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환경뉴스

e경남몰 우수제품, 해외 온라인 쇼핑몰에 입점한다

- 5월 24일 쇼피, (재)경상남도경제진흥원과 함께 업무협약 체결
- 경남도, 2022년 해외 온라인 쇼핑몰 입점지원 사업 추진
- 입점희망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30개사 모집 중
- 해외 온라인 쇼핑몰 입점교육 이수 업체 대상 130만 원 지원, 최대 180만 원 지원
 


경상남도는 e경남몰 입점 우수 생산품의 해외 쇼핑몰 입점 및 안정적 판로개척 등 체계적인 지원을 위해 5월 24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동남아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쇼피(Shopee), (재)경상남도경제진흥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경상남도, 쇼피코리아, (재)경상남도경제진흥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우수 잠재기업들을 대상으로 교육 및 마케팅 지원 등을 추진하고, 동남아 시장 전자상거래 판로 확대와 온라인 인프라 구축 등에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경상남도와 (재)경상남도경제진흥원에서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 대만 등 동남아 6개국 등에서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는 쇼피(Shopee) 입점지원 사업이며, 판매자들을 위한 컨설팅, 입점, 교육, 물류 서비스, 마케팅 및 번역 등 전반적인 솔루션 지원을 통해 기업의 전자상거래 진출을 지원 할 예정이다.
 
해외 온라인 쇼핑몰 사업에 선정된 기업 대상으로 쇼피 입점지원 교육(무료) 및 키워드 광고비 및 마케팅 콘텐츠 제작비 130만 원을 지원해주고, 추가로 교육 이수 성적이 우수한 업체 2개사를 선정하여 키워드 광고비 50만 원을 지급해준다.
 
 
이번 사업의 참여요건은 도내에 소재한 업체 중 최근 동남아에서 인기 있는 화장품, 식료품 등 품목을 생산하는 업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모집기간은 1차 5. 9.(월) ~ 6. 8.(수), 2차 8. 16.(화) ~ 9. 16.(금)로 진행된다.
 
자세한 내용은 (재)경상남도경제진흥원 누리집(https://gnepa.or.kr)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입점 가능 품목 등 문의사항은 소상공인지원팀(☎055-230-2964)에 문의하면 된다.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재)경상남도경제진흥원에 직접 방문하거나 전자우편(yun21@gnepa.or.kr)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본 사업 참가기업은 e경남몰에도 입점하게 된다.
 
김인수 도 투자유치지원단장은 “본 사업은 소상공인, 중소기업인이 생산한 우수제품의 온라인 판로를 해외로 확대하는 것”이라며, “이미 온라인쇼핑몰에서 판매실적이 뛰어나고, 해외로 진출해보고 싶은 소상공인, 중소기업, e경남몰 입점기업이 많이 참가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한강유역환경청·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 ‘2025 한강 물 포럼’ 개최
한강유역환경청(청장 홍동곤)과 한강유역물관리위원회(위원장 전경수)는 5월 9일 양재 aT센터에서 ‘2025 제2차 한강 물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물 포럼은 ‘물 갈등 해소를 위한 거버넌스 강화와 실효적 지원 방안’을 주제로 정부와 지자체, 학계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모으고자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거버넌스의 역할과 활성화, 지원 방안을 팔당 상수원 규제에 대한 갈등 개선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했다. 행사는 전경수 위원장의 개회사와 곽결호 한국물포럼 총재의 축사를 시작으로 통합물관리시대, 팔당호 관리 방안과 팔당 상수원 규제갈등과 개선방향 발제 순으로 진행됐다. 이어 통합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거버넌스 구축 및 운영방안 발표와 종합토론을 통해 현재 유역 내 거버넌스 운영의 한계점과 활성화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한강청과 한강유역위는 포럼에서 논의된 여러 의견을 취합해, 통합물관리 체계의 유역 거버넌스 운영을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전경수 한강유역물관리위원장은 “물관리위원회가 유역 내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를 연결하고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거버넌스의 중심축 역할을 충실히 하겠다”고 밝혔다. 홍동곤 한강유역환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