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권경업)은 봄을 알리는 봄꽃 개화소식과 함께 국립공원별 개화시기, 장소 등 봄철 국립공원 탐방정보를 공개했다.
□ 지리산에서는 2월 15일 복수초가 꽃봉오리를 터트려 봄소식을 가장 먼저 알렸다.
○ 올해는 한파가 지속되면서 지리산의 봄꽃 개화가 지난해보다 다소 늦었다. 지난해 지리산 복수초의 첫 개화는 2월 1일이었다.
○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홍도에서는 복수초보다 먼저 봄소식을 알린다는 큰개불알꽃의 개화가 2월 17일에 관찰되었다. 한려해상국립공원에도 매화 중 가장 먼저 핀다는 춘당매와 별꽃, 냉이꽃 등이 2월 18일부터 개화했다.
○ 내륙지방인 무등산과 변산반도, 소백산에서도 2월 19일 기준으로 복수초, 노루귀, 등의 야생화가 꽃망울을 터뜨렸다.
□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국립공원의 본격적인 봄꽃 개화는 3월 5일(경칩) 이후에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3월 초 지리산을 시작으로 노란꽃의 산수유와 생강나무가 개화를 시작하여 4월에는 전국의 국립공원이 노란빛으로 물들 전망이다.
○ 3월 중순부터는 치악산, 오대산, 태백산, 설악산 등 강원권 국립공원의 탐방로 및 자연관찰로 일대에서도 노루귀, 변산바람꽃, 제비꽃 등을 감상할 수 있다.
□ 정용상 국립공원관리공단 홍보실장은 “올해 한파로 인해 봄꽃 소식이 지난해보다 약 10일 정도 늦지만 각 공원별 개화시기에 맞춰 국립공원을 방문하면 완연한 봄기운을 만끽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붙임 2 관련사진

지리산국립공원 복수초(2.15.)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홍도 동백꽃(2.17.)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홍도 큰개불알꽃(2.17.)

변산반도국립공원 노루귀(2.19.)

변산반도국립공원 변산바람꽃(2.19.)

내장산국립공원 붉은대극(2.20.)

붙임 3 질의응답
1. 식물의 개화와 절정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 기상청에서는 기상관측소 내 표준 관측목을 기준으로 작은가지에 많은 꽃이 피는 다화성 식물의 경우 한 개체에 3송이 이상이 피었을 때 개화라고 합니다.
○ 절정의 시기 또한 표준 관측목을 기준으로 한 개체에서 80% 이상 꽃이 피었을 경우를 절정 시기라고 칭합니다.
○ 국립공원에서의 개화 시기는 기상청 발표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 대부분의 국립공원의 해발고도가 높고 계곡의 영향으로 기상관측소의 기온과 상이하기 때문입니다.
○ 국립공원도 벚나무, 산수유나무 등 다화성 식물의 경우 한 개체에 3송이 이상 피었을 경우 개화로 판단하며, 한 개체에 하나의 꽃이 피는 단화성 식물과 초본류인 야생화의 경우 그 개체 중 가장 빨리 핀 시기를 개화로 판단합니다.
○ 절정의 판단도 벚나무와 같은 다화성 식물의 경우는 기상청 기준과 같으며(한 개체의 80%이상 개화), 단화성 식물과 초본류인 야생화의 경우 군락을 이루거나 해당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개체 중 80% 이상이 꽃을 피웠을 경우 절정으로 칭합니다.
2. 국립공원에서 야생화 등 식물을 꺾거나 채취하면 어떻게 되나요?
○ 국립공원에서는 작은 식물 하나도 소중한 공원자원으로 보존해야 합니다. 야생화 등 식물을 불법으로 채취하는 행위는 자연공원법에 따른 처벌 대상임을 알려드립니다.
○ 특히 봄철 국립공원에서 볼 수 있는 야생화는 작고 소박한 꽃들이 대부분입니다. 야생화를 감상할 때는 손으로 만지지 않으며, 사진을 찍기 위해 정규탐방로를 벗어나 출입이 금지된 곳에는 들어가지 않아야 합니다.
3. 국립공원 내 꽃피는 시기와 장소를 알려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 겨울이 가고 봄을 맞아 많은 탐방객들이 전국 국립공원으로 봄 나들이를 많이 가고 있습니다.
○ 대부분의 탐방객들이 정상을 목표로 산행을 하기 때문에 산정상부의 탐방압력이 가중되고 훼손 우려가 높은 실정입니다.
○ 따라서 정상정복이라는 단순한 탐방행태에서 탈피할 수 있도록 저지대 위주의 수평탐방을 유도하고, 모진 겨울을 이겨내고 피어난 야생화 등 자연이 주는 감동을 전하기 위해서 국립공원 봄꽃 소식을 소개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