후 검토 보완해 나가겠다고 하였음
적시성․환자중심성 및 HIV/AIDS 효과성의 ‘0’점 처리에 대해
‘적시성’(응급환자 병원 도착 및 대기 시간) 평가는 환자의 주소지가 아닌 병원 소재지를 중심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우리지역이 타 지역보다 절대적으로 불리한 여건임
우리지역 상급종합병원(전대, 조대) 응급실 이용환자의 50% 이상이 전남․전북 등 타 지역 사람으로 응급증상이 발현된 시점부터 병원 도착시간이 지연될 수 밖에 없음
각 지표별로 평가하여 가장 낮은 지역을 무조건 ‘0’점 처리하도록 설계하였으나 편차범위를 지나치게 크게할 경우 공정한 평가 기대가 어려워 불합리함
‘환자중심성’(환자의 선호․가치 존중 임상결정) 평가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부분은 의료계 차원의 개선이 요구됨
HIV/AIDS 효과성의 ‘0’처리는 ‘0’점이 아닌 사망자 ‘0’명으로 처리해야 하는데 보건사회연구원의 실수로 잘 못 처리되었음
지역별 의료 질 점수 분포

주. 1) 별지표는 16개 시도(세종 제외)의 지표 분포에서 질 향상 방향을 고려하여 가장 좋은 값은 100 가장 낮은 값이 0이 되도록 표준화함
2) 가중평균1은 범주별 값에 설정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합산한 점수로 가중치를 8개 범주에 대해 동일한 가중치(100/8≒12.5%)을 적용
3) 가중평균2는 가중치를 의료 질과 환자안전 범주에 각 20을 적용하고 기타 범주에 각 10을 적용
4) 가중평균3은 의료 질에 30 기타 일에 30 기타 범주에 각 10을 적용
지역간 의료질 측정결과 순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