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는 정의롭고 풍요로운 광주건설을 실현하기 위한 2대 정책방향으로 광주다움의 회복과 일자리를 제시했습니다.
광주만의 고유하고 독특함을 발굴해서 상품화 브랜드화 산업화 할 것을 수차례 강조했습니다. 오늘 그 주요 정책으로 광주김치의 세계화 관광 상품화를 제안합니다.
○ 맛있고 위생적인 김치에 대한 국내외 수요는 무궁무진합니다. 우리 광주는 이런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가장 좋은 여건을 구비하고 있습니다.
○ 김치는 미향 광주의 가장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배추, 염전 등 양질의 원․부재료와 솜씨 좋은 김치 명인 등 좋은 김치를 생산하기 위한 여건이 잘 갖춰져 있기 때문입니다.
○ 이 밖에, 2010년 개소한 과기정통부 산하 세계김치연구소가 우리 광주에 있고 올해로 25년째를 맞은 세계김치축제도 매년 열리고 있습니다.
※ 세계김치축제 : ’18. 10.25.(목) ~ 28.(일) / 남구 김치타운
○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주 김치를 세계화·관광 상품화하기 위한 우리의 관심과 노력은 크게 부족했습니다.
- 김치축제는 관광객을 유인하기 위한 차별화된 콘텐츠가 보이지 않고 개최지로서 김치타운의 시설과 접근성도 매우 미흡합니다.
- 또한, 광주에 있는 16개 김치 제조업체는 영세한 규모와 마케팅 역량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광주 김치의 성공적인 상품과 산업화를 위해 공동브랜드를 활용한 제품 홍보, 판로확대 등 마케팅 지원 정책이 필요합니다.
○ 10월25일부터 개최되는 세계김치축제부터 일회성 행사로 그치지 않도록 행사 콘텐츠부터 시설까지 아우르는 근본적인 혁신을 통해 시민들과 국내외 관광객이 찾아오는 행사가 되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관련 부서에서는 세계김치축제 활성화 방안과 광주 김치의 세계화·관광 상품화 방안을 강구하여 보고하고 적극 추진하기 바랍니다.
▢ 직장 어린이집 여건 개선을 광주시청이 선도
○ 광주시 합계출산율은 2017년 1.05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4번째로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서울(0.84명), 부산(0.98명), 인천(1.01명), 광주(1.05명)
○ 저출산 해결을 위해 출산이나 경제적 지원도 필요하지만 근로자인 부모들이 마음 놓고 아이들을 맡길 수 있는 직장 어린이집의 내실 있는 운영이 매우 중요합니다.
○ 이런 점에서 기업 단위나 산업단지에서 직장 어린이집 활성화가 최선의 출산지원책입니다. 우리 시청이 바람직한 직장 어린이집의 모델이 되도록 선도적 역할을 해주기 바랍니다.
○ 그러나 시청 어린이집의 경우, 입소를 원하는 자녀 수 대비 보육정원(84명)이 크게 부족하여 매년 평균 2.13대 1의 높은 입소 경쟁률을 보이고 있고 수십 명의 대기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총무과와 회계과에서는 시청 직원들이 업무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그리고 광주지역의 직장 내 보육 시설의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어린이집 시설 확충뿐만 아니라 보육 서비스의 질 제고 방안까지 강구해 주시기 바랍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