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환경뉴스

충북 괴산 심복굴에서 신종 심복동굴옆새우 발견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발견된 심복굴의 이름을 따 ‘심복동굴옆새우’로 명명
◇ 동굴 환경에 적응하여 눈이 퇴화되고 몸에 색소가 없는 고유한 특징을 지님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민기식 인하대 교수 연구진과 충북 괴산군에 위치한 심복굴에서 신종 동굴옆새우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지난해 3월 심복굴에서 신종으로 추정되는 동굴옆새우를 채집했다. 이 새우를 최근 동정한 결과, 우리나라에만 서식하는 고유 신종으로 확인되었다.
  ※ 동정: 야생생물에 대해 분류학상의 위치나 명칭을 바르게 확인하는 작업

  연구진은 이 새우를 발견된 곳인 심복굴의 이름을 따 ‘심복동굴옆새우(Pseudocrangonyx joolaei)’로 이름지었다. 또한 관련 연구 결과를 국제 공인 학술지인 ‘주택사(ZOOTAXA)’에 투고했으며 내년 초에 ‘심복동굴옆새우’ 정보가 소개될 예정이다.

동굴옆새우류는 어두운 동굴 환경 내부의 고여 있거나 흐르는 물에 서식하며, 전 세계에서 동아시아지역에만 25종이 분포한다. 국내에는 이번 신종을 포함하여 3종이 발견되었다.
※ 국내 서식 3종: 심복동굴옆새우(Pseudocrangonyx joolaei, 2019), 한국동굴옆새우(Pseudocrangonyx coreanus, 1966), 대전동굴옆새우(Pseudocrangonyx daejeonensis, 2018)
  동굴옆새우는 옆으로 누워서 헤엄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절지동물문 단각목에 속하는데 이름과 겉모습으로는 주변에서 흔히 보는 게, 새우(절지동물문 십각목)와 유사하지만 계통유연관계가 다르다. 

  심복동굴옆새우는 진동굴성생물로서 눈이 퇴화되고 몸의 색소가 없는 것이 특징이며, 오랜 시간동안 외부와 격리되어 현재는 오직 심복굴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진동굴성생물(Troglobiont): 일생을 동굴 및 지하의 서식 공간 외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생물을 말함

 서경인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동식물조사연구팀장은 “동굴과 같이 외부의 손길이 닿지 않는 서식지를 대상으로 신종 발굴을 위한 조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주요 연구 결과.
      2. 질의응답.
     3. 전문용어 설명.  끝.
  

붙임 1

 

주요 연구 결과

   

                                    심복동굴옆새우 모습



 심복동굴옆새우의 분류학적 위치는 절지동물문, 연갑강, 단각목, 동굴옆 새우과, 동굴옆새우속에 속한다.(흰 선의 길이: 1mm)

신종 심복동굴옆새우의 채집지()와 심복굴 입구 모습(아래)

 



  

동아시아지역에서 발견된 동굴옆새우 목록(25)

  

순번

학명

나라명

시기

1

Pseudocrangonyx coreanus Uéno, 1966

한국

1966

2

Pseudocrangonyx daejeonensis Lee, Tomikawa, Nakano & Min, 2018

한국

2018

3

Pseudocrangonyx kyotonis Akatsuka & Komai, 1922

일본

1922

4

Pseudocrangonyx shikokunsis Akatsuka & Komai, 1922

일본

1922

5

Pseudocrangonyx yezonis Akatsuka & Komai, 1922

일본

1922

6

Pseudocrangonyx gudariensis Tomikawa & Sato, 2016

일본

2016

7

Pseudocrangonyx akatsukai Tomikawa & Nakano, 2018

일본

2018

8

Pseudocrangonyx komaii Tomikawa & Nakano, 2018

일본

2018

9

Pseudocrangonyx asiaticus Uéno, 1934

중국

1934

10

Pseudocrangonyx manchuricus Oguro, 1938

중국

1938

11

Pseudocrangonyx cavernarius Hou & Li, 2003

중국

2003

12

Pseudocrangonyx elegantulus Hou, 2017

중국

2017

13

Pseudocrangonyx bohaensis (Derzhavin, 1927)

