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올해 강소기업 43곳 지정… 맞춤형 육성 지원

  • 등록 2020.06.01 10:25:48
크게보기

부산형 강소기업 성장사다리 정책, 지역 중소기업을 글로벌기업으로!


◈ 글로벌 성장성이 높은 글로벌 강소기업 14곳, 지역을 선도하는 부산형 히든챔피언 기업 6곳, 성장성이 높은 부산 지역스타(Pre-챔프)기업 15곳, 유망 강소기업인 부산히든테크 8곳 등
◈ 부산형 히든챔피언 중 3곳, 부산 지역스타(Pre-챔프)기업 중 1곳 등 총 4개사가 상위단계인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진출

  부산시(시장 권한대행 변성완)와 부산테크노파크는 지역을 선도할 부산형 성장사다리 단계별 유망 중소기업 43개사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부산형 강소기업 성장사다리 육성은 「중소→중견→글로벌기업」으로의 성장생태계 구축을 통한 부산경제의 혁신성장과 지역발전을 주도할 강소기업 육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글로벌 강소기업: 매출액 100~1000억 원, 글로벌 도약기업

  올해 글로벌 강소기업은 매출액 100~1,000억 원 범위의 수출액 500만 달러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14개사를 선정하였다. 

  선정기업은 디스플레이, 반도체 제조용 정전기 제거장치 및 측정장치 전문기업으로 2019년 ’소재부품장비 강소기업100‘으로 선정된 ㈜선재하이테크, 나이키 신발의 80%에 적용되는 신발 재귀반사소재 분야 세계 1위 기업인 ㈜지비라이트 등이다. 선정기업들은 2019년 평균 매출액은 400억 원, 매출액 대비 수출비중 49.6%로 글로벌 성장성이 높은 기업군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선정기업에 해외마케팅 지원(바우처, 4년간 2억 원) 및 기술개발사업 우대 선정을 통해 해외진출과 신제품 개발을 촉진하고, 부산시는 전용지원프로그램(기업당 2천만 원 내외)을 통하여 사업화를 지원한다.

■ 부산형 히든챔피언: 매출액 300억 원~중견기업, 지역혁신 선도기업

  부산형 히든챔피언 육성사업은 글로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추진하며, 올해부터 매출액 300억 원~중견기업까지가 대상이다. 부산형 히든챔피언기업에는 지역의 대표적인 중견기업으로 단조 및 제강 제품을 생산하는 ㈜태웅 및 반도체 피팅 전문기업인 ㈜태광후지킨 외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인 ㈜삼영엠티 등 6개사가 선정됐다. 

  부산형 히든챔피언기업의 2019년 평균 매출액은 1,386억 원, 3년 평균 연구개발(R&D) 투자비중은 2.2%로 지역강소기업이며, 부산시는 선정기업에 대해 기술 및 사업화 지원 등의 전용지원프로그램을 통하여 히든챔피언기업에는 연 9천만 원 이내로 2년간 차등 지원한다.

■ Pre-챔프: 매출액 50~400억 원, 지역스타기업

  부산 지역스타(Pre-챔프)기업은 올해부터 최근 3년 평균 매출액을 50~400억 원까지 확대하여 15개사를 선정했다. 대표적 기업으로는 태양광 발전시스템, 금속지붕 패널을 주력제품으로 하는 ㈜에이비엠과 산업밸브용 웜기어박스, 베벨기어박스 전문기업인 ㈜삼보산업 등이 있다. 선정기업의 3년 평균 매출액은 178억 원, 3년 평균 매출액 성장률은 8.5%로 성장성이 높은 전문기업들이다. 

  부산시와 중기부는 선정된 기업에 1차연도 기업성장전략 수립과 상용화 연구개발(R&D) 과제 기획을 위해 4천만 원 이내에서 지원하며, 2~3차연도에는 중기부의 연구개발(R&D) 사업(2년간 6억 원 이내)에 신청할 자격을 준다.

