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끼춤 춘 김동연, ‘양주별산대놀이’ 전통 잇는 청년 예술인 응원

  • 등록 2025.08.26 14:18:30
크게보기

보유자들 달달버스 보며 이곳도 달라지겠다 기대감
김 지사, k 컬처 비조라며 극찬… 공연 기회 확대 등 지원키로

‘깨끼춤’을 추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손발이 다소 따로 놀았다.
26일 오전, 김 지사는 ‘달달버스’를 타고 민생경제 현장투어 두 번째 지역인 양주를 찾았다. 첫 일정으로 방문한 곳은 양주별산대놀이마당. 그는 국가무형유산 제2호인 양주별산대놀이의 보유자와 전승교육사, 이수자들을 만나 공연을 관람하고 직접 춤 동작을 배웠다.

이날 체험한 춤은 양주별산대놀이의 대표 춤 ‘깨끼춤’. 춤을 지도한 박진현 이수자(55)가 빙그레 웃으며 “내 손인데 내 말을 안 듣죠?”라고 묻자, 김 지사는 땀을 닦으며 “이게 훨씬 더 어려워요”라고 답했다. 평소 자신을 ‘몸치’라고 소개하는 김 지사답게, 무릎을 굽혀야 할 때 굽히지 못해 동작이 다소 어색했지만, 끝까지 열심히 따라 했다.

박 이수자가 “간단한 동작도 이리 어려운데, 도정을 살피는 일은 얼마나 어렵겠느냐”고 말하자, 김 지사는 미소로 화답했다. 하지만 박 이수자가 남긴 “예술의 길은 멀고 험한 것”이라는 말에는 현실적인 고민이 담겨 있다. 현재 전승지원금은 보유자와 전승교육사에게만 지급되고, 이수자에게는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이날 함께한 청년 이수자 윤동준 씨(29)는 중학교 1학년 때부터 전승의 길에 들어섰다. 그는 경기도의 예술인기회소득(연 150만 원)과 청년기본소득(100만 원) 혜택을 받아 전승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기회소득은 2023년 도입돼 올해로 3년째를 맞았다. 지난해까지 약 1만6천여 명의 예술인이 혜택을 받았고, 분석 결과 창작활동 시간과 예술활동 소득이 각각 주당 42분, 월 3만 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양주별산대놀이는 1964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된 한국의 대표 탈놀이로, 서민의 삶을 해학과 풍자로 풀어낸다. 이날 보존회 관계자들은 “공연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입을 모았다. 김 지사는 이들의 바람에 “젊은 예술인들이 전통을 이어갈 수 있도록 실질적 지원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현재 경기도는 도 지정 무형유산 72종목에 대해 전승지원금과 공연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기회로 전통을 미래로”라는 기조 아래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백광훈 기자 bkh4814@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이승재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