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방공공부문 일자리 우수사례 발표대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광주청년드림(Dream) 사업’이 2018년 지원을 시작한다.
○ 광주청년 드림사업은 청년의 장기 미취업 상태를 방지하고 취업을 촉진하기 지난해 도입된 청년일자리 디딤돌로 올해 상반기에 참여할 3기 드림팀 300명을 3월13일까지 모집한다.
○ 청년들이 다양한 직무를 제공하기 위해 공공기관, 기업, 사회복지, 사회적경제, 청년활동으로 나눈 5개 유형에서 올해는 청년창업기업형을 추가해 6개 유형으로 운영한다.
○ 광주에 거주하는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미취업 청년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 청년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게 광주청년드림 공식 사이트를 통해 온라인으로 접수하고, 3월12일과 13일 이틀 동안 시청 1층 시민숲에서 직무에 대한 현장 상담을 거쳐 최종 신청서를 제출한다.
○ 현장 상담을 마친 후 청년과 사업장을 매칭해 3월19일부터 4개월 간 직무 현장에 들어가 일을 경험하게 된다.
○ 특히, 참여한 청년들이 관심과 적성에 맞게 선택할 수 있도록 사업장과 직무 내용 정보를 온라인으로 꾸준히 제공하고, 카카오톡 광주청년드림 플러스친구를 통해 1:1 상담을 진행해 청년들의 궁금증을 수시로 해소한다.
○ 기존의 청년일자리 사업과 달리 참여청년이 기수별로 운영돼 또래 연대감이 컸다는 평가에 따라 올해는 직무 현장 배치 전에 공통교육을 함께 하면서 교류의 장을 키워갈 계획이다.
○ 또, 올해는 지원이 끝난 후에도 안정된 자립으로 이어가는 후속 관리와 지원연계를 확대하고, 청년친화적인 기업정보를 지속적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 이승철 시 청년정책과장은 “지난 한해 운영하면서 참여한 청년들의 의견을 계속 수렴해 보완점을 마련했다”며 “올해는 광주청년드림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 전체에 청년친화적인 노동과 기업문화를 만들어가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신청은 광주청년드림 홈페이지(www.gj3dreams.modoo.at) 신청란에 하고, 문의는 카카오톡 플러스친구(http://pf.kakao.com) ‘광주청년드림’으로 검색해서 하면 된다.
○ 한편, 광주청년 드림사업은 2017년도에 1기·2기 280명의 청년이 일경험에 참여해 참여자 33%가 직무현장에서 정규직으로 채용됐고, 문재인 정부 들어 처음 개최된 ‘지방공공부문 일자리 우수사례 발표대회’에서 대상으로 대통령상을 수상해 울산시, 경상남도, 전주시, 안양시 등 각 지자체가 도입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올해는 일경험에 더해서 청년수당, 교통수당 지원과 함께 금융복지, 주거서비스 지원까지 더해 청년의 자립과 생활안전망을 지원하는 광주형 청년보장으로 확대된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