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13.7℃
  • 맑음강릉 18.3℃
  • 맑음서울 13.0℃
  • 맑음대전 13.5℃
  • 맑음대구 15.4℃
  • 맑음울산 15.8℃
  • 맑음광주 12.7℃
  • 맑음부산 15.1℃
  • 맑음고창 13.5℃
  • 맑음제주 17.7℃
  • 맑음강화 13.2℃
  • 맑음보은 10.9℃
  • 맑음금산 11.4℃
  • 맑음강진군 14.0℃
  • 맑음경주시 16.1℃
  • 맑음거제 15.3℃
기상청 제공

서울시교육청, 2024학년도 공(국)립 중등학교교사 임용시험 최종 합격자 발표

합격과목: 26개 과목, 총 744명(공립 743명, 국립 1명)


▢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조희연)은 ‘2024학년도 공(국)립 중등학교교사 임용시험 최종 합격자’를 2024. 2. 8.(목) 10시에 서울특별시교육청 누리집(www.sen.go.kr)을 통해 발표했다.

▢ 최종 합격자는 26개 과목, 공립 743명, 국립 우진학교 특수(중등) 1명으로 제1차 시험(교육학, 전공) 및 제2차 시험(실기․실험,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수업실연, 교직적성 심층면접)을 거쳐 최종 선발하였다.

▢ 초등학교 교사 면접 때와 마찬가지로 중등학교 교사 심층면접에서도 AI·디지털 교육 등 주요 정책 관련 문제를 출제하여 서울 미래 교육에 적합한 인재 선발 의지를 표명하였다.

▢ 공립학교 교사 전체 합격자 743명 중, 남성은 202명(27.2%)으로 전년도 180명(24.8%)에 비해 2.4%p 증가하였고, 장애 전형 합격 인원은 16명으로 작년 20명보다 4명 감소하였다.

▢ 합격자들은 교육현장 적응을 위하여 임용 전 직무연수를 2월 14일(수)부터 2월 23일(금)까지 이수한 후, 교원수급계획에 따라 3월 1일부터 신규교사로 임용될 예정이다. 

붙임  1. 2024학년도 공(국)립 중등학교 교사 임용시험 최종 합격자 현황
2. 2024학년도 공(국)립 중등학교 교사 임용시험 최종 합격자 공고문


  [붙임 1]

 1. 공립 중등학교 교사 임용시험 최종 합격자 현황

                                                                                                                                (단위: )

선발

과목

선발인원

1차 합격 인원

2차 응시인원

최종 합격 인원

합격선()

일반

장애

일반

장애

일반

장애

일반

장애

일반

장애

국어

64

5

69

97

2

99

96

2

98

64

2

66

165.60

비공개

수학

92

7

99

138

0

138

136

0

136

92

0

92

144.14

-

물리

32

3

35

50

0

50

49

0

49

32

0

32

155.99

-

화학

33

3

36

50

0

50

50

0

50

33

0

33

147.33

-

생물

38

3

41

57

1

58

54

1

55

38

1

39

159.70

비공개

지구과학

17

1

18

26

0

26

26

0

26

17

0

17

143.62

-

일반사회

25

2

27

40

2

42

40

2

42

25

2

27

173.64

비공개

역사

38

3

41

62

1

63

62

1

63

38

1

39

157.77

비공개

지리

13

1

14

20

2

22

20

2

22

13

1

14

177.09

비공개

도덕윤리

32

3

35

49

0

49

49

0

49

32

0

32

160.44

-

체육

55

5

60

83

0

83

83

0

83

55

0

55

160.04

-

음악

35

3

38

56

2

58

56

2

58

35

2

37

159.24

비공개

미술

18

2

20

27

0

27

26

0

26

18

0

18

147.27

-

한문

13

1

14

21

0

21

21

0

21

13

0

13

173.61

-

영어

54

5

59

81

1

82

81

1

82

54

1

55

165.50

비공개

기술

20

2

22

30

0

30

29

0

29

20

0

20

169.40

-

가정

18

1

19

27

1

28

26

1

27

18

1

19

160.70

비공개

정보

컴퓨터

36

3

39

54

0

54

54

0

54

36

0

36

166.44

-

전기

3

0

3

5

0

5

5

0

5

3

0

3

166.93

-

전자

2

0

2

3

0

3

3

0

3

2

0

2

비공개

-

기계

3

0

3

6

0

6

6

0

6

3

0

3

160.87

-

특수(중등)

