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로 간 한국간호 여성들의 이야기

  • 등록 2017.06.25 18:00:33
크게보기

국경을 넘어, 경계를 넘어’展 서울역사박물관에서 열려




1960~70년대 독일로 간 한국 간호여성들의 정치적·문화적 경계를 넘어선 삶을 집중 조명
한국현대사와 연결된 간호 여성들이 남긴 자료를 아카이브 전시 방식을 통해 소개
간호여성들의 삶과 2세들의 독일 현지 모습을 사진 작가의 영상·사진 작품을 통해 전달   
6.26(월) 오전 10시 개막식을 시작으로 9.3(일)까지 서울역사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진행

서울역사박물관(관장 송인호)은 <국경을 넘어, 경계를 넘어> 기획전시를  개최한다. 개막식은 6.26(월) 오전 10:00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개최하고 오는 10.31(목)까지 일반에게 전시한다
개막식에는 박원순 서울시장, 스테판 아우어 독일대사, 김영희 전 주세르비아대사, 유홍준 박물관 운영자문위원장과 재독학국여성모임 대표, 문화계, 정관계, 외교사절 등 100여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전시는 경제개발정책과 애국심에 주목해온 그간의 전시와 달리, 분단국가의 수도 서울을 떠나 또 다른 분단국가인 독일, 특히 장벽으로 단절된 서베를린에서 활동한 한인 간호 여성들의 정치적, 문화적 삶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1960~70년대 독일로 이주한 한국 간호여성들은 독일 사회내 교민 1세대를 형성했고, 독일 시민 사회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전시는 총 4부로 ‘1부 경계를 넘어선 여성들’, ‘2부 이주와 소통의 길_베를린에서의 삶’, ‘3부 남은 이들과 돌아온 이들’, ‘4부 상호문화사회의 여성들’로 구성되어 있다. 

경계를 넘어선 여성들

1부에서는 1960~70년대 한국과 독일이 각각 노동력을 송출하고 유입하게 된 배경, 젊은 간호 여성들이 독일행을 선택하게 된 계기와 떠남을 준비했던 과정을 관련 유물과 함께 전시한다. 콘테이너 박스로 구성된 공간에서 들리는 기내 영상과 음성을 통해 인력수출과 독일로의 떠남을 나타냈다.

이주와 소통의 길_베를린에서의 삶

2부에서는 독일, 특히 동서장벽으로 분단되었던 서베를린으로 갔던 한국 간호여성들이 겪었던 경험을 ‘이주-국경의 경계를 넘어, 젠더-여성의 경계를 넘어, 분단-이념의 경계’이라는 구성으로 아카이브 전시 방식을 통해 소개한다. 40여 년 전에 독일에서 치러진 결혼식에 참석하지 못한 그리운 가족들이 정성들여 마련해서 보내왔던 결혼식 한복과 사연, 부모님의 애정 어린 편지, 1977년 강제 송환에 반대해 벌였던 서명운동관련 자료 등이 전시된다.  

남은 이들과 돌아온 이들

3부에서는 처음의 3년 계약을 마치고 한국에 돌아온 이들의 모습과 독일 사회에 정착하여 독일 교민 1세대를 형성한 한인 여성들의 이야기를 작가들의 영상과 사진을 통해 전시한다. 한인 간호여성 4명이 그들에게 가장 인상적인 한국 노래를 불렀고, 독일에서 생을 마감하신 분들의 묘지에서 그분들을 기억하는 가족과 지인들의 목소리를 담았다. 2세들이 보는 어머니의 모습과 그들이 느끼는 한국과 독일에 대한 이야기도 들을 수 있다. 

상호문화사회의 여성들

4부에서는 1960~70년대에 독일의 손님노동자(Gastarbeiter)로 이주했던 한국 여성들이 독일 시민 사회의 일원으로 살아가고, 베를린시의 상호문화사회(Interkulturelle Gesellschaft) 정책 속에서 진정한 다문화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소개하고 있다. 50여 년 전 서독 사회로 이주했던 한국 여성노동자들의 경험을 통해 남과 북의 이념적 갈등과 1990년대 이후 급증한 외국 이주민들과 함께 살기 위한 과제를 가진 대한민국과 수도 서울이 상호 인정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이번 전시는 한국의 산업화가 진행되던 1960~70년대 독일로 떠난 한국 간호 여성들의 다양한 삶과 기억을 공감하고 한국현대사를 반추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전시 개막과 연계하여 전시에 참여한 재독한국여성모임 대표들과 작가들이 그들의 활동과 작품 제작에 대해 시민들과 함께 나누는 워크숍이 6.27.(화) 14:00~17:00에 개최된다. 

전시 관람료는 무료이며, 관람 시간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 토․일․공휴일은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이다. 공휴일을 제외한 매주 월요일은 휴관이다. 자세한 정보는 서울역사박물관 홈페이지(www.museum.seoul.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의 02-724-0274)
백종구 기자 bjg4803@naver.com
<저작권자(C) 세계환경신문. 무단전재 재배포금지>

PC버전으로 보기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전제,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세계환경신문 | 동대문구 천호대로 83 동우빌딩 403호 | 기사제보 : 02-749-4000 | Fax : 02-929-2262 등록번호 : 서울 아 02165 | 문화관광부 다-02118 | 사업자등록번호 : 204-81-40898 발행인 : 백종구 | 편집인 : 이승재 | 대표이사 : 백종구 | 개인정보보호책임자 : 하정현 Copyright (c) e-newsp. All rights reserved