  특히, 올해는 부산 지역스타(Pre-챔프) 선정기업에서 1개사(’18년 ㈜서영)와 부산형 히든챔피언 선정기업에서 3개사(’17년 ㈜유니테크노, ’18년 ㈜선재하이테크, ㈜오성전자) 등 총 4개사가 지속적인 성장과 기술 및 제품 경쟁력 확보를 통하여 상위단계인 2020년 글로벌 강소기업에 선정되었다. 

■ (신설)부산히든테크: 매출액 30~150억 원, 유망강소기업

  매출규모가 낮아 정부지원의 사각지대에 있는 30~150억 원대의 유망기업을 대상으로 부산형 히든테크기업 육성을 신설하여 지원한다. 부산형 히든테크기업의 2019년 평균 매출액은 73억 원, 3년 평균 연구개발(R&D) 투자비중 5.4%로 성장성이 높다. 

  부산형 히든테크기업에는 연 4천만 원 상당을 2년간 차등 지원하며, 신발 안창을 생산하는 ㈜영창에코와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IT기업인 ㈜인터버드를 포함해 화장품, 반도체 부품, 해양기자재, 소프트웨어 개발 등 다양한 산업군의 8개 기업을 선정했다.

  변성완 시장 권한대행은 “매출규모가 낮은 유망기업을 대상으로 히든테크기업 육성사업을 신설해 빈틈없는 강소기업 성장체계를 마련했다”라며, “지역 중소기업이 부산형 성장사다리를 통하여 글로벌기업, 월드클래스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현장에 맞는 지원정책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2020년 부산 강소기업 육성사업지원기업 선정 결과
추진배경
ㅇ 지역경제의 선도적 역할을 주도할 강소기업 육성체계를 정비하여     사각지대 없는 성장사다리 연결 및 잠재력 있는 유망기업 발굴
                                                                             

 

[전년도와 달라진 점]

 

 

 

성장사다리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진입 사다리 신설(부산히든테크기업)

정부연계사업 강화를 위한 단계별 매출기준액 조정


ㅇ 육성목표 : 강소기업 201개사 육성(‘22년까지 300개사)

  - (’19년) 158개사 ⇒ (’20년) 201개사 ⇒ (’21년) 250개사 ⇒(‘22년) 300개사
    - ‘20년 43개사 선정

기업군

현황(‘19)

‘20

‘22

지원내용

비고

합 계

158

 

201

300

 

 

43

월드클래스+

25

-

25

27

R&D 최대 3,000백만원(4)

(중기부)

’20년 미추진

지역대표중견기업

1

-

1

5

R&D 최대 1,100백만원(2)

글로벌 강소기업

63

14

77

109

해외마케팅 최대 200백만원

 

부산형 히든챔피언

38

6

44

56

R&D 최대 150백만원

 

Pre-챔프기업

31

15

46

79

R&D 최대 7.5백만원

 

부산히든테크(*신규)

-

8

8

24

기업지원 40백만원

 

                                                                             

2020년 부산형 강소기업 성장사다리

                                                              


 

  사업내용

                                                                                                 (단위:개사, 누계)              

사업명

Pre-스타(히든테크)

지역스타(Pre-챔프)기업

부산형 히든챔피언

글로벌 강소기업

개요

(주관)

부산시

중기부

부산시

중기부

(예산)

300백만원(300)

부산형히든챔피언

육성사업 내 지원

1,484백만원

(890, 594)

1,700백만원(시비)

1,150백만원

(750, 400)

선정개수

8개사

15개사

6개사

14개사

신청기준

(규모)

30~150억원

3년 평균 50~400억원

300억원~

전년도 100~1,000억원

(R&D)

1% 이상

1% 이상

1% 이상

-

(수출)

-

10% 이상

-

500만불 이상

지원내용

()

-

(1차년도) 기업성장전략 및
R&D기획(40백만원)

(2차년도) R&D(300백만원),
패키지지원(20백만원)

-

해외마케팅(2억원/4)

()

(1~2차년도) 시제품제작,
지식재산(40백만원)

(3차년도) 마케팅(3백만원)

(1~2차년도) 기술개발 및
마케팅 패키지(90백만원)

(3차년도) 마케팅(3백만원)