28

2

30

44

2

46

44

2

46

28

2

30

157.17

비공개

보건

16

2

18

25

2

27

25

2

27

16

2

18

170.34

비공개

영양

24

2

26

37

0

37

37

0

37

24

0

24

171.67

-

사서

3

0

3

5

0

5

5

0

5

3

0

3

180.66

-

전문상담

15

1

16

25

2

27

25

2

27

15

1

16

160.00

비공개

합계

727

60

787

1,118

18

1,136

1,108

18

1,126

727

16

743

 

 

  합격인원이 2명 이하인 경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합격선 비공개

          
 2. 국립(우진학교) 중등학교 교사 임용시험 최종 합격자 현황

(단위: )

선발 과목

선발(예정)인원

1차 합격 인원

2차 응시인원

최종 합격 인원

합격선()

특수(중등)

1

5

5

1

비공개


            
 3. 공립학교 최근 5년간 교사 성별 합격자 현황


연도

최종 합격 인원

남성

여성

남성 비율

2020학년도

202

650

852

23.7%

2021학년도

131

556

687

19.1%

2022학년도

123

494

617

19.9%

2023학년도

180

546

726

24.8%

2024학년도

202

541

743

27.2%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나비, 황금박쥐를 만나다’ 제27회 함평나비대축제 개장
전남 함평군이 제27회 함평나비대축제가 성대한 막을 올리며 5월 6일까지 12일간의 대장정에 돌입했다. 함평군은 25일 “제27회 함평나비대축제가 축제 첫날인 이날 오전 엑스포공원 나비곤충생태관에서 개장 기념 나비날리기 행사로 축제의 서막을 알렸다”고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 명예문화축제로 지정된 ‘제27회 나비대축제는 ‘나비, 황금박쥐를 만나다’를 주제로 이날부터 5월 6일까지 함평엑스포공원 일원에서 개최된다. 나비대축제에서는 호랑나비, 배추흰나비 등 17종 약 20만 마리의 살아 있는 나비와 메리골드 등 30종 50만 본의 봄꽃이 어우러진 장관을 선보이며 관광객을 맞이한다. 자연 속에서 생명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봄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도 마련됐다. 특히, 올해는 최근 금값 상승으로 주목을 받는 함평의 대표 관광 콘텐츠인 ‘황금박쥐’ 캐릭터 ‘황박이’가 함께 관광객을 맞이하며 축제에 활기를 더하고 있다. 황금박쥐상은 함평엑스포공원 추억공작소에 있는 황금박쥐전시관에서 볼 수 있다. 이날 오후 7시에는 나비대축제 개막식이 열려 주민과 관광객이 함께하는 가운데 축제의 찬란한 시작을 선포한다. 개막 축하 공연에는 가수 조성모와 소찬휘가 화려한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
지하철 ‘넘어짐 사고’ 5년간 600건 육박…서울교통공사 예방 총력
서울교통공사는 최근 5년간(2020~2024년) 지하철 역 구내에서 발생한 ‘넘어짐 사고’가 총 597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전체 역내 사고 2,387건 중 25%를 차지하는 수치로, 연 평균 119건, 월 평균 10건 꼴로 발생한 셈이다.특히, 전체 사고 가운데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에서 발생한 사고는 275건으로, 전체 ‘넘어짐 사고’의 46%를 차지했다. 환승을 위해 서두르다 계단에서 발을 헛디디거나, 에스컬레이터 이용 중 중심을 잃는 사례가 주요 원인이다. 이 중 다수는 출퇴근 시간대, 열차 도착 정보를 보고 급히 움직이던 승객들이 중심을 잃고 넘어지는 경우로 파악되고 있다.서울교통공사는 이 같은 사고를 줄이기 위해 사고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위험 지역을 선별, 집중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민 안전 강화를 위한 홍보 캠페인을 주기적으로 전개하고 있으며,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시간대에는 안내방송을 집중 송출해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더불어, 행선안내게시기에는 사고 예방을 위한 홍보영상을 상영하여 시민들에게 안전 수칙을 자연스럽게 인지시킬 예정이다.이와 함께 공사는 주요 혼잡역에 '시니어 승강기 안전단' 582명(49개 역)과 '지하철 안전도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