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가 한강 수온을 활용한 청정 물에너지로 한강 주변의 중심 상업지구를 에너지 저소비 구조로 본격 전환한다.
한국수자원공사는 7월 3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무역센터 수열에너지 사업’ 착공식을 개최했다. 단일 건물 기준 국내 최대규모인 7,000RT*의 수열에너지를 트레이드타워, 코엑스, 아셈타워에 공급한다. 이는 에어컨 약 7,000대**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이다.
* 냉동톤(RT) : Ton of Refrigeration으로 0℃의 물 1톤을 24시간 동안 0℃의 얼음으로 만드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냉난방 용량)으로, 1RT는 약 3.5㎾임.
** 8평 규모 면적 24시간 냉방 기준
수열에너지는 여름철 대기보다 낮고 겨울철에는 높은 수온 특성을 이용해 냉난방에 사용하는 고효율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RE100 산업단지 조성과 에너지 저소비 구조 전환을 앞당길 재생에너지이다. 화재·소음·열섬현상을 유발하는 냉각탑이나 실외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송전선로 갈등 없이 기존 광역 상수도관을 열원으로 활용해 에너지를 빠르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2014년 국내 상업시설 중 최초로 롯데월드타워에 3,000RT 규모의 수열에너지를 적용하고, 에너지 소비가 32.6% 절감되는 효과를 실증했다. 이번 착공을 기점으로 한강 물이 흐르는 강남·송파구 일대에 수열에너지 고속도로 조성을 본격화한다. 현대차 GBC(Global Business Complex),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잠실종합운동장 등 인근 대형건물로 공급을 확대하여 총 18,660RT 규모의 수열에너지를 공급하는 신재생에너지 중심지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에너지 자급률이 낮은 수도권 전력 부하 저감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국 수열에너지의 국내 잠재량은 약 284만RT(10GW)로, 한국수자원공사가 현재까지 개발한 수열에너지는 잠재량의 1.5% 수준인 약 43,000RT이다. 환경부 수열에너지 보급·지원 정책에 힘입어, 이를 2030년까지 28.4만RT로 끌어올린다. 발전설비 용량 기준 1GW 정도로 원전 1기를 대체할 수 있는 규모이다. 또한, 연간 450GWh가량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약 51만 명이 사용할 수 있는 시화조력발전소 발전량에 준하는 수준이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최근 폭염으로 에너지 수요가 정점에 이르면서 도시 에너지 소비 구조 및 탈탄소 전환의 필요성이 높아진 가운데, 수열은 탄소중립과 RE100 산단 조성을 실현하는 현실적 해법이 되고 있다”라며, “이번 무역센터 사업을 기반으로 수열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를 줄이는 지속 가능한 모델을 제시하며, 정부와 함께 재생에너지 고속도로를 조성해 가겠다”라고 말했다.

7월 30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된 행사에서 주요 참석자들이 무역센터 수열에너지 사업 착공을 기념하고 있다.(사진 오른쪽 네 번째부터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 윤진식 한국무역협회 회장)
이날 한국수자원공사는 무역센터 수열에너지 사업 착공식을 개최했다. 단일 건물 기준 국내 최대규모인 7,000RT의 수열에너지를 트레이드타워, 코엑스, 아셈타워에 공급한다.
이번 착공을 기점으로 한강 물이 흐르는 강남·송파구 일대에 수열에너지 사업을 본격화하여 총 18,660RT 규모를 공급하는 신재생에너지 중심지로 전환해 나갈 계획이다.

무역센터 수열 설비를 담당하는 더블유티씨서울(WTC Seoul) 관계자가 히트펌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히트펌프는 열교환기*에서 전달된 열을 끌어다 쓰는 설비로서, 해당 열을 이용해 실내를 냉난방하는 장치이다.
(사진은 냉방용 히트펌프)
한국수자원공사는 광역 상수도관을 열원으로 활용, 열교환기·히트펌프 등 설비와 연계해 수열에너지를 공급할 예정이다.
* 열교환기 : 하천수 등에서 얻은 물의 열을 건물에서 쓸 수 있게 전달해주는 장치

무역센터에 설치된 냉수 공급·환수 배관의 모습.
해당 배관은 히트펌프에서 생성된 냉수를 건물에 순환시키는 설비이다.

수열에너지가 공급되거나 공급 예정인 한강 주변 건물들의 모습.
무역센터의 경우, 하루 최대 12만 5천톤 가량의 물을 건물 내에 공급했다 회수함으로써 수열을 공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