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조명래)는 8월 31일 오후 4시부터 2시간 동안 ‘기후변화 시대, 물관리 방향을 묻다’를 주제로 전문가와 국민들이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온라인 국민소통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물 관련 국가 최상위 계획인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국민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추진하는 것이다.
※ 국가물관리기본계획: '물관리기본법'에 따라 물관리일원화 이후 처음으로 수립하는 물관리 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이며, 2021년 상반기까지 수립될 예정
코로나19 상황 등을 감안하여 소규모 대면(7명, 정부세종청사 6동 종합안내동 1층)과 대규모 비대면(온라인 생중계, 댓글 토론) 방식을 결합한 형태로 진행한다.
국민 누구나 정보무늬(QR코드) 또는 인터넷 사이트(https://event-us.kr/me/event/20749)에 접속하여 참가할 수 있으며, 참가 승인 후 생중계 시청 및 댓글 토론에 참여할 수 있다.
<행사 정보무늬(QR코드)>
포럼에서는 학계‧연구계‧시민사회 등 다양한 방면의 물 관련 전문가들이 주제발표 및 토론에 참여하여 국가의 미래 물관리 방향을 논의한다.
먼저,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연구용역 담당자인 한혜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이 ‘우리나라 물관리 현황 및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의 개요’를 소개한다.
권현한 세종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기후변화 전망과 이상기후에 따른 수재해 대응 방안‘을 발표한다.
김이형 공주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미래세대와 자연을 위한 지속 가능한 물관리 방향’이란 주제로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물관리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주제발표 이후, 이상은 국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센터장, 정세웅 충북대 환경공학과 교수, 신재은 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국장이 주제발표에 대한 각자의 견해를 밝히고,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우리나라 물관리의 기본 방향을 주제로 토론한다.
토론 참석자들은 온라인으로 참여한 국민들의 제안에 대해서도 함께 논의할 예정이다.
신진수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기후변화에 따른 불확실성의 증가 등으로 물관리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질 것”이라면서, “이날 행사에서 논의된 내용들이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 잘 반영되어 국민들이 체감하는 정책으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온라인 국민소통포럼 개최 계획.2. 참석자 명단.3. 안내 포스터. 끝.
붙임 1 | |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온라인 국민소통포럼 개최 계획 |
□ 열린소통포럼 개요
◦ (일 시) ’20. 8.31(월) 16:00~18:00시
◦ (장 소) 정부세종청사 6동 종합안내동 1층
◦ (주 제) ‘기후변화 시대, 물관리 방향을 묻다’
◦ (방 식) 온라인 생중계·채팅토론*+오프라인 컨퍼런스(발제3명, 패널 3명)
- 사회 : 강석일 MC·코메디언 (KBS 「스탠드업」 시사풍자 콩트 출연)
- 발제 ① 우리나라 물관리 현황,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의미와 개요(한혜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
② 기후변화 전망 및 이상기후에 따른 수재해 대응 방안(권현한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③ 미래세대와 자연을 위한 지속 가능한 물관리 방향 (김이형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 토론 ① 이상은 국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센터장
② 정세웅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③ 신재은 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국장
□ 세부일정(안)
□
진행순서 | 소요시간 | 내용 |
Opening | 16:00∼16:05 (5분) | - 개회 ※ 사회 : 강석일 MC·코미디언 - 발제자 및 토론자 소개 |
주제 설명 | 16:05∼16:50 (45분) | - 발제 1. 물관리 현황,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의미와 개요 - 발제 2. 기후변화 전망 및 대응 방안 - 발제 3. 미래세대와 자연을 위한 지속 가능한 물관리 방향 |
종합 토론 | 16:50∼17:35 (45분) | - 토론패널, 발제자, 온라인 채팅창 소통 ※ 퀴즈 및 경품 이벤트 |
투표 | 17:35∼17:50 (15분) | - 국민이 원하는 물관리 방향 설문 ※ 설문 참여자 추첨·경품 이벤트 |
마무리 | 17:50∼18:00 (10분) | - 포럼 결과 요약 등 |
구분 | 성명 | 소속 | 주요이력 | 비 고 |
《 발제 》 | | | | |

| 한혜진 | KEI 통합물관리연구실 연구위원 | ‧ U of Michigan 환경학 박사 ‧ 중앙환경정책위원회 위원 ‧ 물순환 및 유역관리 연구 ‧ 물환경관리기본계획 수립 연구 | |

| 권현한 |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 ‧ 서울시립대학교 공학 박사 ‧ 수문통계 및 기후변화 연구 ‧ 수문기상 통계학 편서 | |

| 김이형 |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 ‧ UCLA 공학 박사 ‧ IWA의 비점오염분과 위원 ‧ 물순환 및 비점오염원 연구 | |
《 패 널 》 | | | | |

| 이상은 | 국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센터장 | ‧ KAIST 공학 박사 ‧ 일본 국제물재해위험도 관리센터 연구원 ‧ 수자원 및 재난위험도 분석 | |

| 정세웅 | 충북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 | ‧ Iowa State Univ. 공학 박사 ‧ 환경수리 모델링 및 수환경 모니터링 연구 | |

| 신재은 | 환경운동연합 생태보전국장 | ‧ 생태보전국 국장 ‧ 수자원 및 생태보전 운동 ‧ 하천환경 운동 활동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