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권경업)은 철새 이동연구의 하나로 수행 중인 가락지 부착조사를 통해 ‘검은딱새’의 이동경로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 가락지 부착조사 : 조류를 포획하여 가락지를 부착하고 해당 조류의 데이터(종명, 가락지번호, 연령, 성별, 포획일, 포획장소 등)를 기록한 후, 다른 지역에서 관찰될 경우 이동경로를 확인하는 보편적인 철새 연구 방법
○ 이번에 이동경로가 확인된 검은딱새는 지난해 4월 6일 국립공원관리공단 연구진이 흑산도에서 가락지를 부착하여 방사한 3년 이상의 수컷 어른새로 올해 4월 5일 약 870km 떨어진 일본 교토의 교탄고시(市)에서 현지 민간 조류 전문가에게 발견되었다.
○ 일본 민간 조류 연구원인 마코토 타카하시(Makoto Takahashi)씨가 검은딱새를 처음으로 발견했으며, 이후 일본 야마시나조류연구소는 올해 4월 19일 국립공원관리공단 조류연구센터에 발견 소식을 전했다.
○ 검은딱새의 이번 이동경로 확인은 동남아나 중국 남부에서 월동하는 이 새가 번식을 위해 일본으로 북상할 때 우리나라 남부지역을 경유해 이동한다는 것과 검은딱새의 수명이 최소 4년 이상임을 확인한 중요한 결과다.
□ 검은딱새(Saxicola stejnegeri)는 봄, 가을철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나그네새이자, 한반도 전역에서 번식하는 여름철새다.
○ 유라시아대륙 중부와 동부에 넓게 분포하며, 인도를 비롯해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 등에서 겨울을 보낸다.
○ 어른새의 평균 크기는 약 13cm이며, 주로 곤충, 거미 등을 먹는다.
□ 한편, 국립공원관리공단 조류연구센터는 2005년부터 꾸준히 가락지부착조사를 수행하여 그동안 노랑턱멧새(한국→중국), 검은지빠귀(한국→일본), 바다직박구리(한국→대만) 등의 이동경로를 밝혔다.
○ 또한 조류연구센터 연구진은 해외 연구소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쇠개개비, 알락꼬리쥐발귀, 개개비, 숲새 등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 및 태안해안국립공원에서 다시 발견하면서 현재까지 총 19종에 이르는 철새들의 이동경로를 확인했다.
□ 박종길 국립공원관리공단 조류연구센터장은 “가락지 부착조사를 통해 다양한 철새들의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다”라며, “다도해 및 한려해상국립공원이 철새 중간기착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이곳의 서식지 관리와 보호를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검은딱새 이동경로 확인 현황.
2. 가락지 부착 철새 이동경로 확인 사례 현황 .
3. 관련사진.
4. 가락지부착조사 및 관찰을 통한 이동경로 확인 결과.
5. 질의응답. 끝.
※ 관련 영상 및 사진은 환경부 웹하드 게재
붙임 1 검은딱새의 이동경로 확인 현황

붙임 2 가락지 부착 철새 이동경로 확인 사례
□ 바다직박구리 : 신안 홍도 → 대만 화롄 타이루거국립공원
신안 흑산도 → 대만 신베이시
□ 검은지빠귀 : 신안 홍도 → 일본 시즈오카현
□ 노랑턱멧새 : 신안 흑산도 → 중국 헤이루장성
□ 검은딱새 : 신안 흑산도 → 일본 교토 교탄고시
붙임 3 관련사진
붙임 4 가락지부착조사 및 관찰을 통한 이동경로 확인 결과
□ 조류연구센터 총 19종 29개체 이동경로 확인
- 국내 → 국외: 5종 6개체
- 국외 → 국내: 14종 23개체
붙임 4 질의응답
1. 가락지부착조사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ㅇ 가락지부착조사는 포획, 가락지 부착, 방사, 그리고 재포획의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조류그물이나 트랩 등을 이용하여 조류를 포획한 후 조류의 다리에 가락지를 부착하여 자연으로 보내주고 이후 다시 재포획 혹은 재발견이 된다면 해당 개체의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ㅇ 이때 가락지의 고유번호와 종명, 가락지를 부착한 장소와 날짜 등을 야장에 반드시 기록해야만 검은딱새처럼 가락지부착 당시의 정보와 함께 발견된 장소에서의 정보를 확인하여 대상종이 어디에서 어디로 이동했지, 얼마만큼의 기간 동안 생존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ㅇ 조류연구센터는 다도해해상, 태안해안, 한려해상국립공원 일대에서 2005년부터 현재까지 총 252종 77,500여 개체(2018년 5월 기준)를 대상으로 가락지를 부착하였습니다.
2. 가락지는 어떻게 생겼나요?
ㅇ 소형 조류는 가벼운 알루미늄, 중형 조류는 강도가 높고 부식에 강한 Incoloy(니켈합금)으로 제작됩니다.
ㅇ 대부분의 가락지는 가락지부착조사를 관장하는 국가 혹은 기관명과 고유번호가 표기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락지의 크기(010~150), 한국 우체국 사서함 번호(K.P.O. BOX 1184 KOREA), 각 가락지의 고유번호(00001~99999)가 가락지안에 표기되어 있습니다.(예: K.P.O. BOX 1184 KOREA 010-12345).
3. 가락지를 부착한 새를 보았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ㅇ 우리나라는 현재 국립생물자원관에서 국내 가락지부착 조류에 대한 정보를 관리 및 총괄하고 있습니다. 가락지를 부착한 조류를 발견했을 경우, 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에 연락하거나 국립공원 조류연구센터에 연락하시면 자세히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ㅇ 이때, 가락지 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사진과 해당 개체의 모습이 담긴 사진을 함께 보내주신다면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며, 가락지번호, 종명 외에도 해당 개체를 발견한 장소와 날짜, 당시 조류의 상태 등과 발견자의 이름과 연락처를 남겨주시면 부족한 정보를 확인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4. 이번 재관찰 결과는 어떠한 의미가 있나요?
ㅇ 검은딱새는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 등지에서 월동하며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일본 중국 북부, 러시아 등 넓은 지역에서 번식합니다.
ㅇ 따라서 이번 재관찰 결과는 동남아시아나 중국 남부에서 월동한 검은딱새가 번식을 위해 일본으로 북상하는 개체군은 우리나라 남부지역을 경유해 이동한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 중요한 결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