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경기버스정보앱 개편 추진. 설문조사 등 진행

  • 등록 2024.06.17 08:35:08
크게보기

○ 이용자 의견 반영을 통한 앱 접근성 개선
○ 승하차벨, 과거도착정보제공 위주의 기능성 앱으로 전환 → 민간앱과 차별화


경기도가 승·하차벨, 과거 도착시각정보 제공 서비스 등의 기능을 갖춘 ‘경기버스정보앱’을 새롭게 개편하기 위해 7월까지 이용자 설문조사 등을 진행한다.
2010년 서비스를 시작한 경기버스정보앱은 올해 1분기 기준 월평균 약 786만 건의 이용실적을 유지하고 있다. 
버스 무정차 방지 및 이용자 편의 증진을 위한 ‘승·하차벨’은 2022년 월평균 3만 7천709건에서 2023년 월 6만 8천533건, 2024년 월평균(4월 말까지 기준) 8만 1천956건 등 이용자가 늘고 있다. 
‘과거 버스도착시각 정보 서비스는’ 배차간격이 긴 노선이 민간 앱에서 ‘차고지 대기’로 안내돼 실제 도착시간을 알기 어려운 점을 고려해 정류소 별 과거 버스도착시각을 안내해 이용자들의 편의를 높인 것이다.
이번 앱 개편은 앞서 설명한 두 가지 기능 외에도 15년간 각종 기능이 추가돼 이용자들이 직관적으로 이용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많은 데 따른 것으로 민간 앱과 차별화를 이루면서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다. 
도는 7월까지 앱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조사기관을 통해 심층면접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조사 결과를 반영한 앱 서비스 개편 방안을 올해 4분기까지 실제 적용할 예정이다. 
김상수 경기도 교통국장은 “이번 개선을 통해 경기버스정보앱 사용자들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높이고, 대중교통 이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참고 1

 승하차벨 서비스


 추진배경

 

 ○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에서 버스 운수종사자는 정류소에 승객이 있으면 무정차 운행을 금지하고 있음에도 무정차 민원*은 지속 발생. 버스 무정차 운행 행태개선 및 버스 이용자 편의 증진을 위해 도입 (버스관련 민원의 40%, ’20년 기준)

 서비스 개요

 

 ○ 버스 무정차 방지 및 이용자 편의 증진을 위한 승·하차 서비스 제공 
   

 승차승객이 있음을 운전자에게 알려 무정차 예방
   

 무정차 통과 시 앱으로 간편신고 → 관할시군 자동 통보
   

 하차정류소 도착 전 운전자/이용자에게 알려 편의성 향상

승차벨 (’21.3~)

무정차신고 (’21.3~)

하차벨(’23.10~)




  
                    - (앱 승하차 예약) 운전자(승객대기/하차승객 정보) / 이용자(도착정보) 알림


 추진성과

 

  서비스 개시 이후 승차벨 이용자 지속 증가

 

  - ’22년 37,709건/월 → ’23년 68,533건/월(81%↑) → ’24년 81,956건/월(19%↑)
   · (’24년 월평균 이용실적) 승차벨 81,956건, 무정차신고(앱) 180건, 하차벨 3,337건

참고 2

과거 버스도착시각 정보 서비스


 추진배경

 

 ○ 배차간격 긴 노선은 대부분의 시간 동안 BIT와 앱에서 ‘차고지대기(=도착예정 정보없음)’로 안내되어 이용자 불편(장시간 대기 등) 존재
 ○ 버스 이용자의 지속적인 정류소별 버스시간표 게제·제공 요구에도 불구하고 BMS(인가사항)에는 기·종점 첫·막차 시간과 배차간격만을 제공

서비스 개요

 

 ○ 정류소별 과거 버스도착시각 제공 
   - 이용자 스스로 도착시각 예측하고 통행전략을 수립(버스이용)토록 유도



 ○ (대상) 실시간 버스정보 제공 중인 경기도 버스 운행 정류소
 ○ (방법) ①‘과거 버스도착시각’ 버튼 누르면 과거 운행기록 팝업 안내 ②‘정류소 도착예정정보’ 부재시 자동안내

 

팝업안내

 

자동안내



 기대효과

 

 ○ 배차간격 긴 노선 이용자들의 편의 향상 및 도착시간 안내 신뢰도 향상



























백종구 기자 bjg4803@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이승재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