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생물 680종 고해상도 이미지 2,110점 공개

  • 등록 2025.03.06 15:07:56
크게보기

교과서 수록종을 포함한 국내 자생 담수생물의 모습 교육자료로 활용 가능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유호)은 3월 6일부터 담수생물 680종의 고해상도 디지털 이미지 2,110점을 기관 정보포털(fbp.nnibr.re.kr)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공개하는 담수생물 고해상도 이미지에는 초중고 교과서에 수록되어있는 가재, 물방개 등을 비롯해 고유종인 섬진자가사리, 노랑갈퀴 등 교육․연구 분야에서 활용 가치가 높은 이미지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디지털 이미지는 200만 화소 이상의 고해상도(FHD)로 제작됐으며, 3차원 동영상도 함께 제공한다. 


정보 제공 출처(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를 표시하면 상업적 또는 비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관 정보포털 내에 디지털 이미지 메뉴를 신설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한눈에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였다.


류시현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다양성보전연구실장은 “이번 고해상도 이미지 공개로 기관이 소장하고 있는 생물표본의 다양한 모습을 선명한 화질로 제공할 수 있게 됐다”라며, “우리 기관의 디지털 이미지가 국내의 여러 교육․연구 기관에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전문용어

생물표본: 생물다양성의 기본단위인 생물종을 파악하는 근간으로 특정 시공간에 존재했던 생물의 형태, 유전적 특징, 분포 정보 등을 영구적으로 기록하여 보존할 수 있게 건조, 액침, 슬라이드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되는 실물 증거로 생물에 관한 모든 연구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단, 체색 등 일부 형질은 시간의 경과나 보관 상태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기도 한다.


디지털 이미지: 다중초점, 컴퓨터 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장치, 3D 스캐너 등의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생물표본 실물을 고화질의 2D 또는 3D 이미지 정보로 변환한 것으로 보존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실물의 물리적 정보 손실을 예방하고 체내․외 골격구조 등 훼손 없는 해부학적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해상도: 화면에서 이미지의 정밀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화면을 구성하는 가로, 세로의 픽셀 개수를 기준으로 720×480 (SD: Standard Definition, 35만 화소), 1920×1080 (FHD: Full High-Definition, 200만 화소) 등으로 표현한다. 화면의 크기가 동일할 경우 화면을 구성하는 픽셀의 개수가 많을수록 해상도가 높으며, 고해상도일수록 선명한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다.


고유종(endemic species): 지리적 격리 등이 원인이 되어 특정 지역에만 서식하는 생물종을 말한다. 우리나라에만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의 경우 국가 고유의 생물 주권 확립의 핵심요소로서 우선적 보호 및 관리 대상이며,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구축함으로써 이들 생물종의 주권국임을 공식적으로 선언할 수 있다.


담수생물 디지털 이미지 공개 서비스 관련 사진

고해상도 담수생물 디지털 이미지 공개


디지털 이미지 공개 서비스 메인 화면



디지털 이미지 공개 서비스 상세 화면

신규 공개 디지털 이미지

초중고 교과서에 수록된 생물종


한국 고유종

백광훈 기자 bkh4814@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이승재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