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집배원.택배기사 위한.무더위 쉼터.조성.더운데 잠시 쉬어가세요”

  • 등록 2019.06.30 20:56:02
크게보기

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이동노동자 무더위 쉼터 운영키로
도 청사, 직속기관, 사업소, 소방서·119안전센터, 공공기관 등 241개소에 설치
각 기관 휴게실이나 로비 등 활용해 조성하기로
냉방기 가동, 생수 등 비치, 가능한 기관의 경우 샤워시설도 제공
지난 5월, 북부청사 무인택배함 설치에 이어 남부청사에서도 폭염기간 동안 1층 안내데스크에서 택배를 대신 받아주는 대리수령제도 등도 추진할 계획


경기도가 집배원, 택배기사 등 이동노동자들을 위한 폭염 대책의 하나로 경기도청사와 공공기관에 무더위 쉼터를 조성한다. 
도는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세 달 동안 경기도청사와 의정부 북부청사, 직속기관과 사업소, 소방서·119안전센터, 道 산하 공공기관 등 모두 241개 청사에 이동노동자를 위한 무더위 쉼터를 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이용 대상은 집배원, 택배기사, 퀵서비스, 대리기사 등 무더위에도 계속해서 이동을 해야 하는 이동노동자들이다. 
도는 각 기관 휴게실과 로비 등을 활용해 간이 이동노동자 무더위 쉼터를 마련하고 냉방기 가동과 생수 등을 비치하도록 했다. 또, 가능한 기관의 경우 샤워시설도 운영하도록 할 방침이다. 무더위 쉼터는 31개 시·군 곳곳에 위치하고 있어 이동근로자들의 일정에 맞춰 편리한 시간에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이밖에도 도는 무더위 쉼터 운영기간 동안 경기도청사 1층 안내데스크에서 택배물품을 대신 받아주는 ‘택배물품 대리수취제’를 직원들의 의견을 수렴 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앞서 도는 이동노동자들의 편의를 위해 지난 5월 북부청사 무인택배함을 설치한 바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최근 5년 동안 경기도에서 발생한 열사병과 열실신 등 온열질환자가 1천7백여 명에 달한다”면서 “이동노동자는 폭염에 가장 취약한 계층으로 건강을 위해 잠시 쉴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라고 쉼터 조성 배경을 설명했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 4월 이동노동자의 노동환경 개선과 복지증진에 기여하기 위해 경기도 이동노동자 쉼터 설치 및 운영 조례를 제정한 바 있다.

[참고자료1]

이동노동자 무더위쉼터 현황


연번

시 군

개소수

주요기관

 

합계

241

 

1

수원

32

경기도청사(남부), 인재개발원, 소방재난본부, 수원소방서

2

고양

14

선인장다육식물연구소, 킨텍스, 고양소방서, 일산소방서

3

용인

13

축산진흥센터, 용인소방서

4

성남

12

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 성남소방서, 분당소방서

5

부천

13

경기콘텐츠진흥원, 경기도일자리재단, 부천소방서

6

화성

9

농업기술원, 화성소방서

7

안산

13

해양수산자원연구소(수산기술센터), 경기테크노파크, 안산소방서

8

남양주

10

동물위생시험소(북부), 축령산자연휴양림, 남양주소방서

9

안양

6

안양소방서

10

평택

15

황해경제자유구역청, 야생동물구조센터, 평택소방서

11

시흥

5

광역환경관리사업소, 시흥소방서

12

파주

9

파주소방서

13

의정부

6

경기도청사(북부), 보건환경연구원(북부지원), 의정부소방서

14

김포

7

김포소방서

15

광주

8

수자원본부, 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광주소방서

16

광명

4

광명소방서

17

군포

2

군포소방서

18

하남

3

하남소방서

19

오산

4

물향기수목원, 오산소방서

20

양주

8

북부동물위생시험소, 양주소방서

21

이천

5

동물위생시험소(동부), 한국도자재단, 이천소방서

22

구리

2

구리소방서

23

안성

6

동물위생시험소(남부), 안성소방서

24

포천

8

대진테크노파크, 포천소방서

25

의왕

3

의왕소방서

26

양평

4

해양수산자원연구소, 양평소방서

27

여주

4

종자관리소(여주분소), 여주소방서

28

동두천

2

동두천소방서

29

가평

5

산림환경연구소, 강씨봉자연휴양림, 잣향기푸른숲, 가평소방서

30

과천

2

과천소방서

31

연천

5

종자관리소(연천분소), 농업기술원(소득자원연구소), 연천소방서

관외

서울, 세종

2

중앙협력본부(여의도 신동해빌딩), 지방자치회관(세종)

119안전센터 포함(180개소)












김민주 기자 alswn4502@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이승재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