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의 안전테마는 해빙기 안전취약시설 안전점검」중점
6일 오후 고양 화정역 일원에서 유관기관 및 민간단체 등 50여명 참여
7일 오후 수원역 일원에서 유관기관 및 민간단체 등 100여명 참여
경기도가 6일 오후 4시 고양시 화정역 일원과 7일 오후 3시 수원역 일원에서 경기도 안전관리 민관협력위원 등과 함께 해빙기 재난예방을 위한 ‘안전점검의 날’ 행사를 실시한다.
이날 행사에는 김정훈 경기도안전관리실장, 김영진 경기도 자원봉사센터장, 경기도 안전관리 민관협력위원, 국민안전현장관찰단, 안전모니터봉사단,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수원시와 고양시 관계공무원, 유관기관 및 시민단체, 자원봉사자 등 150여명이 함께 한다.
안전점검의 날’은 매월 4일로 생활 속 안전점검을 실천하는 안전문화 운동의 일환이다. 정부는 삼풍백화점 붕괴 같은 대형사고 예방을 위해 1996년 4월 4일부터 안전점검의 날 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경기도는 매월 시기별·계절별 안전테마를 정하고 관련 취약시설 점검과 대국민 홍보캠페인을 실시하고 있다. 3월의 안전테마는 ‘해빙기 안전취약시설 안전점검’이다.
참가자들은 이날 ‘안전신문고를 통한 주민신고 강화, 안전점검의 날 인식제고 도민 홍보 캠페인’을 주제로 전단지와 홍보물품을 배부했다.
김정훈 경기도안전관리실장은 “매월 4일 안전점검의 날에는 도민 모두가 자발적으로 안전점검에 참여하고, 위험요소 발견시 안전신문고를 통해 즉시 신고해 달라”고 당부했다.
경기도는 올해 안전점검의 날 행사 참여를 전 시군으로 확대하는 한편 매월 ‘안전강조주간’을 지정, 취약시설에 대한 점검을 강화할 계획이다.
참고
사고 유형별 예방을 위한 주의 사항(체크리스트)
① 가정 내 주요 사고 유형
1. 전기(감전사고 등)
전기 작업시 반드시 전원 차단하고, 되도록 전문업체 의뢰
플러그는 전선을 잡아 뽑지 말고, 콘센트 접촉시 완전히 꼽음
누전 차단기를 반드시 사용(정기적 작동 테스트)
영유아 접근을 막기 위해 반드시 덮개 있는 콘센트 사용
2. 가스(누출, 폭발사고 등)
정기적으로 가스배관 및 용기 등 설치・노후 상태 확인
가스사용 후, 외출 또는 취침시 반드시 차단밸브를 잠금
동절기 보일러 사고 예방을 위해 환기, 배관상태 등 점검
3. 미끄러짐(욕실, 주방 등)
욕실 안전패드나 미끄럼 방지 스티커를 부착하여 사고 예방
욕조가 설치된 벽면에는 손잡이 부착
욕조는 익사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어린이 혼자 두지 않음
뜨거운 음식이나 조리기구에 어린이가 접근하지 못하게 함
4. 화재
멀티컨센트 문어발식 전기기구 사용(특히, 동절기 전열기구)
전기용량이 큰 제품(TV, 냉장고, 에어컨 등)은 전용 콘센트 사용
소화기는 지정된 장소에 반드시 비치
노후되거나 손상된 전선, 개폐기, 콘센트 등은 즉시 교체
② 야외활동 중 주요 사고 유형
1. 교통 안전사고
자동차 탑승시 반드시 앞・뒷자석 모두 안전띠 착용
운전 중 휴대전화 및 기타 기기 작동 금지
앞차와의 안전거리 확보, 끼어들기 등 위협운전 금지
대중교통 이용시에도 안전을 위해 반드시 손잡이 잡기
소방차 등 긴급차 이동을 위한 길 터주기
2. 자전거 안전사고
자전거 이용시 보호장구(특히, 안전모) 반드시 착용
바지 끝부분이 너풀거리지 않는 옷과 밝은 색 옷 착용
안전운전을 위해 장비 점검 및 과속이나 급브레이크 주의
자전거 사고에 대비한 자전거 보험 가입 필요
3. 농기계 사고(음주운전, 부주의 등)
등화장치 작동으로 신속한 정보를 제공
음주운전 절대 금지,
교차로에서는 반드시 신호 준수
이동중 짐을 과다하게 싣거나, 동승자 합승 금지
농기계 작동시에는 엔진, 냉각장치, 소음기 등 화상 주의
4. 행락철 안전사고(산행 추락, 벌쏘임 등)
산행 전 가벼운 운동으로 발목과 무릎 등 보호
날씨 변화를 고려해 바람막이 옷과 보온의류 준비
출입금지구역(국립공원특별보호구역, 샛길 등) 절대 출입금지
야외 활동시 향수, 화장품 등 벌을 자극할 수 있는 제품 사용 자제
부주의로 벌집을 건드린 경우, 벌을 자극하는 행동을 하지 말고, 제자에 몸을 최대한 낮추거나 엎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