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소외계층 도외시한 은행 점포 폐쇄 증가 추세!

  • 등록 2022.02.04 08:59:31
크게보기

6년여간 폐쇄 은행 점포수 1,507개! 수도권에 60% 집중!


국내 은행 점포 폐쇄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수도권 점포 폐쇄가 전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회 강민국 의원실(경남 진주시을)에서 금융감독원에 자료요청을 통해 받은 답변자료인 『국내 은행 점포 폐쇄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6년~2020년까지 폐쇄된 국내 은행 점포는 총 1,275개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6년 273개⇨2017년 420개⇨2018년 115개⇨2019년 135개⇨2020년 332개로 최근 3년간 매년 증가하고 추세이며, 2021년 10월까지 폐쇄된 점포 수만도 238개에 달한다. 
(※ 2016년~2021년 10월까지 총 1,507개 점포 폐쇄)

지난 5년간 폐쇄된 총 1,275개 은행 점포들을 소유 형태별로 살펴보면, 자가 210개(16.5%), 임대 1,065개(83.5%)로 임대 은행 점포의 폐쇄가 절대적으로 많았다. 
(※ 2021년 폐쇄 은행 점포 238개 중 자가 39개(16.4%), 임대 199개(83.6%))

은행별 점포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①하나은행이 304개(23.8%)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②국민은행 225개(17.6%), ③우리은행 165개(12.9%), ④신한은행 136개(10.7%), ⑤씨티은행 91개(7.1%) 등의 순이다.

시도별 국내 은행 점포 폐쇄 현황을 살펴보면, ①서울이 515개(40.4%)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②경기도 245개(19.2%), ③부산 98개(7.7%), ④대구 74개(5.8%), ⑤경남 54개(4.2%) 등의 순으로 수도권에서 폐쇄된 은행 점포수가 전체의 59.6%에 달하였다. 즉 지난 5년간 폐쇄된 국내 은행 10개 점포 중 6개는 수도권에서 발생하였다는 것이다.

금융감독원은 국내 은행들의 점포 폐쇄가 증가하고 있는 사유에 대한 질문에 「인터넷․모바일뱅킹 등 비대면거래 증가, 중복점포 정리 확대 등이 점포 폐쇄의 주된 사유」라고 답변하고 있다.

이에 대해 강민국 의원은 “아무리 점포 폐쇄가 은행의 경영 자율성이라고는 하나 은행이 적자도 아닌데 단순히 인터넷․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은행 거래증가를 이유로 점포를 폐쇄한다는 것은 은행이 가진 공공성은 배제한 채, 스마트폰과 자동현금인출기(ATM) 사용이 불편한 금융소외계층이나 노약자의 금융 서비스 권리를 무시한 처사이다”고 비판했다.

이에 강민국 의원은 “은행들이 점포 폐쇄 등의 현황을 반기별로 대외 발표하여 금융 소비자들에게 인지케 하고, 금융 당국의 ‘은행 지역재투자 평가’ 시, 점포 감소에 대한 감점 부과 폭을 확대하여 불이익을 부여하도록 강화시켜 금융 접근성을 확보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참고 : 지역재투자 평가제도 매뉴얼평가항목’ 4. 인프라 투자(10)

인구 천명당 점포 수 (광역시 0.2~0.5 / 그 밖의 시·군 지역 0.2~1.0)

지역재투자 평가결과는 결과공시, 경영실태평가 반영, 시도금고·법원공탁금 보관은행 유치평가에 반영


< 첨부 : 국내 은행 점포 폐쇄 연도별은행별지역별 현황 >


2022. 2. 3.


국회의원 강 민 국



 □ 첨부 : 국내 은행 점포 폐쇄 연도별은행별지역별 현황

 

        ◯ 201610월까지 연도별 국내 은행 점포 폐쇄 현황

                                                                                                                                      (단위 :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소계

20211~10

합계

자가

44

77

16

22

51

210

39

247

임대

229

343

99

113

281

1,065

199

1,260

합계

273

420

115

135

332

1,275

238

1,507

     자가 : 폐쇄일 기준 은행이 소유하고 있던 점포 / 임대 : 폐쇄일 기준 은행이 임대하고 있던 점포
2016~2020년 국내 은행별 점포 폐쇄 현황 (5년 합계)
                                                                                                 (단위 : , %)

순번

은행명

폐쇄 점포 수

비중

1

하나

합계

304

23.8

2

국민

합계

225

17.6

3

우리

합계

165

12.9

4

신한

합계

136

10.7

5

씨티

합계

91

7.1

6

농협

합계

79

6.2

7

SC

합계

66

5.2

8

부산

합계

50

3.9

9

기업

합계

42

3.3

10

대구

합계

34

2.7

11

경남

합계

31

2.4

12

전북

합계

18

1.4

13

산업

합계

14

1.1

14

광주

합계

9

0.7

15

제주

합계

6

0.5

16

수협

합계

5

0.4

합계

1,275

100



2016~2020년까지 시도별 국내 은행 점포 폐쇄 현황 (5년 합계)
                                                                                                                                           (단위 : , %)

순번

지역

폐쇄 점포 수

비중

1

서울

515

40.4

2

경기

245

19.2

3

부산

98

7.7

4

대구

74

5.8

5

경남

54

4.2

6

인천

51

4

7

대전

42

3.3

8

경북

37

2.9

9

전북

29

2.3

10

광주

26

2

11

충남

25

2

12

울산

22

1.7

13

충북

18

1.4

14

강원

13

1

15

전남

13

1

16

제주

9

0.7

17

세종

4

0.3

합계

1,275

100


















백종구 기자 bjg4803@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이승재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