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문화재청, 광화문 앞 일제강점기 전차철로 확인, 발굴 현장 공개

  • 등록 2023.03.07 08:45:20
크게보기

- 3월 16일~18일, 광화문 월대 및 주변부 매장문화재 발굴 현장에 대한 시민의견 청취
- 일제강점기 시대, 광화문 월대 동·서편에서 만나 세종로로 향하는 전차 철로 발견
- 광화문광장 재조성 발굴조사에 이어 조선시대 육조거리 관청 관련 유구 추가 확인
- 3월 8일(수) 오후 14시, 서울시 공공서비스에서 1회 30명 총 270명 선착순 모집


□ 서울시-문화재청은 광화문 월대 및 주변부 발굴조사 현장을 시민들에게 3월 16일~18일 3일간 공개한다고 밝혔다. 발굴된 매장문화재에 관심을 가진 시민의 의견을 직접 듣고 유구 보존과 정비 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 두 기관은 공동으로 ’22년 9월부터 매장문화재 보호를 위한 발굴조사 진행과 광화문 역사광장 조성사업을 위한 월대 복원 및 주변부 정비를 병행하고 있다. ※ 월대 : 궁궐 등 주요 건물 앞에 설치하는 넓은 기단 형식의 대
□ 조사 규모는 경복궁 광화문 전면부 6,107㎡를 대상으로 하며 문화재청은 광화문 월대부(1,620㎡)를 맡았고 서울시는 월대 주변부(4,487㎡)를 발굴조사 한다. 

□ 이번 발굴조사의 특징이라면 일제강점기 시대에 설치한 전차 철로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전차 철로는 1917년부터 1966년까지 존재하였던 것으로 광화문 월대의 동·서편에서 ‘와이(Y)’자형으로 만나 세종로 방향으로 연결된다. 즉 안국동의 전차 철로와 효자동의 전차 철로가 세종로 방향으로 이어지는 부분이다. 
   ○ 전차 철로는 2줄씩 위치하며 조성방식은 하부에 갑석을 사용한 기초를 놓고 상부에 콘크리트 기초를 조성했다. 침목은 70~80cm 간격을 두고 그 위에 철로를 설치했다.

□ 또한 전차 철로 아래 70cm 깊이에서는 광화문 서편에 있는 삼군부의 외 행랑터와 의정부의 외 행랑터로 추정되는 건물지를 발굴했다. 외행랑과 관련한 유구는 잡석 줄기초와 방형의 적심 시설(대형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다짐돌)로 모두 21기이다. 
  ○ 전차 철로 아래 약 70cm 깊이의 삼군부 행랑의 기초시설을 발굴하면서 일제가 월대와 삼군부 등 주요시설물을 훼손하고 그 위에 철로를 깔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1966년 세종로 지하도가 생기면서 전차 철로도 사라진다.

□ 서울시는 광화문광장 재조성에 앞서 ’20년 10월~’21년 6월 광화문광장 전역의 발굴조사를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육조거리와 조선의 주요 관청 터를 확인했으며, 그동안 사료를 통해 추정만 했던 삼군부와 사헌부 등의 위치와 건물 기초를 실제 유구를 통해 처음 확인하는 성과가 있었다.
  ○ 광화문 월대는 2007년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발굴조사에서 당시 길이 8.3m, 너비 29.7m의 고종년간 유구가 일부 확인된 바 있다. 이번 발굴조사는 국립서울문화재연구소에서 2022년부터 조사를 진행 중이며 월대 전체 규모는 현재 길이 48.7m, 너비 29.7m이고 중앙의 어도 시설 등의 구조도 드러났다.
  ○ 월대를 기준으로 동측은 조선 시대 의정부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되는 행랑 건물지이다. 규모는 남북방향 7칸, 동서 방향 3칸이다. 
  ○ 월대 서측은 행랑 기초시설 및 배수로 등 조선 시대 삼군부와 관련된 유구를 발굴했다. 건물지의 규모는 현재까지 남북방향이 11칸, 동서 방향은 8칸이며 확인된 유구와 광화문 외제관아 실측도 로 판단할 때 남북방향 15칸, 동·서 방향 24칸이다. 

<3. 16.∼18. 사전 신청 현장 공개 총 270명, 4월 발굴과정‧결과 영상 공개>
□ 발굴 조사에 관심이 있는 시민이라면 이번 ‘광화문 월대 및 주변부 발굴조사 해설 프로그램’을 놓치지 말길 바란다. 오는 16일(목)~18일(토) 3일 동안 진행하고 하루 3회(총 9회)씩 회당 30명 규모로 운영한다. 
  ○ 참여를 원하는 시민은 서울시 공공서비스예약(https://yeyak.seoul.go.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고 8일(수) 오후 14시부터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 4월에는 영상도 제작할 계획이다. 광화문과 주변 역사 문화재에 대한 설명과 문헌자료, 발굴 유구의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 유구 보존에 대한 시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담아 온라인에 공유할 예정이다.

붙임 1

 

근대 및 조선후기 유구 현황


조사 중 전경



월대 동측지역 조사 중 전경1()

월대 동측지역 조사 중 전경2()

 

전차 철로



전차 철로 전경()

북측 전차 철로 전경()



차 철로 하부 삼군부 행랑 유구 전경1()

차 철로 하부 삼군부 행랑 유구 전경2()

           

      ㅇ 삼군부 행랑



남북 행랑 기초 전경

동서 행랑 기초 전경



삼군부 행랑 잡석줄기초 세부

삼군부 행랑 방형적심 세부

             
배수로



남북 행랑 기초 및 배수로 전경

배수로 북측 전경



배수로 남측 전경

배수로 입면


붙임 2

 

매장문화재 발굴 현장 위치도
















백종구 기자 bjg4803@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이승재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