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적트라우마 전문상담센터 전국 8개소 운영

  • 등록 2020.03.17 17:33:58
크게보기

임상심리사 등 전문인력 무료 심리상담, 심리교육 등 전문 프로그램 제공


□ 중대산업재해, 동료의 자살, 직장내 괴롭힘, 성희롱‧성폭력 등 산업재해로 인한 정신적 외상(직업적 트라우마)을 겪는 노동자를 위한 전문 심리상담 서비스가 제공된다.
□ 고용노동부(장관 이재갑)와 안전보건공단(이사장 박두용)은 직업적트라우마 전문상담센터(이하 ‘직업트라우마센터’)를 전국 8곳에 설치하고 3월 16일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
   * 직업트라우마센터 8개소: 광주, 대구, 인천, 대전, 경남, 부천, 경기서부, 경기동부 [붙임]

□ 센터에서는 임상심리사 등 심리 및 정신보건 관련 자격*을 갖춘 전문인력이 심리검사․심리상담․심리교육․사후관리 등 전문상담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임상심리사(2급이상)․정신보건임상심리사(2급이상)․기타 정신보건 관련 국가 면허 또는 자격 취득 후 2년 이상 상담 실무경력자
  ㅇ 해당 프로그램은 노동자의 심리검사 실시 후 위험도에 따라 1차 심리상담을 진행하고, 전화 모니터링 등 사후 관리를 받는다.
  ㅇ 상담 완료 후 15일 이내 결과가 제공되며, 필요 시 전문 치료기관과 연계하여 치료받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ㅇ 직업적 트라우마 관련 사건·사고가 발생한 사업장에는 긴급 심리 안정화를 위해 전 직원을 대상으로 집단 트라우마 교육도 제공한다.
□ 상담 신청은 노동자 개인이 직접 신청하거나, 관련 사건이나 사고가 발생한 사업장에서 해당 지역 안전보건공단으로 문의하면 된다.
 ㅇ 모든 상담 내용은 비밀이 보장되며,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 센터 운영시간은 09:00~21:00까지로, 노동자가 퇴근 후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8개 전문 상담센터별 탄력적으로 운영된다.
   * 센터 운영시간 관련 문의: 1588-6497
  ㅇ 심리상담을 원하는 사업장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심리상담사가 사업장으로 직접 찾아가는 이동심리상담센터도 운영할 예정이다.
  ㅇ 심리상담 전용 핫라인도 마련해 1588-6497 또는 홈페이지    (www.otccmind.com)를 통해서도 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 한편, 안전보건공단은 세월호 참사 이후 노동자뿐만 아니라 전국민의 트라우마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대구근로자건강센터에 직업트라우마센터를 두고 지난 2년간 시범 운영했다. 
  ㅇ 대구근로자건강센터에서는 ’17년 삼성중공업 크레인 전도사고를 목격‧경험한 노동자의 트라우마 예방 심리상담을 시작으로 2년 간 총 844명(`18년 419명 / `19년 425명)을 지원하였다.
□ 안전보건공단 박두용 이사장은“직업트라우마센터가 직업적 트라우마를 겪는 노동자의 일터 조기 복귀 및 정신질환에 예방에 기여하길 기대한다”라며, “사업장 및 노동자의 적극적인 이용”을 당부했다. (끝)

 [ 참고자료 ]

ㅇ 직업적 트라우마란 사업장에서 발생한 중대재해를 포함한 산업재해, 업무와 관련하여 발생한 사고 혹은 이에 상응하는 사고를 직․간접적으로 목격한 후 발생하는 심리적 외상(trauma)을 말한다.

  - 직업적 트라우마와 관련된 정신질환으로는 대표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비롯해 급성 스트레스 반응, 단기 정신병, 우울증, 전환장애, 알코올 남용 등이 있다. 

   *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장기간에 걸쳐 사회적, 직업적, 혹은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장해를 초래하게 되는 심리적 반응

ㅇ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관련 산업재해 현황

 

   * 정신질환 산재현황(2014~2018)                                                                                        (단위: )                                                               

구 분

`14

`15

`16

`17

`18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9

14

25

21

36


                        

붙임 1

 

전국 직업트라우마센터 지역별 현황

     전국 직업트라우마센터 현황
                                                                       

연번

센터명

소재지

대표번호

해당지역

1

인천직업트라우마센터

인천광역시 남동구

1588-6497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

2

부천직업트라우마센터

경기도 부천시

경기 부천·김포·의정부동두천구리남양주양주포천고양파주시, 경기 연천군 및 강원 철원군

3

경기서부직업트라우마센터

경기도 시흥시

경기 광명안양과천의왕군포안산·시흥·수원용인화성평택오산안성시

4

경기동부직업트라우마센터

경기도 성남시

경기 성남하남이천광주여주시, 경기 양평군 및 강원도 전역(철원군 제외)

5

대전직업트라우마센터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권역 전역

6

대구직업트라우마센터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구광역시·경북권역 전역

7

광주직업트라우마센터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주광역시·전라권역 전역·제주특별자치도

8

경남직업트라우마센터

경남 창원시 성산구

부산광역시·울산광역시·경남권역 전역

                                                                               

붙임2

 

코로나19 예방수칙

         















조현철 기자 johch@e-newsp.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이승재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