러시아

1927

14

Pseudocrangonyx levanidovi Birstein, 1955

러시아

1955

15

Pseudocrangonyx camtschaticus Birstein, 1955

러시아

1955

16

Pseudocrangonyx birsteini Labay, 1999

러시아

1999

17

Pseudocrangonyx relicta Labay, 1999

러시아

1999

18

Pseudocrangonyx susanaensis Labay, 1999

러시아

1999

19

Pseudocrangonyx korkishkoorum Sidorov, 2006

러시아

2006

20

Pseudocrangonyx febras Sidorov, 2009

러시아

2009

21

Pseudocrangonyx elenae Sidorov, 2011

러시아

2011

22

Pseudocrangonyx kseniae Sidorov, 2012

러시아

2012

23

Pseudocrangonyx holsingeri Sidorov & Gontcharov, 2013

러시아

2013

24

Pseudocrangonyx sympatricus Sidorov & Gontcharov, 2013

러시아

2013

25

Pseudocrangonyx tiunovi Sidorov & Gontcharov, 2013

러시아

2013



붙임 2

 

질의응답

   

1. 동굴과 같은 특이서식지를 조사하게 된 이유는?

 현재까지 국내 동굴과 같은 환경의 특이서식지에 서식하는 담수 무척추동물의 연구는 많이 부족한 상황이며, 이러한 특수한 환경에 살아가며 적응한 국내 서식종의 새로운 발견을 통해 국가 생물자원의 확보 및 다양성의 보존에 기여하고자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2. 심복동굴옆새우의 보전 대책은?


현재 심복굴은 다른 동굴환경 대비 서식환경이 양호하여 담수 동굴생물의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하지만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개방형 동굴이기 때문에 새롭게 발견된 심복동굴옆새우의 서식지 보전을 위해 심복굴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할 계획입니다


붙임 3

 

전문용어 설명

심복굴: 심복굴은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갈금리 마을 북쪽 500m 지점 심복골 기슭에 위치한 석회암동굴이다. 길이는 약 200m, 입구 너비 3m, 높이 1.5m의 반원형을 이루고 있으며, 동굴 내부에 지하수가 계속 흐르고 유기질 등이 풍부하여 담수 동굴생물이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을 이루고 있다. 현재까지 약 50 여종의 다양한 동굴무척추동물이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옆새우: 옆으로 누워서 헤엄을 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옆새우라고 부른다. 하지만 다리가 10개로 십각목(十脚目, Decapoda)에 속하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게, 새우와는 계통유연관계가 달라 절지동물문(Arthropoda), 연갑강(Malacostraca), 단각목(Amphipoda)에 속한다.

주택사(ZOOTAXA): ZOOTAXA는 동물 분류 학자를 위한 국제 공인 전문 학술지(SCIE)2001년 최초 발간되었다. 해당 학술지는 담수생물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과 관련된 다양한 관련 논문이 게재된다. 게재확정의 의미는 해당 학술지에 게재를 위한 모든 검토 및 심사 과정이 마무리되고 최종 출판만을 앞두고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의 최종 출판은 2020년 초에 이루어 질 것이다.

절지동물문(Arthropoda): 절지동물문은 지구에 존재하는 동물의 80%를 차지할 정도로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현재까지 약 90만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절지동물은 무척추동물 중 몸이 딱딱한 외골격으로 싸여 있고 몸과 다리에 마디가 있는 종을 의미한다. 지구상의 어느 곳에서나 발견할 수 있을 정도로 종수와 개체수가 많고 서식처가 다양하다. 그 종류로는 곤충류, 갑각류, 거미류, 다지류 등이 있다. 그 중 갑각류의 세부 분류군인 단각목(Amphipoda)은 저서생활 또는 부유생활을 하며, 전 세계적으로 약 1만여종이 알려져 있다. 단각목은 크게 7쌍의 가슴다리, 3쌍의 배다리, 3쌍의 꼬리다리로 이루어져있다. 십각목(Decapoda)은 우리 주변에 가장 흔한 생물로 식생활에도 많이 이용되는 새우, 게 등이 포함된다.

진동굴성생물(Troglobiont): 일생을 동굴 및 지하의 서식 공간 외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생물을 말한다. 동굴환경에 완벽히 적응하여 몸의 색소가 없거나 눈이 퇴화된 종류가 많다. 먹이가 부족한 환경에 적응하여 적은 양의 먹이로도 살 수 있다.

 

 

 












포토뉴스

기획이슈

더보기

포토뉴스

지역네트워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