맞춤형 패키지지원

(20백만원)

지원방식

차등지원

(1차년도) 균등지원
(2차년도) 공고 후 경쟁

(1~2차년도)차등지원

(3차년도) 균등지원

(1~4차년도)차등지원

공고 후 경쟁

사업내용

추진경과

ㅇ (1월) 3개 사업별 계획 수립
ㅇ (2월~4월) 접수 및 요건심사 
ㅇ (4월~5월) 발표 및 현장평가 실시, 선정운영위원회 개최
ㅇ (5월) 3개 사업별 선정기업 확정
ㅇ (6월~) 지정서 수여, 사업별 추진
         *POST-BI특화사업 지원기업 선정(5개사) 
  

붙임

 

2020년 부산형 강소기업 육성사업 지정기업(43개사)

                                                                                          

사업 구분

기업명

주요 생산품

글로벌

강소기업

1

()지비라이트

재귀반사필름 (안전반사 소재)

2

()코리아테크

발전설비용 부품

3

()서영

자동차 실린더 헤드, 블록 주조 금형

4

오성전자

RCU(Remote Control Unit), Smart Home Controller

5

주식회사선재하이테크

Display, 반도체 제조산업용 정전기제거장치 및 측정장치 등

6

()씨넷

UHF, VSAT, SAT.TV

7

한영산업()

신발용 부직포, 산업용 필터

8

()신평산업

자동차 오토미션 부품, 엔진 부품, 액슬 부품

9

()대창솔루션

선박엔진 부품, 핵폐기물 저장용기 등

10

()나라코퍼레이션

커플링, 터닝기어, 변속기

11

()유니테크노

자동차 모터용 및 파워트레인용 부품

12

비아이피주식회사

WALL PANEL, CEILING PANEL, UNIT TOILET, UNIT CABIN

13

()코웰메디

덴탈임플란트 시스템, 골이식재, 치과용 기자재

14

극동제연공업()

크라운 프리미엄 부동액, 크라운 브레이크액

부산형
히든챔피언

부산형
히든챔피언기업

1

태웅

자유형 단조품

2

대우제약

일회용 다회용 점안제

3

태광후지킨

반도체 피팅

4

삼영엠티

자동차 ETC / DCT / Stator 부품

5

아즈텍더블유비이

모직물, 특수직물, 의류

6

에쓰엠에쓰

자동차엔진 및 미션용 부품

부산형
히든테크기업

1

마르센

선박용 모니터링 알람 시스템 및 조선기자재

2

지에스티

소프트웨어 개발

3

영창에코

안창

4

인터버드

데이터시트 및 해외 조석 및 기상 정보제공 솔루션

5

아이피아코스메틱

화장품

6

엑소

전기납땜인두기, 글루건

7

씨텍

기상관측장비

8

세기정밀

반도체용 Lead Frame 및 도금설비

부산
지역스타
(Pre-챔프)기업

1

명보기업

사용 자동차용 SEAT

2

진우엔지니어링

밸브디스크&바디, 엔지부품, 산업기계

3

삼부고무공업

PLUG, AD, ASSY RAD MTG류 등

4

아엠비하이드로릭스

굴착기용 유압 릴리프 밸브

5

태정이엔지

3단 일체형 CCTV 지주

6

디에스케이

피스톤 크라운(선박엔진 부분품), 선박 수리 서비스

7

인터오션

챔버,잠수복,호흡기 외

8

소나테크 주식회사

사이드스캔소나, 지층탐사기 등 해양탐사장비

9

세지솔로텍

차량내외장품

10

덕화푸드

명란젓

11

에이치엠이

배전반, 무정전전원장치, 알람경보장치

12

삼보산업

산업밸브용 웜기어박스, 베벨기어박스, 스퍼기어박스

13

모전기공

자동차 부품(EGR, Diff. case ) 유압 부품 등

14

동경철강

보통철선,CHQ소재, SUS선재

15

에이비엠

태양광발전 시스템,금속지붕패널 등











사업내용



 
조현철 기자 johch@e-newsp.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이승재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