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민·관 합동 점검반 69명, 31개조 오수처리시설 일제 점검
비정상 가동으로 인한 수질오염 사전예방 목적, 상반기 점검 누락 시설 우선적으로 실시
위반업체는 하수도법 따라 고발, 과태료 등 처분, 시설 점검기술도 전달
경기도가 도내 개인 오수처리시설 1천300곳을 대상으로 일제 점검에 들어갔다.
도는 10일 팔당호 주변 오수처리시설 490곳과 그 외 경기지역 전역의 810곳에 대해 지난 5일부터 25일까지 15일간 민·관 합동 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합동 점검반은 도와 시·군, 환경단체 관계자 69명, 31개조로 구성됐다.
이번 점검은 개인 오수처리시설 비정상 가동으로 인한 수질오염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올 상반기 점검에서 누락된 시설에 대해 우선적으로 실시할 방침이다.
주요 점검내용은 생활오수를 처리시설을 거치지 않고 공공수역으로 방류하는 행위, 오수처리시설의 전원을 끄는 등 비정상적인 가동 행위 등이다. 위반 시설은 하수도법에 따라 고발, 과태료 처분, 개선명령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점검 외에 오수처리시설 관리자에 대해서는 수질관리의 중요성과 관리방안에 대한 교육도 함께 이뤄진다.
도 수자원본부 관계자는 “민·관이 합동으로 단속함에 따라 더욱 투명하고 신뢰성 있는 점검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이라며 “이번 점검으로 수도권 2천500만 주민의 식수원인 팔당호를 비롯해 도내 모든 상수원과 하천이 더욱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올 상반기 합동단속을 통해 1천153개소를 점검하고 이 중 216곳을 위반시설로 적발했다.
오수처리시설 운영실태 -
2016년 하반기 민․관 합동 지도․점검
오수처리시설의 운영실태를 민․관 합동으로 지도․점검 실시하여 상수원과 하천의 수질오염 및 녹조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함
점검개요
기 간 : ‘16. 10. 5 ~ 10. 25(15일간)
대 상 : 오수처리시설 총 1,300개소
팔당 7개 시․군(490개소), 기타 24개 시․군(810개소)
상반기 미 점검시설 우선점검
점검반편성운영 : 31개조 69명(道 2, 시․군 46, NGO 14)
팔당유역 7개 시군 : 도, 시군, NGO 합동점검(3인 1조)
고양시 등 9개 시군 : 도, 시군 합동점검(2인 1조)
고양, 화성, 평택, 시흥, 파주, 김포, 양주, 안성, 포천
수원시 등 15개 시군 : 시군 자체점검(2인 1조)
수원, 성남, 부천, 안산, 안양, 의정부, 광명, 군포, 오산, 구리, 의왕, 하남, 동두천과천, 연천
점검내용
오수처리시설 적정 설치 및 관리기준 준수 여부
시설파손 및 정상가동 여부, 내부 청소 이행상태, 전원을 끄는 행위
하수처리구역내 시설은 관로연결 및 폐쇄신고 유도
방류수 수질기준 준수 여부(방류수 채수 및 수질분석 의뢰)
기타 관계법령 준수여부
기대효과
상수원, 하천주변 수질오염원 점검을 통한 수질보전 및 녹조최소화
민간인 참여로 지도점검 투명성 제고 및 지도점검 기술 전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